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제주학회 제주학 총서 1

제주 지리 환경과 주민 생활

저자/역자
제주학회 엮음 / 강만익, 강성기, 권상철, 김범훈, 김오진, 김태호, 손명철, 오상학, 정광중, 최광용
펴낸곳
한그루
발행년도
2020
형태사항
335p.: 24cm
ISBN
979119048249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JG000000763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6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문·사회·자연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학술 교류 및 협력, 제주도에 관련된 학문 분야의 연구 진작을 위해 설립된 (사)제주학회의 <제주학 총서> 창간호이다. 제주학회에서 반년간으로 발행하고 있는 학회지 《제주도연구》가 전문 연구 결과 중심의 발표의 장이라면, <제주학 총서>는 제주학 관련 학문 분야 중 하나의 학문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좀 더 대중적인 학술 교양서를 지향하고 있다.
이번 창간호는 제주의 문화와 생활사의 기반으로 자리하고 있는 제주의 지리학을 중심으로 하여 10편의 글을 모았다. 인문 지리 분야와 자연 지리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제주의 지리 환경에 대한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제주도민들의 생활사와 문화상을 살피며 연구의 장을 확장했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학의 역할’에서는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를 다루고 있다. 2부 ‘역사 기록물이 전하는 제주도의 옛 지리 환경’에서는 조선시대 9진성을 중심으로 한 역사지리, 조선시대 제주도의 이상기후와 해양 문화를 살핀다. 3부 ‘오늘날 제주도의 자연 지리 환경’에서는 제주도의 기후 환경과 토지 피복 변화상, 한라산 아고산대의 주빙하 환경과 지형프로세스, 제주도 글로벌 지오파크의 지속가능발전 진단을 실었다. 4부 ‘오늘날 제주도의 인문 지리 환경’에서는 제주의 마을 어장, 한라산지 목축경관, 제주 밭담, 고 정의현성 등을 통해 지리 환경을 바탕으로 한 제주 문화를 다루고 있다.
제주학회는 <제주학 총서> 발간을 통해 앞으로도 제주학 연구의 기본 주제나 핵심 내용을 학문 분야별 또는 주요 주제별로 정리하는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집필진 소개>

강만익: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학사, 제주대학교 사학과 문학박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
강성기: 제주교육대학교 학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초등사회과교육전공 교육학박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장학사
권상철: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 지리학박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교수
김범훈: 제주대학교 농화학과 학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전공 교육학박사, (사)Geo-Jeju 연구소 대표
김오진: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학사,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이학박사, 제주기후문화연구소 소장
김태호: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일본 동경도립대학교 지리학과 이학박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교수
손명철: 관동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육학박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교수
오상학: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문학박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교수
정광중: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일본 일본대학교 지리학과 이학박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최광용: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미국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학교 지리학과 지리학박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교수
목차

책을 내면서 / 정광중
1부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학의 역할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 손명철
2부 역사 기록물이 전하는 제주도의 옛 지리 환경
조선시대 제주도 9진성의 역사지리 / 오상학
조선시대 제주도의 이상기후와 해양 문화 / 김오진
3부 오늘날 제주도의 자연 지리 환경
제주도의 기후 환경과 토지 피복 변화 / 최광용
한라산 아고산대의 주빙하 환경과 지형프로세스 / 김태호
제주도 글로벌 지오파크의 지속가능발전 진단 / 김범훈
4부 오늘날 제주도의 인문 지리 환경
제주의 마을 어장과 이시돌 목장 / 권상철
한라산지 목축경관의 이해 / 강만익
제주도 농업환경에 의한 밭담의 변화 모습과 주민들의 인식 / 강성기
제주도 고(古) 정의현성(旌義縣城)의 문화재 지정 가능성과 관광 활성화 방안 / 정광중
찾아보기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