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일반자료

일반자료

일반자료4·3생활사총서 4

4·3과 여성. 4: 눈물이 나도 바당 물질하며 살았어

저자/역자
제주4·3연구소 편 / 허영선, 양성자, 허준호, 조정희 글
펴낸곳
발행년도
2022
형태사항
267p.; 21cm
총서사항
4·3생활사총서; 4
ISBN
979118833990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7576-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576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4·3통곡 뚫고 열 살 무렵부터 바다에 들었던 8인의 4·3과 삶

제주4·3연구소가 4·3을 경험하고 그 이후의 삶을 살아낸 여성들의 구술집 <4·3과 여성 4, 눈물이 나도 바당 물질하며 살았어>(도서출판 각)를 펴냈다.

이 책은 2019년부터 펴내고 있는 <4·3과 여성 생활사 총서>시리즈의 하나로, 제1편 <4·3과 여성, 그 살아낸 날들의 기록>, 제2편 <4·3과 여성, 그 세월도 이기고 살았어> 제3편 <4·3과 여성, 덜 서러워야 눈물이 난다>에 이은 네 번째다. 집필은 허영선, 양성자, 허호준, 조정희 4·3연구진이 참여했다.

이번에 펴낸 제4편은 4·3의 참혹한 고통 속에서 부모 잃고, 형제 자매를 잃고 살아남은 여성들 가운데 바당(바다)물질로 거친 삶을 헤쳐 온 8인의 제주해녀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고 있다.

“난 4·3이라면 정말 지긋지긋하지. 집 다 불태와불고. 우리 아버지도, 또 꽃다운 청춘에 젊은 사람들 다 죽은 생각하면··· 그렇게 학교에 가고 싶었어. 할머니는 ‘물에 들라’ ‘물에 들라’만 했어.”
“다신 애기 데리고 물질 갈 생각이 안난. 애기도 고생 어멍도 고생. 아이고 징글징글해···”

삶과 죽음의 파도를 넘나든 이들 해녀들은 통곡할 겨를도 없이 열 살 무렵부터 바다에 들어야 했다. 이들은 바다에서 상상하기 어려운 죽음의 순간에 직면하기도 했던 경험 등 4·3에 희생당한 혈육에 대한 그리움에 눈물이 나도 바다에 들었다.

무엇보다 이 책은 4·3, 그 이후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들에게 4·3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슬픔과 기쁨, 한바탕의 웃음까지 터지게 하는 개개인의 다양한 요소가 두루 섞인 삶과 삶을 통해 그 시절의 공동체, 거친 생활사와 제주 여성들 특유의 정신의 영역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이 책에는 70대부터 90대까지 해녀들인 홍순공, 이영자 오희숙, 오계숙, 오기숙, 오홍자, 윤옥화, 박심준 씨가 구술에 참여했다.

4·3연구소 창립 30주년에 시작된 <4·3생활사총서>는 단순히 4·3의 진상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아닌 4·3을 겪은 세대의 한 생애를 올곧게 기록하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공감대 속에서 이뤄졌다. 많은 이들이 온전하게 한 생을 드러내는 기록을 남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4·3을 관통한 여성들과 이후 삶의 이야기를 묶어내는 작업은 경험자들의 고령화 속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4·3으로 삶의 형태가 바뀌어버린 이들은 제주 바다를 건너 경상도, 전라도 바다까지 누볐다. 오로지 물질로 동생들을 돌보고, 결혼해선 가족을 부양하고, 온몸으로 당당히 물살을 헤쳐 나갔다.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은 “4·3의 참혹함을 경험한 그날 이후, 살아남은 여성들은 삶을 견뎌내야 했고, 삶의 주체가 되어 이겨내야 했다. 그날을 살아냈고, 바당(바다)물질로 삶을 이끌며 4·3의 현재를 살고 있는 해녀들, 그녀들에게는 파도와 삶의 바다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살아본 이들만이 풀어낼 수 있는 이야기가 그들에게 분명 있을 것이라 생각해 이번에 기록으로 남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자소개

허영선 시인, 전 제민일보 편집부국장, 5·18기념재단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 제주4·3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저서로 시집 《해녀들》 《뿌리의 노래》 《추억처럼 나의 자유는》, 산문집 《당신은 설워할 봄이라도 있었겠지만》 《탐라에 매혹된 세계인의 제주 오디세이》, 《섬, 기억의 바람》, 역사서 《제주4·3을 묻는 너에게》, 《4·3생활사 총서》1·2·3권(공저) 등을 펴냈다.

양성자 작가, 제주4·3연구소 이사, 4·3범국민위원회 이사. 제주4·3연구소의 창립 초기 실무를 맡아 구술 채록을 하며 4·3진실규명을 해 왔다. 현재는 4·3평화·인권 강사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언제나 선창은 나의 몫이 었다》, 구술집 《이제사 말햄수다1》(공저), 《4·3생활사 총서》1·2·3권 (공저)이 있다.

허호준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저서로 《그리스와 제주, 비극의 역사와 그 후》, 《4·3, 미국에 묻다》, 번역서로 《20세기의 대량학살과 제노사이드》(공역) 등이 있다.《빼앗긴 시대 빼앗긴 시절-제주도 민중들의 이야기》, 《4·3생활사 총서》1·2·3권 등 구술집 제작에 참여했다.

조정희 제주4·3평화재단 기념사업팀장. 제주4·3연구소,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활동 했다. 《제주4·3사건추가 진상조사보고서1》 집필에 참여했고 구술집 《4·3생활사 총서》1·2·3권 (공저)이 있다.
목차

홍순공 · 우리 애기 배에 묶엉 물에 들어
이영자 · 그땐 ‘빗개소녀’ 였지
오희숙 오계숙 오기숙 · 우리 아버지 때문에 사위들도 피해봤어
오홍자 · 아버지 생각에 눈물 잘잘 해도 물질70년
윤옥화 · 난 어멍 팔자 물린 딸이야
박심준 · 그 기억하면 가슴이 벌렁벌렁··· 열 살부터 바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