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문학의 중력: 고명철 문학평론집

저자/역자
고명철 지음
펴낸곳
b
발행년도
2021
형태사항
461p.; 23cm
ISBN
979118989848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6538-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6538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우리 삶과 현실의 구체성으로 낙하할 수밖에 없는
비평의 중력-고명철 문학평론집 <문학의 중력>


고명철 문학평론집 <문학의 중력>이 나왔다. 제목 중의 ‘중력’은 인간이 땅을 딛고 살 수 있게 하는, 예의 자연법칙 그 중력이다. 저자는 “인간은 중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으며 중력을 체감하며 산다는 것은 인간을 비롯하여 뭇 생명체들과 공존, 상생하는 현실 인식을 갖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공존과 상생이 깨진 현실을 구체적으로 증언하는 작품들, 역사에서 나타나는 패배와 환멸의 서사들을 매개로 하여 이들의 구체성에 천착한 비평을 모은 평론집이다.
<문학의 중력>은 ‘역사와 현실과 마주하는 비평의 비천함’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우리 역사에서 패배의 경험과 지금 현실의 비루한 삶 등을 문학적 진실로 드러냈다면 비평은 이들에게 온전히 낙하하여 다가가는 중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저자는 “생경한 이론과 개념을 무리하게 끌어와 작품을 애써 비평하면 작품의 온전한 실상과 어긋나면서 비평의 구체성이 증발된다. 우리의 삶과 현실의 구체성을 무화시키는 이런 비평은 비평으로서 활력을 잃을 수밖에 없고 비평의 중력을 상실한 셈”이라고 말한다. 이런 의미에서 부제로 단 ‘비평의 비천함’은 반어적이고 도발적이다. 중력을 가졌다면 마땅히 아래로 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문학의 중력>은 5부로 나누어 모두 39편의 글을 실었다.
1부의 부제는 ‘평화 체제를 향한 문학운동/정동’이다. 여기서는 분단의 극복과 평화 체제의 실천을 문학운동의 시각에서 살펴본다. ‘6·15공동선언실천을 위한 민족작가대회’의 성과와 남북 문학 교류의 새로운 동력을 위한 문학운동의 과제를 모색하는 글이 들어 있다. 또 북한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홍석중의 장편소설 <황진이>와 이경자의 분단 서사들, 김재영, 김현식 소설에 나타나는 분단의 문제의식에서 문학이 울리는 정서에 주목한다.
2부 ‘정치적 상상력을 수행하는 언어들’은 단재와 신동엽, 김수영으로 이어지는 혁명의 문학적 사유는 어떤 것인지를 세심히 살핀다. 그리고 이 문학적 사유들을 길어 올려 새로운 혁명의 동력을 구성하는 데 있어 재일조선인 등의 ‘한국어문학’도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을 역설한다. 저자는 “재외동포문학은 그동안 한국문학의 정치적 상상력으로 다루기 힘들었던 문학 사안을 자유롭게 다루는 특장을 지니고 있고, 근대성을 철폐하는 혁명의 임무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어 문학 주체로서 인식해야 하고, 북한문학도 여기에 든다”고 한다.
3부는 일제 강점기, 4·3제주항쟁, 한국전쟁, 5·18광주항쟁 등 역사의 가시밭길에서 패배와 환멸을 껴안은 문학작품의 비평이 주를 이룬다.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식민지배에 협력하는 이야기인가, 아니라면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이 소설에서 보이는 이기영의 정치적 상상력의 스펙트럼은 어떤 단일한 것으로 말할 수 없어” 기존의 독법들을 꼼꼼히 분석한다. 또 4·3제주항쟁을 기억하고 증언한 서사들에서 정치윤리의 언어들을 캐내며, 염상섭의 소설에서는 전쟁으로 삶의 기반과 기존 윤리의식이 붕괴되어 일상이 상처뿐인 전쟁미망인과 이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이 상처를 치유하고 정상적 일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신생의 욕망을 읽어낸다.
4부는 한국사회의 자본주의 세태를 포착한 박완서의 작품과 위험하고 가파른 욕망을 드러내는 한승원의 소설들에서 자본주의·욕망의 구조가 어떻게 짜여 있는지 살핀다. 노동 안팎을 이루는 삶의 현실을 다룬 조영관의 작품과 매춘의 비루한 생을 그린 김우남의 소설 비평은 ‘삶의 심연으로부터 솟구치는 생의 경이로움’을 발견하도록 이끈다. 은미희의 성폭력에 대한 약소자의 증언을 ‘문학적 보복과 구원’으로 위무하기도 한다.
5부는 저자가 ‘압록강의 접경지대를 응시하며’ 식민지 근대의 역사를 환기하고, 폭파된 압록강 단교에서 분단의 현실을 다시 새긴다.

