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한국 괴물 백과

저자/역자
곽재식 지음 / 이강훈 그림
발행년도
2019
형태사항
655p.: 19cm
ISBN
979118935611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5079-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079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SF 작가 곽재식이 '곽재식 속도'와 무관하게 11년간 채집한 한국의 괴물 282종

곽재식은 2007년부터 '게렉터(gerecter)'라는 필명으로 한국의 괴물을 채집해 자신의 블로그(https://oldstory.postype.com)를 통해 공개해왔다. 여기에 어떤 사명감 같은 것은 없었다. 그저 옛날을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을 써보기 위해 자료 조사차 시작한 일이었다. 사극이나 영화를 통해 알려진 모습이 아니라 진짜 옛날 사람들이 남긴 진짜 옛날이야기가 무엇인지 알고 싶을 뿐이었다. 바람이 있다면 자신 같은 창작자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것 정도였다. 그 사이에 그의 블로그는 그동안 민속학 연구자, 소설가, 게임 및 웹툰 시나리오 작가, 졸업 작품을 준비하는 학생 등의 참고 자료로 활용되면서 암암리에 '온라인 괴물 소굴'로 알려져왔다.

이 책 『한국 괴물 백과』는 곽재식이 채집한 한국 괴물 가운데 282종을 이강훈의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엮은 것이다. 그 전에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이 있다. 곽재식은 오늘날 널리 알려진 괴물들에 관한 묘사의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우리에게 도깨비는 모름지기 정수리에 뿔이 돋아나 있고 거적 비슷한 천을 몸에 두른 채 울퉁불퉁한 방망이를 손에 들고 있어야 한다. 구미호는 풀어헤친 머리에 소복을 입고 둔부 근처에 여우 꼬리 아홉 개가 달려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정확한 근거 없이 평소에 대중매체를 통해 접한 경우가 제법 흔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진짜 한국 괴물, 괴물을 둘러싼 상상력의 기원을 찾아

이에 따라 곽재식은 괴물을 채집하기 전에 몇 가지 원칙을 세웠다. 『용재총화』, 『어우야담』,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문선』, 『대동야승』 등 18세기 이전의 기록으로 남아 있는 괴물로 한정하고, 괴물을 소개할 때 되도록 자의적 해석을 배제했다. 괴물의 이름이 불분명한 경우, 임의로 이름을 붙이는 대신 괴물이 기록된 문헌의 특징적 구절을 이름으로 삼고, 괴물을 설명할 때는 괴물이 기록된 문헌이나 괴물을 묘사한 공예품 등을 참고했다. 그 이후에 기록된 괴물, 작자가 불분명한 문헌에 기록된 괴물, 소설 속에만 등장하는 괴물, 기록 없이 구전된 괴물은 배제했다. 성격이 비슷한 괴물은 한데 합치고, 이름이 같더라도 모습과 성격이 다르면 다른 괴물로 분리했다. 괴물을 묘사한 일러스트레이션 또한 곽재식이 정리한 자료에 기반을 두었다. 어떤 면에서 '괴물'보다는 '한국'에 방점이 찍힌 이 책은 괴물을 둘러싼 상상력의 기원을 찾아보려 한 결과물 또는 궤적이다.

그 자체로 괴물

한국 SF계에만 적용되는 속도가 있다. 6개월 동안 단편소설 네 편을 써내는 '곽재식 속도'가 그것이다. 따라서 누군가 6개월 동안 단편소설 두 편을 써냈다면, 그는 '0.5 곽재식 속도'로 집필한 셈이 된다. 떠도는 소문에 따르면 곽재식은 평소 '2 곽재식 속도'로 집필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곽재식 속도와 무관하게 그저 취미처럼 시작한 일이 올해로 11년째가 되었다. 이 책 『한국 괴물 백과』는 말 그대로 일단락에 불과하다. 곽재식의 한국 괴물 채집은 앞으로도 계속되고, 우리는 평소와 다름없이 그의 블로그를 통해 때로는 질문도 던지고 응원도 하면서 이 과정을 지켜보게 될 것이다. 이 책 또한 한 권의 사전으로서 계속 업데이트될 것이다. 어쨌든 괴물 같은 책, 아니 책 형태를 띤 괴물은 이렇게 탄생했다. 모습이 조금 곱더라도 겉모습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될 일이다.
목차

