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문학과지성 시인선 567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김혜순 시집

저자/역자
김혜순 지음
발행년도
2022
형태사항
274p.; 21cm
총서사항
문학과지성 시인선; 567
ISBN
978893203998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6993-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6993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엄마, 이 시집은 읽지 마, 다 모래야”

우리 안의 빈 곳을 응시하게 하는 시인 김혜순,
비탄을 증언하며 망각의 사막을 가로지르는
끝없이 뜨거운 모래의 시


지배적 언어에 맞서는 몸의 언어로 한국 현대시의 미학을 갱신해온 ‘시인들의 시인’, 김혜순의 열네번째 시집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전작 『날개 환상통』(2019) 이후 3년 만의 시집이다. 시를 발표하기 시작한 1979년 이래 40년 넘는 시간 동안 김혜순은 항상 ‘제도화된 역사들과 가장 먼저 작별하는 시적 신체의 최전선’(이광호)에 서 있었다. 김혜순의 시집은 단순히 한 시인의 저작을 넘어 각 시기 한국 현대시의 가장 첨예한 지점을 이어낸 별자리, 시적 실험의 아카이브와 같다. 시인은 ‘여성의 존재 방식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를 멈추지 않으며 ‘고유한 시적 성취’를 이루어왔다(삼성호암상 예술상 심사평). 또한 ‘여성의 몸에 실재하는 감정과 정체성에 충실하면서, 다정함과 격분이 공존하는 목소리로 악몽과 어둠을 관통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적 황홀을 열어 보이며’(스웨덴 시카다상 심사평) 또렷한 국제적 존재감을 드러냈다.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에서 김혜순은 세상의 죽음을 탄식한다. 1부는 시인의 ‘엄마’가 아플 때와 돌아가신 후에 죽음을 맴돌며 적은 비탄의 시들이다. 2부에는 코로나19라는 전 인류적 재난을 맞이한 시대적 절망이, 3부에는 죽음의 바깥에서 텅 빈 사막을 헤맨 기록이 담겼다. 시인은 사적으로 경험한 병과 죽음을 투과하여 세상의 죽음을, 그 낱낱의 죽음에 숨겨진 비탄 하나하나를 바라본다. 비탄의 연대를 도모하면서 모래처럼 부서진 생명의 조각들이 죽음 그 자체인 망각의 사막에서 무얼 하고 있는지 온 힘을 다해 지켜본다. 그렇게 죽음이란 ‘삶 속에서 무한히 겪어나가야 하며 무한히 물리쳐야 하는 것, 살면서 앓는 것’임을 김혜순의 시를 통해 우리는 마침내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집에서 엄마는 사라져도 죽지 않고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다. 고아가 된 여자들은 서로의 엄마가 되고 딸이 되어 돌고 돈다. 시집을 읽다가 나는 몇 번이나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강성은(시인)

김혜순 시인만큼 죽음을 잘 발음하는 시인은 없다고 오래도록 생각해왔다. 죽음을 말할수록 삶이 선명해지고, 아픔을 호소하는데 세계는 이상하게 가벼워진다. 이 시집을 통해 우리는 우리 안의 텅 빈 곳을 비로소 응시하게 될 것이다. 황인찬(시인)

이 시집은 없는 엄마를 불러내는 모음의 진동으로 가득하다. 페이지마다 이제는 볼 수 없는 나의 엄마가 겹쳐져 얼굴을 파묻고 울고 말았다. 이제니(시인)

사구가 끝없이 펼쳐진 거대한 모래벌판에 지구만큼 커다란 흰새가 앉았어요. 새가 날개를 한 번 펄럭이자 거대한 모래폭풍이 불었죠. 시집에 귀를 대고 있으면 알 수 있어요. 지금 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백은선(시인)


“왜 우는지 여자들은 안다. 그냥 안다”