<문학의 중력>은 비평의 과제를 “작품을 매개로 동시대의 삶과 현실에 비평적 개입을 시도함으로써 인간과 세계를 탐구하는 만큼 인간의 삶과 현실의 구체성에 천착해야 할 것”으로 삼는다. 이 과제는 비평의 근본이어서 평범하기도 한데, 저자는 그렇다면 래디컬한 비평이 절실하게 수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목차

책머리에...5

제1부 평화 체제를 향한 문학 ‘운동/정동’
판문점 선언 이후 한반도의 평화 체제를 향한 문학운동...15
판문점, 분단, 그리고 평화의 정동...29
21세기에 마주하는 분단 극복/통일 추구의 문학...39
분단자본주의의 적폐와 마주하는...51
‘분단 극복/민주주의’, 그 뜨겁고 골똘한 성심...61
-이호철의 연작 장편소설 <별들 너머 저쪽과 이쪽>
북한의 정치적/도덕적 정당성을 갖춘 인물이란? ...71
-백남룡의 장편소설 <60년후>
시대의 어둠을 꿰뚫는 비평의 혜안과 문학운동...77
-평론가 임헌영의 현실인식

제2부 정치적 상상력을 수행하는 언어‘들’
혁명, 수행의 언어들: 해방과 민주주의 상상력...99
ㅣ보유ㅣ 해방: 민족의식을 넘어 사회의식의 변혁을 수반하는...123
-테리 이글턴 외 3인의 <민족주의, 식민주의, 문학>
다시 살피고 새롭게 비평해야 할 민중성....129
-김종철의 평론집 <대지의 상상력>
후일담 문학: 역사의 청산주의와 새것의 맹목을 넘어서는...135
생태적 상상력이 깨어날 ‘느낌의 0도’...149
-박혜영의 <느낌의 0도>
4·3문학, ‘대안의 근대’를 찾아...155
부산의 젊은 비평의 풍향계...163
-황선열, 허정, 손남훈, 김필남, 조정민의 비평적 성취를 중심으로
또다시, ‘기초예술’로서 문학을 ‘지원’하는/할 문학예술 정책....181
‘따로 또 같이’의 삶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언어...193

제3부 삶과 역사의 가시밭길을 걷는
제국의 만주 국책에 대한 길항의 정치적 상상력...201
-이기영의 장편소설 <대지의 아들>
전후의 신생을 모색하는 전쟁미망인의 존재 양상...229
-염상섭의 장편소설 <화관>
제주 항포구의 창조적 저항과 응전...243
-오경훈의 연작소설 <제주항>
기억, 증언, 그리고 증언문학: 4·3항쟁의 정치윤리의 언어들...257
풍화하는 해방공간에 맞선 정치적 상상력...273
-강기희의 장편소설 <위험한 특종>
5·18광주민주화항쟁: 낭만적 초월, 역설의 숭고성, 역사의 시간...285
-정도상의 장편소설 <꽃잎처럼>
패배와 환멸을 껴안고 넘어가는...291
-손병현의 장편소설 <동문다리 브라더스>
식민주의 근대와 공모하는 민낯, 그 왜상 ...303
-심윤경의 장편소설 <영원한 유산>
바람섬의 구술서사: 제주어, 제주 여성, 제주의 역사적 풍정과 삶 ... 309
-한림화의 소설 <The Islander>
베트남전쟁, 당신의 기억은 공정하십니까?...317
-비엣 타인 응우옌의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다>

제4부 삶의 심연으로부터 솟구치는 생의 경이로움
박완서가 포착한 한국 자본주의 정동의 미망...325
-<휘청거리는 오후>, <미망>을 중심으로
뜨거운 세상을 이루는 것들: 노동, 현실, 그리고 삶...333
-조영관의 소설세계
욕망의 바다, 바다의 욕망...343
-한승원의 「목선」, <멍텅구리배>, <항항포포>를 중심으로
자기 탐구와 모험, 그리고 주체적 욕망...351
-고시홍의 소설집 <그래도 그게 아니다>
비루한 생을 이루는 삶의 경이로움...361
-김우남의 장편소설 <릴리 그녀의 집은 어디인가>
문학적 보복과 구원: 성폭력에 대한 약소자의 증언...373
-은미희의 단편 「가족사진」
욕망의 생태도: 자기애와 질투의 정동에 대한 성찰...381
-김경순의 장편소설 <빌바오, 3월의 눈>
비루한 삶의 경계를 넘는 숭고한 사랑...391
-윤성호의 소설집 <룰렛게임>
우리 시대 두 젊은 신예와의 조우...401
-민병훈과 이세은

제5부 압록강의 접경지대를 응시하며
소년, 압록강을 넘었으나 돌아오지 못한 ...413
-이미륵의 장편소설 <압록강은 흐른다>
단동과 압록강, 접경지대의 역사와 일상...419
남만철도와 만주, 그리고 동아시아...431
러일전쟁, 푸이, 압록강의 다리들 ...447

수록작품 출전...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