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탐라문화학술총서;쿰다난민연구총서 2501

왜 지금 난민: 난민의 출현과 인식

저자/역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쿰다'로 푸는 제주 섬의 역사와 난민사업단 / 김진선, 김준표, 김치완, 서영표, 김동윤, 장창은, 전영준, 양정필, 고성만
펴낸곳
온샘
발행년도
2021
형태사항
384p.; 24cm
ISBN
979119717056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6597-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6597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1990년대 후반 이후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급격한 증가와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결혼이주민이 많아지면서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 그러나 종족 통합 신화를 단일민족 신화로 이해해온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는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다. 2018년 발생한 예멘 난민 문제는 형식적인 이념상으로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지만 실질적으로는 타자를 환대하고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이 갖추어지지 않은 한국사회의 단면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왜 지금 난민

역사적으로 난민은 늘 우리 곁에 있었다. 나라를 잃은 유민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인들은 자기 역사와 땅으로부터 유리된 앞이 막막한 난민이었다. 최근 우리가 마주한 난민의 출현은 근대 국민국가의 분할과 탄생에 연동하는 ‘경계 밖으로 쫓겨난 삶’을 배경으로 한다. 난민은 경계를 넘어 우리에게 우리가 누구인지 묻는 존재였고, 우리는 갑작스럽게 출현한 낯선 타자에게 혐오와 증오의 감정을 드러냈다. 우리들의 마음 상태는 신자유주의가 유포한 시장맹신주의와 경쟁, 성장신화에 붙들려 황폐해져 있었고, 우리 안에서 증오와 혐오의 감정을 키워오고 있었다.
우리는 인간을 고립된 이기적 행위자가 아니라 불완전하기에 타자와 협력하고 연대해야만 하는 존재로 다시 정의해야만 한다. 그래야 타자들에 대한 공포가 혐오와 증오로 왜곡되어 나타나지 않고, 이질적인 타자와의 만남에서 이질성을 불편해하지 않으면서 이질적인 이주자들이 자신들의 방식대로 자기 몫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연대할 수 있다.

1부 ‘난민’으로 본 우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 트러블과 제주의 쿰다 문화’를 소개한 후 ‘난민의 출현과 대응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과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정치적 난민과 월경의 문학: 김시종의 경우’를 통해 4.3 항쟁으로 난민의 길을 떠났던 제주 사람들을 기린다.

2부 ‘난민’으로 읽는 타자에서는 ‘삼국시대 난민의 발생 배경과 동향’과 ‘10-12세기 고려의 발해난민 수용과 주변국 동화정책’ 그리고 ‘조선전기 제주도 출륙 포작인, 문명 전환기의 유민 혹은 난민’을 통해 난민에 대한 역사적 실증을 시도한다. ‘국민국가의 틈새에서-대만 2.28 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는 앞에서 언급하였던 현대적 난민 출현의 한 사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간행사 … 4서 문 … 6

1부: ‘난민’으로 본 우리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 김진선 15
Ⅰ. 머리말 15
Ⅱ. 난민 개념의 국제적 형성과 발전 18
Ⅲ. 한인(韓人) 정체성과 난민 인식 23
Ⅳ. 국가와 인권의 범주에서 난민 인식 30
Ⅴ. 자연상태의 난민 개념과 인식 35
Ⅵ. 맺음말 39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 트러블과 제주의 쿰다 문화 ▣ 김준표 43
Ⅰ. 머리말: 하나의 현상, 상반된 인식 43
Ⅱ. 단일 정체성 비판 46
Ⅲ. 다중 정체성의 다문화 사회 51
Ⅳ. 정체성 트러블 55
Ⅴ. 제주의 쿰다 문화 59
Ⅵ. 맺음말 64

난민의 출현과 대응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 ▣ 김치완 67
Ⅰ. 머리말: 난민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의 전제 67
Ⅱ. 월경(越境), 타자의 출현 70
Ⅲ. 봉쇄(封鎖), 타자의 배제 78
Ⅳ. 추방(追放), 타자의 상실 86
Ⅴ. 맺음말: 면역(免疫, im-munitas)의 시간과 난민 94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 ▣ 서영표 99
Ⅰ. 머리말 99
Ⅱ. 공포와 혐오에 대한 이론적 가설 103
Ⅲ. 타자와 공포, 그리고 대중-철학적 회고 108
Ⅳ. 우리시대 공포와 혐오-포스트모던 시대의 혐오정치 113
Ⅴ. 공포의 긍정적 정치화-이론적 탐색 121
Ⅵ. 맺음말 129

정치적 난민과 월경(越境)의 문학: 김시종의 경우 ▣ 김동윤 133
Ⅰ. 머리말 133
Ⅱ. 4・3항쟁의 정치적 난민 135
Ⅲ. 유민으로서의 재일 145
Ⅳ. 월경의 상상력 152
Ⅴ. 맺음말 160

2부: ‘난민’으로 읽는 타자


삼국시대 ‘難民’의 발생 배경과 동향 ▣ 장창은 165
Ⅰ. 머리말: 古代的 ‘難民’의 개념과 유형 165
Ⅱ. 자발적 移住 난민의 유형과 사례 170
Ⅲ. 타율적 徙民 난민의 유형과 사례 190
Ⅳ. 복합적 난민으로서의 유민 사례 210
Ⅴ. 맺음말 215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 전영준 223
Ⅰ. 머리말 223
Ⅱ. 고려전기 발해 난민 발생과 수용 226
Ⅲ. 고려 전기 대외정책과 주변국 포섭 236
Ⅳ. 맺음말 251

조선전기 제주도 출륙 포작인, 문명 전환기의 遺民 혹은 難民 ▣ 양정필 255
Ⅰ. 머리말 255
Ⅱ. 포작인의 특징 258
Ⅲ. 포작인의 기원 267
Ⅳ. 포작인의 출륙 배경 278
Ⅴ. 맺음말 288

제주(濟州)・유구(琉球) 표류 난민의 신분 위장과 경계인 의식 ▣ 김치완 291
Ⅰ. 머리말 291
Ⅱ. 유구 표착 제주인과 출신지 휘칭 294
Ⅲ. 조선 표착 유구인과 국적 위장 302
Ⅳ.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의 경계인 의식 311
Ⅴ. 맺음말 320

국민국가의 틈새에서-대만2・28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 ▣ 고성만 325
Ⅰ. 머리말: 초국가적 상흔의 일국적 처방전 325
Ⅱ. 대만2・28사건의 외국인 327
Ⅲ. 안주의 땅을 찾아서 331
Ⅳ. ‘수난자’ 되기 338
Ⅴ. ‘수난자’ 이후 347
Ⅵ. 맺음말 351

초출일람 353
참고문헌 355
찾아보기 375
필자소개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