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공동자원연구총서 009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
- 저자/역자
- 최현 외 지음
- 펴낸곳
- 진인진
- 발행년도
- 2019
- 형태사항
- 399p.: 23cm
- 총서사항
-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공동자원연구총서; 009
- ISBN
- 9788963474120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5458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JG0000005458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다채로운 공동자원의 전통이 남아있는 제주사회의 변동 과정을 '공동자원'과 '공동관리자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전망을 모색한 연구서인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이 발간되었습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가 발간하는 '공동자원연구총서' 아홉 번째 저작입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는 현대사회가 자연과 관계맺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1년 설립된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으로 시작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축적된 이론적, 경험적 성과를 '공동자원연구총서'라는 이름으로 발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은 제주의 사회변동과정에서 위기에 처한 전통문화, 마을만들기, 공동목장, 탑동매립, 제주2공항 및 강정해군기지 건설 등과 같은 공동자원의 위기 사례와 함께 그것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은 모두 10명의 연구자가 참여하여 5개의 주제로 구분된 총 10건의 논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1부에서는 제주시의 공동자원인 '신당'을 소유형태에 따른 관리상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제주 목축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커머닝 사례인 '수눌음'을 소개합니다. 2부 '마을만들기'에서는 선흘1리와 신흥2리 동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마을만들기와 공동자원화의 과정, 사회생태체계 및 생태계 서비스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3부는 제주도 고유의 산업인 목축업의 운영형태인 마을공동목장 조합의 변화 양상과 사례연구를 소개합니다. 4부는 제주항 탑동 일대의 매립 사업 추진 과정과 반대운동의 전개 과정을 두 건의 논문에 나누어 고찰합니다. 5부는 21세기 이후 중앙정부의 시책으로 제주에 요구되는 2대 국책사업인 제2공항 및 강정마을에 대한 문제를 공동자원 관리의 시각에서 정리하였습니다.
2011년 이래 제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작업의 성과로서 제출되는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이 제주도민과 연구자들에게 관심과 각성을 불러일으키기를 기대합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는 현대사회가 자연과 관계맺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1년 설립된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으로 시작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축적된 이론적, 경험적 성과를 '공동자원연구총서'라는 이름으로 발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은 제주의 사회변동과정에서 위기에 처한 전통문화, 마을만들기, 공동목장, 탑동매립, 제주2공항 및 강정해군기지 건설 등과 같은 공동자원의 위기 사례와 함께 그것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은 모두 10명의 연구자가 참여하여 5개의 주제로 구분된 총 10건의 논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1부에서는 제주시의 공동자원인 '신당'을 소유형태에 따른 관리상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제주 목축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커머닝 사례인 '수눌음'을 소개합니다. 2부 '마을만들기'에서는 선흘1리와 신흥2리 동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마을만들기와 공동자원화의 과정, 사회생태체계 및 생태계 서비스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3부는 제주도 고유의 산업인 목축업의 운영형태인 마을공동목장 조합의 변화 양상과 사례연구를 소개합니다. 4부는 제주항 탑동 일대의 매립 사업 추진 과정과 반대운동의 전개 과정을 두 건의 논문에 나누어 고찰합니다. 5부는 21세기 이후 중앙정부의 시책으로 제주에 요구되는 2대 국책사업인 제2공항 및 강정마을에 대한 문제를 공동자원 관리의 시각에서 정리하였습니다.
2011년 이래 제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에 대한 모색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작업의 성과로서 제출되는 『제주사회의 변동과 공동자원』이 제주도민과 연구자들에게 관심과 각성을 불러일으키기를 기대합니다.
목차
이 책을 발간하며 _5
Ⅰ. 전통문화
01 제주시 공동자원 신당의 소유 유형에 따른 관리 상태 송정희·최현 _9
02 제주의 전통적 커머닝 수눌음: 제주 목축문화의 재해석 김자경 _37
Ⅱ. 마을만들기
03 선흘1리 마을만들기와 공동자원의 지속가능성 최현 _59
04 공동자원화의 과정과 사회생태체계 그리고 생태계 서비스
: 신흥2리 동백마을 사례 명지용 _91
Ⅲ. 공동목장
05 근현대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의 변화양상 강만익 _127
06 제주 마을공동목장의 조합원 규정 변화
: 서광서리 마을공동목장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혜 _167
Ⅳ. 탑동매립
07 제주 탑동 공유수면 매립 반대 운동
: 유산의 재구성과 또 다른 상속의 방법 장훈교 _199
08 병문천 복개 과정을 통해 본 탑동 매립 반대 운동 이후 30년 이재섭 _257
Ⅴ. 국책사업
09 제주 제2공항과 민주주의 그리고 '다른' 제주
: 공동자원의 시각 장훈교·서영표 _297
10 커머너로서의 강정 지킴이 윤여일 _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