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박완서 산문집 6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수

저자/역자
박완서 지음
펴낸곳
문학동네
발행년도
2015
형태사항
412p.; 20cm
총서사항
박완서 산문집; 6
ISBN
978895463458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2654-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2654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그리운 이름, 박완서
살아 있는 목소리로 다시 만나다!

한국 현대사를 온몸으로 살아온 생생한 경험담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냉철한 눈, 소소한 일상에서의 아기자기한 이야기까지-


2011년 1월 22일, 한국 문단은 소중한 작가 박완서를 떠나보내고 큰 슬픔에 잠겼었다. 1931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광복과 한국전쟁, 남북분단 등 현대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겪었던 박완서 작가는 1970년 불혹의 나이에 문단에 데뷔하여 2011년 영면에 들기까지 40여 년간 수많은 걸작들을 남겼다. 2015년, 그가 우리 곁을 떠난 지 4년째를 맞았다. 더이상 그의 신작을 만날 수는 없지만, 그가 40여 년간 세상에 내놓은 작품들은 여전히 이곳에 남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박완서 작가는 자신의 작품으로 인해 영원히 죽지 않는 작가가 되었다. 하여 해마다 그의 기일이 돌아올 때마다 그를 잊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소소한 움직임들이 이어지고 있다. 박완서 작가 4주기에 맞춰 발간된 그의 초기 산문집 일곱 권도 그렇게 작지만 진심 어린 마음을 담고 있다.

더이상의 수식이 필요 없는 작가 박완서는 소설뿐만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해 발표한 산문들도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77년 평민사에서 출간된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를 시작으로 박완서 작가는 꾸준히 산문집을 출간했다. 각각의 책에는 그의 작품 이면에 숨겨진 인간 박완서의 삶과 어머니이자 아내, 중산층으로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한 국민으로서 사회를 바라보는 비판적 시선, 소소한 일상에서 느끼는 행복과 즐거움이 오롯이 담겨 있어 읽는 이로 하여금 소설과는 또다른 재미와 감동을 느끼게 한다.

문학동네에서 이번에 출간된 박완서 산문집은 그의 첫 산문집을 포함한 초기 산문집 일곱 권이다. 1977년 출간된 첫 산문집을 시작으로 1990년까지 박완서 작가가 펴낸 것으로서, 초판 당시의 원본을 바탕으로 중복되는 글을 추리고 재편집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독자들을 찾아간다. 각각의 제목은 1권 『쑥스러운 고백』, 2권 『나의 만년필』, 3권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들』, 4권 『살아 있는 날의 소망』, 5권 『지금은 행복한 시간인가』, 6권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수』, 7권 『나는 왜 작은 일에만 분개하는가』이다. 당시와 한글 맞춤법이 많이 바뀌어 현재의 맞춤법에 따라 수정을 하였지만, 박완서 작가 특유의 입말을 생생하게 살리기 위해 다양한 표현들은 그대로 살렸다. 그러나 수록된 산문에서도 드러나거니와 우리말에 대한 관심과 바른 말 쓰기에 대한 신념이 확고했던 작가인지라 40년이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전혀 어색함이 없을뿐더러 그 시간의 차이도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생생하게 다가온다. 특히 박완서 작가의 맏딸 호원숙 수필가가 일곱 권의 산문집이 새롭게 독자들 앞에 설 수 있도록 출간 과정을 함께했다.

한편, 각각의 표지를 장식하는 이미지들은 이병률 시인과 박완서 작가의 손녀 김지상씨가 사진으로 찍은 박완서 작가의 유품이다. 이로써 안에 담긴 내용뿐 아니라 새로 차려입은 새옷에 담긴 그 의미까지 더욱 풍성해졌다.

