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이렇게 작가가 되었습니다

저자/역자
정아은 지음
펴낸곳
마름모
발행년도
2023
형태사항
315p.; 19cm
ISBN
979119782698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7870-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870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소설, 에세이, 논픽션, 서평, 칼럼…
경계를 넘나드는 넓고 깊은 글쓰기의 비밀

√ 글쓰기를 가로막는 ‘잘 쓰고 싶은 마음’에 대처하는 방법은?
√ ‘글쓰기는 양이다!’ 대량 생산을 이끄는 견인장치들은?
√ 다치지 않고 생산적으로 합평에 임하는 방법은?
√ 혹평과 악플을 피하는 칼럼 쓰기의 기술은?
√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솔직하게 나를 드러내는 에세이를 쓰는 법은?
√ 논픽션에 설득력과 객관성을 더하는 필수 요소는?
√ 소설에서 등장인물과 구도를 잡는 방법은?
√ 첫 소설을 쓰려거든 무엇을 소재로 쓰는 것이 가장 좋을까?

2013년 장편소설 《모던 하트》로 한겨레문학상을 받으며 문단에 ‘화려’하게 데뷔한 소설가 정아은은 어느 날 모 신문사로부터 칼럼 청탁을 받게 된다. 원고지 10매 분량으로, 주제에 제한은 없지만 칼럼의 성격상 사회적 의미를 갖춘 글이어야 했다. 같은 지면에 돌아가며 글을 싣는 모든 필자의 글이 좋았고, “나로서는 까무러쳐도 따라갈 수 없을 급으로 보였다”고 작가는 회고한다. 내가 이런 글을 쓸 수 있을까?

청탁을 받은 다음 날부터 작가는 신문이라는 신문의 칼럼을 모두 찾아 읽었다. 짧은 글쓰기에 관한 책도 보이는 대로 사들였다. 한 편의 칼럼을 기고하기 위해 무려 다섯 편의 칼럼 초고를 쓴 뒤, 그것도 각각 서너 번에 걸쳐 퇴고했다. 마감일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을 때, 그중 두 편을 골라 퇴고를 거듭했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야 한 편을 골라, 떨리는 마음으로 송신 버튼을 누른다.

작가는 ‘원래’ 잘 쓰는 사람일까? ‘작가’라면 글이란 글은 모두 잘 쓰는 것일까? 모든 장르의 글을 거침없이 써내려가는 ‘능력자’인 걸까? 10년 넘게 글쓰기를 업으로 살아온 작가 정아은이 전하는 글쓰기의 여정은 첫 칼럼을 송고하던 때와 다르지 않다. 여전히 두렵고 떨리는 일이며, 정답이 없는 무언가를 향해 가는 막연함의 연속이자, ‘잘 쓰고 싶다는 마음’과 끊임없이 사투를 벌이는 일이다.

책에는 작가 정아은이 그 모든 과정을 직접 거치며 몸으로 체득한 글쓰기 노하우들이 빼곡히 담겨 있다. 쓰기의 시작은 왜 그렇게 어려운지, 왜 자꾸 잘 쓰겠다는 마음을 품게 되는지 쓰는 사람의 심리를 파헤쳐 쓰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따져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 방법을 제시한다. 글쓰기의 시작부터 완성까지, 서평, 칼럼, 에세이, 논픽션, 소설로 나누어 각 장르별 글쓰기의 특징과 쓰는 방법, 유의점을 밝힌다. 철저히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기술해 글쓰기를 둘러싼 막연한 두려움과 어려움을 차근차근 깨부수는 이 책은 쓰고자 하는 사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실용적인 도구와 풍부한 연료를 제공한다.

이보다 더 솔직한 글쓰기 책은 없다
누구도 말해주지 않은 글쓰기 세계의 리얼리티

√ “아아, 이번 원고는 너무 잘 쓰지 않았는가!” ― 초고의 감격
√ “다른 작가들은 어떻게 이 순간을 감당했을까?” ― 거절의 충격
√ “이제 그만하는 거다. 외부 기고, 강연…” ― 작가 생활을 접으려던 시도
√ “인정받기 위해 쓴다.” ― 나는 왜 쓰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 “내가 책을 안 내고 말지!” ― 편집자의 끊임없는 수정 요구 앞에서
√ “이.것.도.글.이.라.고.” ― 혹평러와 대결하는 법
√ “지금 하는 얘기는 오프 더 레코드죠?” ― 선을 넘는 기자의 질문 앞에서
√ “그때 알았다. K와 나의 차이를.” ― 동료 작가와의 비교

