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 문화 읽기: 돌, 바람, 여자, 가뭄, 말, 그리고 신화의 섬
- 저자/역자
- 김유정 지음
- 펴낸곳
- 가람과뫼
- 발행년도
- 2017
- 형태사항
- 416p.: 23cm
- ISBN
- 9791195669110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911.9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6135 | - |
- 등록번호
- JG0000006135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제주섬의 정치사는 침략과 복속의 역사를 보여 준다. 권력 투쟁의 이면은 유배의 섬을 만들었고, 중앙 정부에 대한 반감은 외지인에 대한 못마땅한 시선과 결합되었다. 광복 후 좋은 사회, 자주적 평등 사회를 지향했던 것도 착취의 섬을 벗어나고자 했던 이어도의 꿈과 무관하지가 않았다.
제주의 경제사는 그야말로 왕조를 위해 생산을 담당한 것에 지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제주인들은 평생을 생활고에 시달려야만 했다. 말테우리, 답한이, 포작인, 장인, 잠녀들의 삶을 보면 수탈 경제 그 자체였다. 제주섬에서 생산자의 역할만 있고 가져보지 못한 민중들의 소외는 급기야 제주 공동체의 대동주의를 탄생시켰다.
제주의 생활사는 말 그대로 일상의 행위, 전통이라고 부르는 제주인의 삶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사냥, 목축 문화, 해양 문화, 굿, 신화와 전설, 돌 문화, 노동요, 표류와 표착 등 육지라고 부르는 한반도의 생활사와는 다른 특성이 드러난다. 특히, 역향(逆鄕)이라는 왕조의 낙인이 찍힌 저항 정신은 육지의 어느 지역보다도 강하다.
이제 제주를 알려면 밑으로부터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잃어버린 민중의 역사를 도외시해서는 진정한 제주의 실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 오늘은 바로 지난 세대의 제주인들의 삶이 쌓인 결과다.
섬사람들은 바다 너머 이어도라는 이상 세계를 마음에 담고 평생을 살았다. 물로 갇힌 섬의 억압적 마음이 물마루 너머 새로운 해방구를 꿈꾼 까닭이었다. 그러나 섬사람들은 아무도 몰랐지만 섬의 이어도는 바다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바다 그 자체였다. 바다는 섬의 생명을 키웠고, 죽음을 거머쥔 삶의 높은 고지(高地)였기에, 그것이 너무 가까이 있는 나머지 그 존재를 알 수 없었다. 바다는 섬의 이어도였다.
돌은 제주 사람들의 삶을 지배했다. 돌로 만든 용기들이 삶의 언저리에 꽉 차 있다. 화장실도 돌이고, 돼지 밥그릇도 돌이다. 구르는 돌로 밭담을 쌓아 바람을 막았다. 돌로 집을 만들고, 우물을 만들었다. 왜구를 방비하기 위해 섬 둘레를 돌로 둘렀다. 제주 사람들은 이것을 환해장성(環海長城)이라고 불렀다.
제주의 바람은 제주의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바람이 불지 않으면 바다는 오래지 않아 ‘늣(싱경이)’이 낀다. 그래서 제주 사람들은 태풍이 불지 않아도 걱정을 한다. 태풍은 바다의 수온을 내리게 하고, 물밑에 가라앉은 땅의 이물질들을 뒤집어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기 때문이다. 바람은 신을 데리고 오기도 한다. 잠녀들이 모시는 바람의 신 영등할망이 바로 그 여신이다.
섬에는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다. 제주 여자들의 삶의 방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잠녀 물질이었다. 잠녀들은 반 벗은 몸으로 물질을 한다. 이는 조선의 지배 이념이었던 유교적 관념으로는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그러나 잠녀들의 입장에서 보면, 바다 속 돌과 돌 사이를 헤엄치며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의복 형태가 돼야 자유롭다. 그녀들에게는 부끄러움보다 생존을 위한 경제가 우선이었다.
섬에는 사람과 다른 두 짐승, 소와 말이 함께 살고 있었다. 섬사람들은 이 두 짐승을 돌보기 위해 거지처럼 살아야만 했다. 그러나 섬의 토양과 기후는 테우리 마음대로 소와 말을 키워 낼 수 있는 조건이 아니었다. 섬에 가뭄이 계속되고 기아가 찾아오면 섬사람들은 참다못해 죽음을 각오하고 소와 말을 몰래 잡아먹었다. 직접 소와 말을 잡은 사람은 교수형을 당할지언정 눈앞의 죽음도 아랑곳하지 않고 배불리 먹는 것을 택했다.
