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자료NEW
추락: J. M. 쿳시 장편소설
- 저자/역자
- J. M. 쿳시 지음 / 양은철 옮김
- 펴낸곳
- 문학동네
- 발행년도
- 2024
- 형태사항
- 328 p.: 21 cm
- 원서명
- Disgrace
- ISBN
- 9791141600150 9788954609012(세트)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843.5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지금 이용 불가 (1) | ||||
북카페 | JG0000008444 | 대출중 | 2025.05.09 |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 JG00000084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5.05.09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존재의 중추신경을 건드리는 작가 J. M. 쿳시에게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안겨준 대표작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남아프리카의 보이지 않는
균열에 대한 첨예한 사고
2003년 노벨문학상
1999년 부커상
2015년 가디언 선정 최고의 소설 100
2019년 BBC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한다.”
_보이드 톤킨(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쿳시는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인류 역사에서 이런저런 형태로 존재해온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 성, 인종, 동물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심오하게 형상화해 차원 높은 경지로 끌어올린 작가다. 그의 소설에서 지적 향기와 품격이 느껴지는 것은 그래서다. 『추락』은 그가 쓴 소설 중에서 최고 중의 최고인 소설이다. 영국 BBC 방송이 선정한 ‘죽기 전에 읽어야 할 100권의 책’에 이 소설이 포함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만큼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소설이라는 말이다. 이 소설은 우리에게 예술에서 숭고미가 무슨 의미인지를 느끼게 할 정도로 잘 짜이고 잘 쓰였다. 비애와 비극의 정조가 배어 있는 장엄하고 숭고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소설이라고나 할까. _왕은철(번역가)
“존재의 중추신경을 건드리는 작가”이자 “종달새처럼 솟구쳐 독수리처럼 내려다보는 상상력을 지닌 작가”로 불리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표하는 거장으로 꼽히는 J. M. 쿳시의 대표작 『추락』이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6번으로 출간된다. 『야만인을 기다리며』 『철의 시대』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등 쿳시의 작품들을 꾸준히 번역하고 소개해온 왕은철 번역가의 번역으로, 2000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24년 만에 번역을 다듬어 새롭게 선보인다.
『추락』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백인 정권에서 흑인 정권으로 권력이 이양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배경으로, 추문에 휩싸여 추락한 중년의 백인 교수가 자신과 딸의 명예를 위해 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쿳시는 이 작품으로 한 작가에게 두 번 수여하지 않는다는 전례를 깨고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수상했다.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장 레럴드 코프먼은 “후기식민주의 이후 인류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우화”라고 평했으며,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중 한 명인 보이드 톤킨은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하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오만한 자유주의 지식인의 몰락과 체념
후기식민주의 이후 인류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우화
“저는 치욕스러운 상태로 떨어졌습니다. 거기서 저를 건져올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겁니다. 제가 거부했던 건 처벌이 아닙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의가 없습니다. 반대로, 날이면 날마다 그것에 따라 살아가며, 수치를 제 존재의 현상태로 받아들이려고 합니다.” (본문 242p)
52세의 이혼 남성이자 대학교수인 데이비드 루리는 제자와의 스캔들로 추문에 휩싸인다. 그의 스캔들은 일파만파 퍼지며 대학신문은 물론 지역신문에까지 기사가 나고, 그에게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을 촉구하는 여론이 들끓는다. 급기야 그에 대한 징계위원회가 열리고 위원회의 동료 교수들도 그에게 참회를 요구하지만, 그는 끝내 거부하며 학교를 떠나게 된다. 일단 떠나기로 결심하자 그를 붙들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는 곧장 딸 루시의 시골 농장으로 향한다. 그는 그곳에서 시인 바이런의 열정적인 사랑과 스캔들에 대한 글을 쓰며 자신의 치욕에 담긴 의미를 찾고자 한다.