이 책을 통해 “어떻게 해서 ‘작가’의 핵심 정체성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써서 드러내고 싶었다”고 말하는 작가는, 작가의 핵심 정체성을 ‘거절’이라 정의한다. 작가는 의사나 판검사와 같이 한 번 시험을 통과하면 몇십 년 동안 자리가 보장되는 라이선스 형 직업이 아니다. 편집자의 거절, 대중의 평가, 판매량의 압박, 동료 작가와의 비교 등을 거치며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갱신해야 하는 직업이다. 그런데 어째서 수많은 글쓰기 책이 작가의 그러한 고뇌와 좌절, ‘거절당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일까?

이 책에는 이제껏 한 번도 말해지지 않았던 글 쓰는 이의 현실적인 이야기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작가로 데뷔한 뒤 장밋빛 전망에 휩싸여 살아가던 나날, 어느 날 갑자기 들이닥친 출판사의 거절 메일 앞에서 세상이 끝난 것처럼 절망하던 순간, 만인의 평가 앞에 살아가야 하는 ‘작가’ 일에서 탈출하려 했던 시도, 결국 그런 시도를 내려놓고 다시 돌아와 쓰는 일을 받아들이던 순간을 가감 없이 담았다. 또한 글 쓰는 이로 살아가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일군의 사람들, 즉 편집자, 독자, 기자, 동료 작가 등을 경험하며 깨달은 바를 담담히 풀어놓는다.

책에서 작가는 편집자에게 몇 번이고 묻는다. “이게 책이 될까요?” 끊임없이 재능을 의심하고, 절망하고, 그러면서도 떠오른 이야기를 쓰고 싶은 욕망을 못 이겨 다시 쓴다. “출판이 되든 되지 않든, 베스트셀러가 되든 되지 않든, 사회적 인정을 받든 못 받든, 나는 감각하고 경험한 모든 것을 부지런히 글로 옮기도록 코딩된 그런 생물이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개인 블로그에 글을 끄적이다가 인터넷 서점과 〈오마이 뉴스〉에 서평을 올리던 ‘아마추어’ 시절을 거쳐, 문학상을 받으며 소설가로 데뷔한 이후 ‘전업작가’로 안착하기까지, 수많은 우여곡절을 거치며 작가는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와 글쓰기의 본질에 대해 성찰한다.

한 작가의 내밀한 성장기이자 탄생기이기도 한 이 책에서 작가가 결국 말하려던 것은 이것이 아니었을까. 작가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초고의 불행을 뛰어넘으면 글쓰기의 쾌락이 이어진다. 그리고 ‘쓰는 세계’로 넘어가는 순간, 우리는 작가가 그랬듯 끊임없이 성찰하고 성장하게 된다. 쓰기의 시작부터 쓰는 방법, 작가로 먹고사는 법까지, 작가 정아은이 ‘작가’로서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쏟아놓은 이 책은 ‘쓰는 사람’으로 살아가려는 모든 이들이 기대갈 수 있는 든든한 지지대가 되어준다.
목차

프롤로그

01. 어떻게 시작하는가

“잘 쓰지 않겠다”
정답이 있으리라는 믿음
도약의 순간
대량 생산의 견인장치들
다치지 않고 합평하기 1
다치지 않고 합평하기 2
많이 쓰는 것과 정확히 쓰는 것 사이에서
투입과 산출의 법칙

02. 어떻게 쓰는가

서평
칼럼
퇴고의 기술
명료하게 쓰는 법
반론에 철통 대비하자
에세이
거리 두기
정아은의 경우
치유와 소통
솔직함과 디테일
장강명과 김현진의 경우
논픽션
논픽션이란
밑작업
주석의 예술
논픽션의 동료들
소설
‘말’보다 ‘삶’
설명하기와 보여주기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의 경우
구도와 등장인물 잡기
인간사에 대한 관심
첫 소설을 쓰려거든

03. 쓰는 마음

수상의 기억
거절 메일 1
거절 메일 2

2년 후
다시 쓰기
나는 왜 쓰는가
인정욕구의 화신
소설가 A의 칼럼을 둘러싼 페이스북 월드의 전투
‘잘’ 인정받고 싶다

04. 작가를 둘러싼 사람들

편집자
공무원, 직장 상사 혹은 선생님?
편집자 K
편집자 W
편집자 S
독자
독자란 무엇인가
작가란 누구인가
혹평러와 대결하는 법
기자
동료 작가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