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새로 쓰는) 제주사: 지방사, 역사 읽기의 새로운 시도

저자/역자
이영권 지음
발행년도
2007
형태사항
387p.: 23cm
ISBN
978895862051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4475-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475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국가.중앙의 관점을 넘어 경계인이자 변방인의 시선으로 제주의 역사를 찾아가는 책이다. 책은 선사 문화와 탐라국의 성립 시기에서부터 삼별초의 입도, 목호의 난, 지방관의 파견, 그리고 이재수의 난에 이르기까지 주요한 역사적 사건을 통해 국사 교과서와 다른 시각과 해석의 견해를 계속해서 제기한다.

기존의 국가중심적 시선에서 자주성의 상징으로 해석했던 '삼별초의 난'을 이미 삼별초가 제주도에 입도한 것 자체가 시련이었다고 해석하는 식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지로 알려진 애월읍 빌레못 동굴이 국사 교과서에서 은근슬쩍 사라진 해프닝으로 시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사문화에서 현대사 4.3의 진상까지 12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머리말
_국사 교과서와 다른 제주 이야기


1. 변방의 시선으로 본 제주의 선사 문화
국사 교과서에서 사라진 빌레못 동굴
1만 5,000년 전 ~ 6,800년 전의 사람 발자국
청동기와 철기 그리고 탐라

구석기 문화의 국적


2. 탐라의 형성과 건국신화
풍부한 신화를 간직한 제주 섬
장대한 여성, 설문대할망
삼성신화, 탐라의 건국 이야기
3공주의 도래
삼성신화에서 삼을나신화로

고량부인가, 양고부인가


3. 탐라에게 고려와 몽고는 무엇인가
고려에 복속
'탐라'에서 '제주'로 이름이 바뀐 까닭
제주에 온 삼별초
제주 사람들은 삼별초를 어떻게 보았을까
환해장성
사람은 서울로 말은 제주로
고려와 몽고 그리고 목호의 난

목호의 난과 고려의 멸망


4. 몽고의 흥망과 함께 한 불교 문화
본존불 앞에서 굿판을 벌이다
본격적인 불교 전래는 몽고 지배기
"제주의 승도들은 공공연히 처를 취하여"
"지금은 사찰도 불상도 승려도 없다"
안봉려관의 제주 불교 중흥

불교 전래 시기에 대한 다양한 견해


5. 왜구의 잦은 침략과 군역
왜구의 길목
천미포왜란과 을묘왜변
여성들까지 군역을 져야 했다
3성 9진 25봉수 38연대
옹성, 해자, 치성, 여장


6. 변방 제주 섬과 조선의 양반들
조선 양반들에게 제주도는 무엇이었나
제주의 지방관
관아, 지방 정치의 중심지
유배의 섬
유배온 사람들
오현, 그들은 누구인가

조선 후기 유교 교육의 강화


7. 제주의 칼바람이 완성한 추사체
제주인과 '육짓것'
제주 역사에서 외지인의 역할
추사체, made in 제주
추사의 탄생과 성장
추사에서 완당으로
유배와 그 이후의 완당
세한도
완당과 초의선사

세한도의 유전


8. 1만 8천 신들의 고향
쓰여지지 않은 역사
미신인가, 전통 문화인가
제주 무속신앙의 변천
신당과 당굿
당신 본풀이의 기본 구조
뱀을 섬기는 사람들
신화 속의 주인공은 여성
절집을 뛰쳐나온 미륵불
유교 근본주의자들(Radicalists)
무속의 당굿과 유교식 포제


9. 민란의 시대, 제주도에는 이재수가 있었다
양제해의 모변
민술년의 제주민란
방성칠 난
새로 쓰는 이재수 난

민란의 시대


10. 일제 강점기 제주인의 삶과 항쟁
코끼리 표 보온밥통
법정사 항일운동
제주도의 기미년 만세운동
신인회 결성
제주도의 공동체 전통과 아나키즘 운동
자주운항운동, 우리는 우리 배로
제주 여성의 힘은 항일투쟁에서도 돋보였다
제주 야체이카의 붕괴
적색농민조합운동

교과서는 왜 항일운동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가?


11. 일제 말기 제주도의 운명
전쟁과 평화
천황주의가 강요한 죽음의 미학
결7호 작전
대동아전쟁인가, 태평양전쟁인가
'평화의 섬' 제주를 위하여


2. 한국 현대사의 비극, 4.3의 진상
현대사는 없다
미군정과 인민위원회
제주도 인민위원회
6만 인구의 귀환
4.3의 도화선, 1947년 3.1절 발포
민관 총파업과 미군정의 탄압
1948년 4월 3일
4.28 평화협상과 오라리 방화사건
김익렬과 박진경
1948년 가을, 초토화 작전
끝나지 않은 비극
'순이 삼촌'에서 4.3 특별법까지

불완전한 해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