서문

가면소수, 가사어, 감서, 강길, 강수선생, 강철, 거루, 거인, 거잠, 거치봉발, 견상여야록, 계룡, 고관대면, 고산나봉, 고수여칠, 공리비사, 공주산, 관비산란, 괴외촉천, 교전지상, 궁중괴수, 귀구, 귀봉변괴, 근화초, 금갑장군, 금섬, 금와, 금완연, 금우, 금저, 기남삼인, 남입연중, 내투지응, 노구화위남, 노구화호, 노작저, 노호정, 녹족부인, 단피몽두, 대귀·소귀, 대망, 대영차, 대인, 도깨비, 도깨비불, 도피사의, 독각, 독흑리, 두생일각, 마귀, 마면졸속, 마명조, 만불산, 만인혈석, 망량, 면괘어리, 명주단원, 모색심명, 목노개생염·목비개생발, 목랑, 목야유광, 목여거, 목요, 목우사자, 묘아두, 무고경주, 무두귀, 반회반흑, 백갑신병·흑갑신병, 백룡, 백사, 백악산야차, 백어, 백작, 백장, 백치, 백포건, 백호, 범어, 별여동전, 별이절대, 병화어, 복기, 복중능언, 봉두귀물, 부석, 부유면, 분귀, 비유설백, 빙탁지성, 사기중인, 사두여장, 사린, 사비하대어, 사십팔용선, 산예, 삼각록, 삼각우, 삼구일두귀, 삼대봉, 삼목인, 생사귀, 서묘, 서입기혈, 서천객, 석굴선생, 선비화, 선할선속, 성광입구, 성모, 소백충, 소산부래, 소여구아, 소여수오승, 속독, 수류견, 수승지앵, 수악당, 수일이점대, 식인충, 식호표, 신기원요, 신록, 신선골, 신유육면, 신작, 쌍두사목, 압골마자, 야광, 약산저상, 약입토, 양액유우, 양육각, 어개일목, 어룡, 어탄독물, 어화인봉, 여용사, 여이조, 여인국, 연지신물, 연처위사, 염매, 엽인족항, 영춘남굴, 오공원, 오래명운, 오만진신, 오색란연, 옥기린, 와유자기, 완전전요, 요무지귀, 용마, 용손, 용아, 우차안, 우핵유문, 유계량, 육덕위, 육안귀, 육절이굴곡, 은불, 의충폐해, 이수약우, 이죽이병, 익대여후, 인갑여전, 인삼구척, 인수사신, 인어, 인어사, 일각록, 자염장부, 자의남, 자이, 장구당로, 장미토, 장백척, 장수피, 장시상천, 장원심, 장인, 장화훤요, 재차의, 적색일괴, 적오, 정여우후, 제성대곡, 조갑여옥, 족여서족, 종, 주견사, 주표, 죽통미녀, 중서함미, 지귀, 지엽부포, 차귀, 착착귀신, 처우담중, 천구, 천량, 천록벽사, 천모호, 천신, 천우인, 청군여귀, 청목형형, 청색구인, 청우, 청흑충·황흑충, 추여묘, 춘천구, 출목축비, 충기여서, 취생, 침중계, 탁탁귀병, 탄주어, 토육대, 토주원, 편신모, 해중방생, 해중조, 해추, 향랑, 현구, 협사이함, 형화만실, 호구록모, 호문조, 혹언박혹언맥, 홍난삼, 화소기미, 화위루의, 황룡, 황연의구, 회음, 훼훼귀신, 흑기암심, 흑룡, 흑호, 희광, 희랑

신라의 신과 마귀, 『삼국유사』의 신화: 곡도노호, 귀입궁중, 금전문노승, 기장산웅신, 길달, 나림, 동악신, 동지, 동해룡, 마령신인, 만어산오나찰녀, 명사, 보대사, 북천신, 사방대력신, 상심, 서해약, 선도성모, 아사달산신, 역신, 오악삼산신, 운제, 이목, 일산 신인·오산 신인·부산 신인, 일월지정, 장천굴 굴신, 정성천왕, 지백급간, 처용, 천사, 천제, 치술신모, 하백, 함달파, 호국대룡, 환웅, 환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