숨어서 차례를 기다리는
엄마 없는 세상의 내일, 내일.
―「체세포복제배아」 부분

이 시집의 1부 ‘지구가 죽으면’에 실린 33편의 시들은 시인의 ‘엄마’가 병상에 계시다 돌아가신 2019년 무렵 씌어졌다. ‘아빠’의 죽음을 겪고 쓴 시가 실린 지난 시집 『날개 환상통』에서부터 이어지는 ‘작별의 존재론’에 관한 시들은, “부재의 존재와 존재의 부재를 함께 겪어내는 애도의 문장”(이제니)을 통해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잠재성의 출현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죽음 주변을 맴돌던 ‘엄마’와 그런 엄마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시인의 이야기가 담긴 1부에서 김혜순은 비탄 속으로 깊이 들어가보려 시도한다. 호스피스 병동의 공기에는 죽음이 배어 있다. “호스피스에서도 아침이면 밥 주고 점심이면 밥 주고 저녁이면 밥 준다. 찻잔에는 얼룩이 남고, 수건에는 물기가 남는다. 다른 것이 있다면 모두 지나치게 친절하달까”(「인생의 마지막 필수 항목 세 가지」). 엄마가 세상과 이별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딸에게서 “애도는 죽음보다 먼저 태어”난다(「저 봄 잡아라」). 결국 홀로 남겨진 이에게 세상 모든 것은 떠나간 엄마를 떠오르게 한다. “내 얼굴을 내 손으로 감싸면 엄마의 얼굴부터 만져졌다”. 엄마가 빠져나간 자리에 남은 거대한 상실감은 시인에게 침묵을 안겨주었지만 오히려 침묵보다 더 큰 증언을 요구하기도 했다. 상실의 자리를 바라다보며 시인은 그 텅 빈 구멍을 비탄으로 채운다. 자신의 몸-말을 꺼내어 끊임없이 새로운 목소리로 확장시키고 비탄을 증언한다. 몸을 바꾼 엄마와 딸은 무한히 변용되고 생성되면서 이 시집을 가득 채워나간다. 그런 방식으로 “엄마는 사라져도 죽지 않고,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다”(강성은).


“모래의 시간은 늘 이별이야”

엄마의 몸과 마음이 쪼개질 때 눈부시게 솟아오르는 것.
반짝거리는 것, 햇빛에 비친 황금 먼지 같은 것, 엄마의 어깨를 뚫고 쏟아지는 것,
신기루 같은 것,
―「죽음의 베이비파우더」 부분

시집에 수록된 시들을 쓰는 동안 시인은 오직 비탄만이 고통받는 존재와의 연대이며 고통에 참여하는 행위임을 통찰해냈다. 그것은 김혜순에게 시인이란 죽음에 들어서서 죽음을 탄식하는 자라는 인식을 재확인시켜주었다. 시인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 전 세계에 산재한 죽음과 비탄을 바라보게 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2부 ‘봉쇄’에 실린 시들은 코로나19라는 재난을 수년째 겪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살핀다. “우리가 안쓰러워 나는 우리에게 편지라도 보내”(「죽은 사람들이 제일 싫어하는 꽃」)고 싶었던 걸까. 이 시집은 수신인이 특정되지 않은, 죽음을 함께 겪고 물리치고 앓아갈 인간 동료들에게 보내는 편지처럼 읽히기도 한다. “늙은 엄마들이 자기보다 더 젊은 엄마를/엄마 엄마 부르며 죽어가는 이 세계”(「먼동이 튼다」)에서 서로의 비탄을 언어로써 나누는 일은 근거 없는 낙관이나 무력한 기도보다 가치 있다.
고통과 슬픔을 증언하기 위한 시 쓰는 행위는 또한 시인을 비탄의 바깥으로 데려다주기도 한다. 비탄의 바깥에는 불모의 텅 빈 사막이 있다. 시인에게 문학은, 시 쓰는 행위는 이 텅 빈 사막이 자신에게 다가오던 순간의 체험을 형상화하는 일이다. 3부 ‘달은 누굴 돌지?’에서는 세상 어디에도 없고 모든 인간이 사라진 시간과 장소인 ‘사막’을 헤매는 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 사막의 모래는 뿔뿔이 쓸쓸해, 뿔뿔이 쓸쓸해”(「사막의 숙주」). 사막을 채우는 모래는 바스러진 우리의 ‘생명과 시간과 나날’일 것이다. 그리고 그 사막으로 누군가를 떠나보낸 남은 사람들 한 명 한 명의 마음에 숨어 있는 낱낱의 비탄들일 것이다. 우리의 시간들이 결국 향하는 곳, 죽은 자들이 가는 곳인 동시에 모든 거룩한 권력과 진리와 ‘말씀들’이 사라진 사막을 맴돌며 김혜순은 이 모래들을 그러모으고 쉼 없는 시 쓰기로 오히려 죽음의 능력을 상실시킨다. “가장 가까운 데서 가장 아득한 것을 발견해내는”(황인찬) 것이 시인의 일임을 잘 알고 있는, ‘죽음을 가장 잘 발음하는 시인’ 김혜순. 그가 일으키는 모래바람이 불어온다. 이 76편의 모래-시는 “시집에 귀를 대고 있으면 알 수 있는”(백은선) 질문 하나를 당신의 마음속에 남길 것이다. 비탄을 짊어진 이 지구는 과연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

