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일반자료

일반자료

일반자료

4·3과 제주역사

April thirdpeople's uprising & jeju history

저자/역자
박찬식 지음
펴낸곳
발행년도
2018
형태사항
763p.: 22cm
ISBN
979118833907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4688-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688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제주4·3 발발 70주년을 맞이하여 <4.3과 제주역사>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4.3 60주년에 나왔던 <4.3과 제주역사>는 1999년 공개된 <군법회의 수형인명부>를 분석한 글로부터 각종 행형자료를 토대로 4·3 행방불명인의 실상을 추적해 온 필자의 4·3 관련 본격적 연구서로 평가된다. 판결문을 중심으로 1947년 3·1사건을 본격적으로 다룬 글이나, <6·25 탈옥수명부>를 처음 발굴하여 목포형무소 재소자의 행방을 다룬 글은 4·3의 진상 규명이 완결되지 않았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4.3과 제주역사> 개정증보판은 2008년판에서 시의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삭제하는 대신, 10년간 저자가 축적한 4.3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수록하였다. 총 20장 중 9장이 새롭게 작성한 논문들이다. 우선, 지난 책에서 다루지 못해서 아쉬웠던 무장봉기와 인민유격대 관련 글을 추가했고, 형무소 4.3재소자 행방에 관한 글도 2편 보완하였다. 나아가 한국전쟁 시기까지 시간을 넓힌 글 2편과 여순사건, 대만 2.28사건과 비교하는 글, 4.3사자(死者) 기억, 연구의 쟁점 관련 글도 새로 수록하였다.
개정증보판을 내놓은 이유는 우선, 지난 2008년판이 적은 부수의 한정판이었기 때문에 일찍 절판되어서 책을 손에 넣고자 하는 독자들의 요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4.3을 탐구하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심지어 외국인들조차 제주역사와 4.3에 각별한 관심을 가진 결과로 보인다.
저자는 결론을 통해 ‘제주4·3의 역사적 의미’를 크게 ‘저항과 순응’, ‘공동체와 자존’, ‘인권과 평화’, ‘통일과 화합’으로 정리하여 놓았다. 저자가 바라보는 4·3의 역사적 의미가 매우 복합적이고 다층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 4·3을 ‘제주공동체의 존립을 위한 항쟁’으로 규정한다. 4·3을 제주역사와 제주민중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뚜렷한 입장을 견지한다는 걸 알 수 있다.
<4.3과 제주역사>는 4·3을 중앙의 관점에서 일방적으로 규정하는 데서 벗어나 지방의 저변 민중의 입장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자치론 인식의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이 책이 4·3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인식이 산출되는 데에 자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책머리에
개정증보판 발간에 붙여
본문 출처

제1부 4·3 前史 - 항일운동
제1장 사회운동
제2장 해녀투쟁과 역사적 기억

제2부 3·1사건과 무장봉기
제3장 1947년 3·1사건
제4장 무장봉기의 발발과 전개과정

제3부 군법회의와 형무소재소자의 행방
제5장 군법회의와 형무소재소자 학살
제6장 목포형무소 4·3재소자의 행방
제7장 마포·서대문형무소 4·3재소자의 행방
제8장 광주형무소 4·3재소자의 행방

제4부 4·3과 한국전쟁
제9장 4·3과 한국전쟁, 제주사회의 변화
제10장 4·3과 한국전쟁, 천주교회의 역할

제5부 남·북한의 4·3 인식
제11장 남한의 4·3 인식과 역사교육자료 서술
제12장 북한의 4·3 인식

제6부 여순사건과 2·28사건 비교연구
제13장 4·3과 여순사건 비교연구
제14장 4·3과 2·28, 제주의식과 대만의식

제7부 역사적 기억과 재현
제15장 증언과 자치의식
제16장 복역생존자의 생애사와 역사적 기억
제17장 4·3 死者에 대한 기억 방식의 변화
제18장 역사적 기억과 4·3극

제8부 4·3 연구의 추이와 쟁점
제19장 4·3연구의 추이
제20장 4·3연구의 쟁점
結 論 - 제주4·3의 역사적 의미

□ 4·3 관련 대표 논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