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사고의 틀을 바꾸는 유쾌한 지적 훈련

저자/역자
최원석 지음
발행년도
2015
형태사항
380p.: 20cm
ISBN
979118502067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3960-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3960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지적 매력으로 무장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한 권의 책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상식을 새롭게 읽는 일

간디와 마틴 루터 킹의 삶은 청렴했을까? 신문고는 백성을 위한 민원 해결 도구였을까? 굴은 자 연산이 맛있을까?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누구일까? 한글 띄어쓰기는 누가 만들었을까?
사람들은 본능적 직관으로 답할 것이다. 위인들의 삶은 깨끗했을 것이고, 신문고는 백성들이 억 울함을 호소할 때 치던 북이며, 굴은 양식보다는 자연산이 당연히 맛있을 거라고. 또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정부이며, 한글 띄어쓰기는 세종대왕이나 국내 언어학자가 만들었을 거라 고. 그것이 누구나 알고 있는 이 시대의 ‘상식’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 답변들은 틀렸다.
상식은 우리가 세상을 더 잘 이해하게 도와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세상을 보는 시야를 좁게 만들 기도 한다. 조선 시대 삼종지도가 지금은 케케묵은 유물이 된 것처럼, 역사가 이를 증명한다. 이 시점에 필요한 것은 상식을 새롭게 읽는 일이다. 명백한 진리라고 믿어온 것들을 뒤집고 비틀어 보자! 기존의 사고 틀을 깸으로써 생각을 확장하고 세상에 속지 않는 눈을 갖게 될 것이다.

인문학에 쉽게 다가서는
또 하나의 지름길

요즘 각광받는 인문학. 그러나 입문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은 상식으로 인문학에 쉽게 다가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상식은 인간의 본성과 밀접히 맞닿아 있는 사고방식이나 지식이기 때문에 인문학과 상식은 결코 떨어질 수 없다. 상식이 인간 사회의 발전과 궤도를 같이 했으므로 결국 올바른 상식이란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야 축적될 수 있는 소양인 셈이다.
가령, 민중을 위하려다 민중의 손에 죽은 로베스피에르, 가난한 나라에 신발이나 옷을 기부하지만 의도치 않게 그들의 산업이 클 가능성을 막는 톰스(Toms)와 유니클로(Uniqlo), 시민을 위해 희생했지만 오히려 그들에게 폭군이 되어버린 장 칼뱅의 이야기는 좋은 뜻이라도 관점에 따라 해가 될 수 있음을 새롭게 통찰하고 판단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책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학, 윤리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80여 가지의 ‘뜻밖의 역사’와 ‘상식의 오류’가 담겨 있다.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로 20년 넘게 일해 온 저자는, 다양한 분야를 종횡무진하며 얻은 지적 파편들을 모아 한 권으로 엮었다. 책에 소개된 반전의 상식들은 세상을 알아가는 작은 파편들이지만 그 엄선된 조각들을 모으면 당신의 지적 수준을 한 단계 올리고 세계관을 폭발적으로 넓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알아두면 반드시 써 먹는
쓸모 있는 절대 상식 사전

이 책은 생활 속에서 매우 쓸모 있고 실용적이다. 센스 있는 스몰토크가 생존전략이 되는 이 시대에, 반전의 상식들은 대화의 물꼬를 트기에 아주 좋은 소재가 된다. 또 이미 알고 있거나 널리 알려진 사실이라도 이면에 숨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게 해 창의적이고 남다른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정치·경제적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는 현 사회에서 결코 가볍게만 볼 수 없는 사례의 조각들은 사람과의 대화에서, 논술이나 면접에서 얼마든지 써 먹을 수 있는 필수 교양 지식들이다.
책에 실린 낱낱의 지식들은 따로 골라내 읽어도 좋고 소설처럼 순서대로 읽어도 무방하다. 조목조목 근거와 출처를 밝힌 흥미로운 이야기와 사진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하며, 에피소드마다 놓인 각주는 새로운 상식의 가지를 마구 뻗어 나가게 한다. 한 권의 책으로 펼쳐지는 지식의 향연에 당신을 초대한다!