슬픈 사람은 썩고
아픈 사람은 모래

운다.
운다.
운다.
―「3부 ‘달은 누굴 돌지?’에 부치는 글」에서
목차

시인의 말

1부 지구가 죽으면
춤이란 춤
엄마 on 엄마 off
모음의 이중생활
죽으면 미치게 되는 건가
아파의 가계
흑마의 검은 얼굴
더러운 흼
체세포복제배아
엄마가 내 귓속에서 기침을 하는 엄마
백설 할머니 특공대
잊힌 비행기
인생의 마지막 필수 항목 세 가지
미지근한 입안에서
먼동이 튼다
검은 피아노의 사공
저 봄 잡아라
냉장고 호텔
흰머리 새타니
꼬꼬닭아 우지 마라
우리 아기 잠을 깰라
멍멍개야 우지 마라
우리 아기 잠을 깰라
빈집의 아보카도
엄마란 무엇인가
죽음의 베이비파우더
취한 물고기
민들레의 흰 머리칼
목젖과 클리토리스
죽음의 고아
거울이 없으면 감옥이 아니지
죽음의 유모
피카딜리 서커스
천 마리의 학이 날아올라
엄마는 나의 프랑켄슈타인
불면의 망원경
나는 엄마의 개명 소식을 들었다

2부 봉쇄
셧다운
죽은 사람들이 제일 싫어하는 꽃
erotic zerotic
고니
종鐘 속에서

3부 달은 누굴 돌지?
형용사의 영지
시인의 장소
내세의 마이크
결코후회하지않고사과하지않는육체를가진여자와
너무조용해서위로조차할수없는육체를가진여자와
주파수가다른곳으로떠난여자의 기원막대나선공명
포츠다머 플라츠
서울식 우주
다쉬테 도서관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우주엄마와 우리엄마
Yellowsand
Blackletter
Whitebooks
*모래인
*시작
* 국가
* 피플
* 무한한 포옹
*언어
*눈동자
*몸과 몸
*경전
*모래증후군
*신기루
*별의 것
*결국
암탉의 소화기관
사막의 숙주
모래능

오아시스
사하라 오로라
아지랑이의 털
종 속 과 목 강 문 계 역
새는 왜 죽은 사람을 떠올리게 할까?
모래세안
모래화장
호스피스 정문에 과일이 왔어요 과일 소리치는 트럭이 도착하면
모래의 머리카락
진저리 치는 해변
눈물의 해변
불면증이라는 알몸
지하철 쇠 의자에 온기를 남기고 일어설 때, 나는 왜 부끄럽지?

해설
모래바람-박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