루리 교수의 유일한 자녀인 루시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를 따라 남아프리카로 이주했다. 그녀는 코뮌의 일원으로 시골에 자리잡았고 공동체가 와해된 이후에도 그곳의 자작농지에 남았다. 이제 그녀는 소박한 드레스를 입고 흙땅을 맨발로 걸어다닌다. 그는 딸의 이런 모습에 낯설어하면서도 이해하고 적응하려 애쓴다. 평화로운 나날들이 이어지던 어느 날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한다. 흑인 괴한 세 명이 농장에 침입해 루시를 겁탈한 것이다. 루리 교수는 그 사건에 매우 분개하지만 정작 루시는 사건을 덮으려고만 한다.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남아프리카,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한 틈
“남아프리카가 진정으로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들어갔는지 의문을 제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 생각에 우리는 현재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하고, 점점 더 편치 못한 틈에 끼어 있는 것 같습니다.”_J. M. 쿳시
『철의 시대』 『야만인을 기다리며』 『마이클 K의 삶과 시대』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모습을 담아냈다면 『추락』은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현실을 다룬다. 쿳시가 『추락』의 집필을 시작한 1994년은 남아프리카의 분수령이 되는 해였다. 남아프리카 최초의 민주적인 선거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로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남아프리카에서 인간 이하의 존재로 취급받던 흑인들은 비소로 인간이 되었다. 만델라 정부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발족시켰고, 아파르트헤이트 체제하에서 인권침해와 폭력을 저지른 자들이 청문회에서 자신의 범죄를 소상히 밝히면 사면해주었다.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화해와 용서의 정신이었다. 과거 청산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던 국가들은 남아프리카의 사례를 본받고자 했다.
쿳시는 이런 남아프리카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지 않았다. 모두가 남아프리카의 행보에 찬사를 보낼 때, 그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필두로 정치계가 제안하는 강제적인 화해 방식에 의문을 품었다. 고통의 역사와 그것의 후유증이란 하루아침에 해소되지 못할 터였다. 그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청산해야 할 잔재와 새로운 시대의 희망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적인 틈을 예리하게 인식하며 남아프리카가 진정으로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들어섰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쿳시에게 『추락』은 과거의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한 틈에 대한 성찰적 사유인 것이다.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안겨준 대표작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남아프리카의 보이지 않는
균열에 대한 첨예한 사고
2003년 노벨문학상
1999년 부커상
2015년 가디언 선정 최고의 소설 100
2019년 BBC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한다.”
_보이드 톤킨(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쿳시는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인류 역사에서 이런저런 형태로 존재해온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 성, 인종, 동물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심오하게 형상화해 차원 높은 경지로 끌어올린 작가다. 그의 소설에서 지적 향기와 품격이 느껴지는 것은 그래서다. 『추락』은 그가 쓴 소설 중에서 최고 중의 최고인 소설이다. 영국 BBC 방송이 선정한 ‘죽기 전에 읽어야 할 100권의 책’에 이 소설이 포함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만큼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소설이라는 말이다. 이 소설은 우리에게 예술에서 숭고미가 무슨 의미인지를 느끼게 할 정도로 잘 짜이고 잘 쓰였다. 비애와 비극의 정조가 배어 있는 장엄하고 숭고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소설이라고나 할까. _왕은철(번역가)
“존재의 중추신경을 건드리는 작가”이자 “종달새처럼 솟구쳐 독수리처럼 내려다보는 상상력을 지닌 작가”로 불리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표하는 거장으로 꼽히는 J. M. 쿳시의 대표작 『추락』이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6번으로 출간된다. 『야만인을 기다리며』 『철의 시대』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등 쿳시의 작품들을 꾸준히 번역하고 소개해온 왕은철 번역가의 번역으로, 2000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24년 만에 번역을 다듬어 새롭게 선보인다.