★ 이 책을 꼭 읽어야 할 사람 ★


□ 지적 매력으로 무장하고 싶은 직장인
□ 취업을 앞두고 폭넓은 지식이 급한 대학생
□ 창의적 사고와 남다른 관점을 갖고 싶은 사람
□ 인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추고 싶은 사람
□ 일상의 이면에 숨은 지식의 조각들을 추적하고 싶은 사람
목차

들어가며

1/ 상식은 믿을 게 못 된다
한글 띄어쓰기는 서양 선교사가 창안했다
《걸리버 여행기》는 동화가 아니다
‘마지노선’은 최후의 보루가 아니다
공명정대와 정론직필의 상징 퓰리처는 ‘옐로 저널리즘’의 창시자
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양식과 자연산의 구분이 의미가 없는 굴
힌두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 아들을 두었던 간디
조선의 왕비가 되려면 미모보다 관상
강태공이 낚은 것은 세월이 아니라 진짜 물고기
형벌 도구인 ‘칼’은 여성에게 씌우지 않았다
신문고는 백성이 아니라 귀족의 민원 해결 도구
발명왕만이 아니라 ‘마케팅의 귀재’였던 에디슨
오페라극장 고층 박스 석의 주된 용도는?
고려 시대까지 여성이 우위였다
사약을 마신 죄인이 바로 죽는 드라마는 틀렸다
조선 초에는 곤장을 칠 수 없었다

2/ 우연이라 쓰고 필연이라 읽는다
콘플레이크는 성욕 억제 음식?
제2차 세계대전이 없었다면 환타도 없었다
전투용 레이더 장비를 만들던 중 발명된 것은?
젊음을 되찾는 보톡스는 원래 사시 교정 치료에 쓰였다
기자들의 성급한 보도가 만들어낸 독일의 통일
우연이 개입한 발칸 반도의 인종청소
미국 철도 공사 사고로 알게 된 뇌의 진실
프랑스 혁명은 뜻밖의 역풍을 맞아 일어난 사건이다
루터의 종교개혁이 낳은 부산물
우연히 다가온 시련이 바꾸어놓은 운명
유배 가서 완성된 추사체와 세한도 | 정신지체아를 낳고 작가가 된 펄 벅

3/ 진짜 원조, 가짜 원조
“내일 세상이 망하더라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의 원조는?
우리말에서 일본식 표현을 빼면 대화가 힘들다
우리의 전통술 소주는 아랍 술이었다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사람은 우장춘 박사가 아니다
제너는 종두법의 창시자가 아니다
‘적자생존’은 다윈의 작품이 아니다
남대문을 ‘국보 1호’로 정한 것은 누구일까?
“여성은 만들어지는 것이다”의 저작권자는?
아프리카 노예무역은 아랍이 먼저 했다
인종 차별은 히틀러보다 미국이 먼저였다

4/ 사소하지만 유쾌한 뜻밖의 상식
배트맨의 ‘조커’는 위대한 소설가 덕분에 생긴 캐릭터
징크스는 새 이름에서 나왔다
카푸치노는 가톨릭 수도사의 옷에서 나온 명칭
중세까지 유럽 귀족은 손으로 음식을 먹었다
방사성 물질 ‘라듐’은 한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다
폼페이 유적 발굴이 늦어진 것은 그림 때문이다
전쟁으로 파괴된 바르샤바는 그림을 통해 복원됐다
《유토피아》는 사회주의 교과서인가
남자와 여자는 어떻게 다른가
노인의 ‘나이 기준’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5/ 세상은 괴짜가 바꾼다
나이팅게일은 백의의 천사라기보다 냉정한 행정가였다
역사의 진정한 반항아, 《홍길동전》의 허균
정신병자는 만들어질 수 있다
매혹적 그림의 비밀을 풀다
광기를 예술로 만든 천재 화가들
‘Guy’는 저항을 상징하는 인물에서 나온 표현
미켈란젤로는 위작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프로이센이 강성해진 것은 섹스 장려 덕분이다

6/ 상식에 배반당하다
이들은 사실, 색마였다
금욕을 지키기 위해 기상천외한 실험을 했던 간디 | 이중적인 삶을 살았던 마틴 루터 킹
기적의 치료제 ‘페니실린’ 발견의 뒷이야기
파스퇴르는 1세대 황우석이었다?
광해군은 한 여인 탓에 알고도 역모를 당했다
공정무역은 과연 공정한가
테레사 수녀는 신의 존재를 의심했다
혈액형별 성격 판정법을 믿을 것인가
다수결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민중을 위하려다 민중의 손에 죽은 로베스피에르 | 과연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시민을 개조하려다 폭군이 된 칼뱅
네덜란드 댐 구멍을 막은 소년 이야기는 사실일까?
록펠러는 자선가 이전에 가혹한 자본가였다
두 얼굴의 지식인, 장 자크 루소
여성 해방을 외치면서 독립적 여성을 싫어한 입센
시몬 드 보부아르도 암고양이였다
《닥터 지바고》는 CIA 덕분에 노벨상을 받았다
그들은 사실, 사회주의자였다
마음속의 눈과 귀로 현실을 직시한 헬렌 켈러 | 과학과 정치로 양분된 삶을 살았던 아인슈타인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은 자본주의 찬양서일까?
《1984》와 《동물농장》은 우리나라에서 반공 도서였다
19세기 발레리나는 부유층의 전유물이었다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