섬은 이유 없이 잠이 드는 법이 없다. 섬은 늘 깨어 있으면서 신화를 만들어 낸다. 섬은 역사에서 소외된 생산자들의 집단적 기억으로 하늘과 바다 속을 마음대로 넘나든다. 비록 외세에 굴복한 쓰라린 섬의 역사지만 마음속으로는 늘 승리하는 희망을 품는 것도 섬의 마음이다. 섬에서는 현실의 패배가 상상력의 승리로 전화(轉化)된다. 설화 속에서라도 영웅을 만들어 내고, 심방〔무당(巫堂)의 제주 방언〕의 입을 빌어 양반과 권력자들을 징치(懲治)한다. 그래서 섬의 기억은 쓰리도록 아프다.
목차
1. 제주 해양 문화의 여명
제주 사람들은 역사의 항해사 / 16
바당밭, 제주인의 문화적 여명 / 21
2. 제주의 아방(父), 포작인(鮑作人)
보이지 않는 역사의 힘, 포작인 / 30
세금과 노역 피해 고향 등진 포작인들 / 37
자유를 찾아 유랑의 삶을 산 포작인 / 48
잠행(潛行)하는 생산자, 잠수 원조 포작인 / 55
3. 제주의 어멍(母), 잠녀(潛女)
해녀는 잠녀의 직능을 왜곡시킨 용어 / 62
진주.전복 캐기 위한 잠수 물질, 잠녀의 역사적 운명 / 70
유배인(流配人)과 관리, 잠녀를 보는 두 개의 시선 / 83
잠녀들의 위험한 일터, 바당밭 / 90
바다는 저물어 갈 때 진실의 소리를 낸다 / 98
4. 배, 해양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시작
배,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시작이자 종착 / 108
용암으로 된 돌밭, 제주 포구 밑바닥 / 115
5. 바람의 길을 가는 제주선(濟州船), 덕판배
사람만큼 훌륭한 기록은 없다 / 120
귤과 말을 싣던 탐라배, 덕판배의 원조 / 128
탐라의 뱃길과 한라산의 나무로 만든 배 / 135
말 싣던 제주배는 얼마나 컸을까 / 141
바람의 길, 상어의 바다를 무엇을 싣고 건너는가 / 148
6. 제주에 표착한 바다의 마부(馬夫) ‘하멜’
바다의 마부(馬夫) 네덜란드인들이 바다로 떠난 까닭 / 156
하멜의 세계사적 역할, 식민지 디아스포라들의 연결 / 163
하멜, 감옥 같은 조선을 탈출하다 / 170
7. 변방을 노리는 경계인, 왜구(倭寇)
해안가 돌탑, 외세 침략?부패 목민관에 대한 저항 의식의 표출 / 178
민족에게 버림받은 경계인, 왜구(倭寇) / 185
8. 세계 자본의 첨병 이양선(異樣船)
조선의 먹구름, 이양선의 제주 출몰 / 196
이양선 출몰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추사 김정희 / 204
9. 바다를 건넌 제국주의에 맞선 제주의 민초들
정치는 ‘몫 없는 자’들을 위해 개입하는 것 / 212
제주에 유배 온 김윤식의 눈에 비친 제주 신축 민중 항쟁 / 220
1901년 섬에 온 두 이방인, 샌즈와 겐테 / 229
10. 질병과 문명, 제주의 한센병
노동력을 파괴하고 사회를 붕괴시키는 질병 / 238
신체의 모습에 강경하게 반응하는 사회 / 246
11. 동아시아의 감옥, 물로야 뱅뱅 돌아진 섬
원.명 교체기 중국 왕족 제주도 유배 많아 / 254
덕을 닦지 않으면 배에 탄 사람이 모두 적국 / 262
이권을 차지한 보수는 늘 개혁을 저지한다 / 269
12. 물길과 표류(漂流)의 문화사
쿠로시오 해류〔黑潮〕는 표류의 물길 / 278
베트남에 표류했던 제주인 안상영 / 292
제주 표류자들이 본 일본의 섬 문화 / 299
오키나와에 표류한 제주인 / 306
제주인의 중국 표류 / 321
13. 제주의 해안 방어, 봉수(烽燧)와 연대(煙臺)
변방을 지키기 위해 오는 육지 원병(援兵) / 336
제주의 해안 방어 시스템 / 342
제주의 봉군(烽軍), 세계 자본주의 체제를 보다 / 353
14. 남태평양의 길목, 최남단 마라도
마라도 엘레지, 처녀당의 슬픈 사연 / 362
최남단 마라도 방어를 아시나요 / 389
15. 누가 이어도를 보았다고 했는가
여인들이 보초 서고 바람이 두렵지 않은 돌섬, 제주도 /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