『추락』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백인 정권에서 흑인 정권으로 권력이 이양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배경으로, 추문에 휩싸여 추락한 중년의 백인 교수가 자신과 딸의 명예를 위해 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쿳시는 이 작품으로 한 작가에게 두 번 수여하지 않는다는 전례를 깨고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수상했다.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장 레럴드 코프먼은 “후기식민주의 이후 인류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우화”라고 평했으며,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중 한 명인 보이드 톤킨은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하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오만한 자유주의 지식인의 몰락과 체념
후기식민주의 이후 인류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우화
“저는 치욕스러운 상태로 떨어졌습니다. 거기서 저를 건져올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겁니다. 제가 거부했던 건 처벌이 아닙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의가 없습니다. 반대로, 날이면 날마다 그것에 따라 살아가며, 수치를 제 존재의 현상태로 받아들이려고 합니다.” (본문 242p)
52세의 이혼 남성이자 대학교수인 데이비드 루리는 제자와의 스캔들로 추문에 휩싸인다. 그의 스캔들은 일파만파 퍼지며 대학신문은 물론 지역신문에까지 기사가 나고, 그에게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을 촉구하는 여론이 들끓는다. 급기야 그에 대한 징계위원회가 열리고 위원회의 동료 교수들도 그에게 참회를 요구하지만, 그는 끝내 거부하며 학교를 떠나게 된다. 일단 떠나기로 결심하자 그를 붙들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는 곧장 딸 루시의 시골 농장으로 향한다. 그는 그곳에서 시인 바이런의 열정적인 사랑과 스캔들에 대한 글을 쓰며 자신의 치욕에 담긴 의미를 찾고자 한다.
루리 교수의 유일한 자녀인 루시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를 따라 남아프리카로 이주했다. 그녀는 코뮌의 일원으로 시골에 자리잡았고 공동체가 와해된 이후에도 그곳의 자작농지에 남았다. 이제 그녀는 소박한 드레스를 입고 흙땅을 맨발로 걸어다닌다. 그는 딸의 이런 모습에 낯설어하면서도 이해하고 적응하려 애쓴다. 평화로운 나날들이 이어지던 어느 날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한다. 흑인 괴한 세 명이 농장에 침입해 루시를 겁탈한 것이다. 루리 교수는 그 사건에 매우 분개하지만 정작 루시는 사건을 덮으려고만 한다.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남아프리카,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한 틈
“남아프리카가 진정으로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들어갔는지 의문을 제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 생각에 우리는 현재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하고, 점점 더 편치 못한 틈에 끼어 있는 것 같습니다.”_J. M. 쿳시
『철의 시대』 『야만인을 기다리며』 『마이클 K의 삶과 시대』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모습을 담아냈다면 『추락』은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현실을 다룬다. 쿳시가 『추락』의 집필을 시작한 1994년은 남아프리카의 분수령이 되는 해였다. 남아프리카 최초의 민주적인 선거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로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남아프리카에서 인간 이하의 존재로 취급받던 흑인들은 비소로 인간이 되었다. 만델라 정부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발족시켰고, 아파르트헤이트 체제하에서 인권침해와 폭력을 저지른 자들이 청문회에서 자신의 범죄를 소상히 밝히면 사면해주었다.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화해와 용서의 정신이었다. 과거 청산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던 국가들은 남아프리카의 사례를 본받고자 했다.
쿳시는 이런 남아프리카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지 않았다. 모두가 남아프리카의 행보에 찬사를 보낼 때, 그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를 필두로 정치계가 제안하는 강제적인 화해 방식에 의문을 품었다. 고통의 역사와 그것의 후유증이란 하루아침에 해소되지 못할 터였다. 그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청산해야 할 잔재와 새로운 시대의 희망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적인 틈을 예리하게 인식하며 남아프리카가 진정으로 새로운 역사적 시기에 들어섰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쿳시에게 『추락』은 과거의 옛것과 새것이라고 희망했던 것 사이의 불안한 틈에 대한 성찰적 사유인 것이다.
목차
추락 7
해설 |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얼음도끼 309
J. M. 쿳시 연보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