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제주대학교 SSK연구단 공동자원연구총서 1
공동자원의 섬 제주: 땅, 물, 바람. 1
- 저자/역자
- 최현 외 지음
- 펴낸곳
- 진인진
- 발행년도
- 2016
- 형태사항
- 523p.; 23cm
- 총서사항
- 제주대학교 SSK연구단 공동자원연구총서; 1
- ISBN
- 9788963472904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331.4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 JG0000004690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JG0000004690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의 공동자원 연구 총서 1권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이 발간되었습니다.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은 2011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자연의 공공적 관리와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계속해 왔습니다. 5년간 다수의 논문과 번역서를 내면서 '공동자원론'의 개념을 정식화하는데 매진해 왔으며, 금번에 첫 논문집인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과 『공동자원의 섬 제주 2 : 지역공공성의 새로운 지평』을 발간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공동자원 연구 총서는 SSK연구단이 제창한 '공동자원론'이 기반하여 기획되었으며, 이번에 발간된 2권의 논문집을 필두로 해서 모두 6권의 총서로 완결될 예정입니다.
공동자원연구 총서의 첫 번째 논문집인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은 총서 전체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저작으로서, SSK연구단의 전반적인 문제의식과 주요 연구 대상인 '공동자원론', 토지, 수자원, 풍력자원에 대해 각각 3,4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에서는 공동자원론의 제안 배경 및 개념을 소개하고,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과제를 제시합니다. 2부 '땅'에서는 4편의 논문을 통해 제주의 공동목장을 둘러싼 내용을 소개합니다. 3부 '물'에서는 제주도의 지하수의 공동관리 문제 및 마을 어장 관리 제도에 대해서 다룹니다. 4부 '바람'에서는 풍력발전의 자원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바람의 이용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과 더불어 인문 공동자원으로서의 바람에 대한 내용도 함께 소개합니다.
공동자원 총서 시리즈는 원래 공공재의 성격을 가진 자연자원에 대한 사유화로 인해서 빚어지는 자연파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거대담론의 범주에 속하는 '공동자원'의 개념을 '제주'라는 특수한 자연, 문화 공간에서 그 흔적을 발견하고 되살리는 접근 방식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이어지는 후속 저작으로 그 상세함과 깊이가 더해질 것을 기대하면서, '공동자원론'의 개괄서로서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에 대한 많은 관심을 요청드립니다.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은 2011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자연의 공공적 관리와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계속해 왔습니다. 5년간 다수의 논문과 번역서를 내면서 '공동자원론'의 개념을 정식화하는데 매진해 왔으며, 금번에 첫 논문집인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과 『공동자원의 섬 제주 2 : 지역공공성의 새로운 지평』을 발간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공동자원 연구 총서는 SSK연구단이 제창한 '공동자원론'이 기반하여 기획되었으며, 이번에 발간된 2권의 논문집을 필두로 해서 모두 6권의 총서로 완결될 예정입니다.
공동자원연구 총서의 첫 번째 논문집인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은 총서 전체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저작으로서, SSK연구단의 전반적인 문제의식과 주요 연구 대상인 '공동자원론', 토지, 수자원, 풍력자원에 대해 각각 3,4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에서는 공동자원론의 제안 배경 및 개념을 소개하고,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과제를 제시합니다. 2부 '땅'에서는 4편의 논문을 통해 제주의 공동목장을 둘러싼 내용을 소개합니다. 3부 '물'에서는 제주도의 지하수의 공동관리 문제 및 마을 어장 관리 제도에 대해서 다룹니다. 4부 '바람'에서는 풍력발전의 자원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바람의 이용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과 더불어 인문 공동자원으로서의 바람에 대한 내용도 함께 소개합니다.
공동자원 총서 시리즈는 원래 공공재의 성격을 가진 자연자원에 대한 사유화로 인해서 빚어지는 자연파괴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거대담론의 범주에 속하는 '공동자원'의 개념을 '제주'라는 특수한 자연, 문화 공간에서 그 흔적을 발견하고 되살리는 접근 방식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이어지는 후속 저작으로 그 상세함과 깊이가 더해질 것을 기대하면서, '공동자원론'의 개괄서로서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에 대한 많은 관심을 요청드립니다.
목차
공동자원연구총서 서문 최현 5
공동자원의 섬 제주 1권 서문 정영신 9
제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21
제1장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최현 23
제2장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한국 공동자원 연구의 과제 최현·따이싱셩 41
제3장 엘리너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을 넘어서
: 자원관리 패러다임에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 정영신 80
제2부 땅 127
제4장 제주의 공동목장 :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최현 129
제5장 지도로 보는 제주도 공동목장 해체의 실태 김성훈 153
제6장 제주 마을공동목장 해체의 원인과 사회,생태적 귀결 윤순진 177
제7장 제주 마을공동목장의 재생 사례들 유병연 234
제3부 물 259
제8장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 : 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최현 261
제9장 공수에서 공동자원으로 : 제주 지하수의 먹는 샘물용 증산 논란을 중심으로 김선필 289
제10장 제주 용천수의 이용관행과 물 공동체 문경미 326
제11장 제주도 마을어장 관리제도의 변천 강경민 365
제4부 바람 409
제12장 제주의 바람은 누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최현·김선필 411
제13장 제주도 바람의 자본화에 저항하는 풍력자원 공유화운동 김동주 442
제14장 인문 공동자원으로서 '바람風, 希望' : 한국학 전통에서 본 제주 바람 김치완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