무엇보다 이번 일곱 권의 산문집이 반가운 이유는, 여러 가지로 힘든 상황에 놓인 현재의 우리들에게 이 책을 통해 마치 박완서 작가가 살아 있는 목소리로 위로를 전하는 것 같아서가 아닐까. 한국 현대사를 온몸으로 살아온 작가의 생생한 경험담과 당시 사회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바라보는 냉철한 눈, 작가로서 또는 평범한 생활인으로서 가지는 소소한 일상에서의 아기자기한 이야기가 펼쳐지는 이 일곱 권의 산문집은, 길게는 40년 가까운 시간이, 짧게는 25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2015년 현재에도 유효할 뿐 아니라 여전히 가슴을 울리기 때문이다.

“뛰어난 이야기꾼이고 싶다”

박완서 산문집 6권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수』는 1986년 출간된 『서 있는 여자의 갈등』을 재편집한 책이다. 박완서 산문집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읽고 또 읽어도 재미있는 이야기는 아마도 작가의 유년의 기억에 대한 글들이 아닐까 싶다. 교육열 높은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서울로 와서 학교를 다니며 겪었던 다양한 일화들은 과거에 대한 향수를 넘어 재미있는 소설을 읽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1부 성차별을 주제로 한 자서전’에 실린 글들과 ‘3부 서울내기 시골뜨기’ 안의 몇몇 글들을 읽으며 잔잔한 미소를 머금다가 이내 마음이 먹먹해지기도 하는 것은 그 이유일 것이다.
또한 박완서 산문집에는 종종 누군가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된 글들도 눈에 띄는데, 특히 이 책에서는 3부 후반에 조카딸과 손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있다. 잘못되었다고 생각되는 일에 거침없는 독설을 발하는 작가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이 따뜻하고 애틋함이 담뿍 담긴 이런 편지글에서 작가 박완서가 가진 또다른 매력을 확인할 수 있다.

내 작품세계의 주류를 이루는 이런 작품들의 결정적인 힘은 6?25 때의 체험을 아직도 객관화시킬 만한 충분한 거리로 밀어내고 바라보지 못하고 어제인 듯 너무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는 데서 비롯됨을 알고 있다. 알고 있건만 모든 기억들은 시간과 함께 저절로 멀어져가 원경이 되는데 유독 6?25 때의 기억만은 마냥 내 발뒤꿈치를 따라다니는 게 이젠 지겹지만 어쩔 수가 없다. 그래서 6?25를 주제로 한 소설은 아무리 써봤댔자 대작을 쓰긴 틀렸다는 막연하면서도 확실한 예감 같은 걸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제 그런 소설은 그만 쓰겠단 뜻은 결코 아니다.
나의 동어반복은 당분간 아니 내가 소설가인 한 계속될 것이다. 대작은 못 되더라도 내 상처에서 아직도 피가 흐르고 있는 이상 그 피로 뭔가를 써야 할 것 같다. 상처가 아물까봐 일삼아 쥐어뜯어가면서라도 뭔가를 할 수 있는 싱싱한 피를 흐르게 해야 할 것 같다.
왜냐하면 그건 내 개인적인 상처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무참히 토막 난 상처이기 때문이다._「나에게 소설은 무엇인가」 중에서
목차

1부 성차별을 주제로 한 자서전
나에게 소설은 무엇인가 | 서울 살림 | 큰 집 앞의 미끄럼틀 | 잃어버린 뒤란 | 한아버님전 상사리 | 문밖에서 | 시험 준비 |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 서울 친척 | 가정방문 | 서울 아이 | 작두춤 | 한여름밤의 숨바꼭질 | 성차별을 주제로 한 자서전

2부 서 있는 여자의 갈등
서 있는 여자의 갈등 | 위기의 남녀 | 무력증 | 어떤 폭력 | 택시 기사와 유언비어 | 너도나도 힘써야 할 일 | 들이대기 전에 잠깐만 | 새해에 받아내고 싶은 약속 | 자기 문제와 모두의 문제 | 이 봄을 우울하게 만든 일들 | 오월을 보내면서 | 어른과 아이 | 말 가난 | 10년 만의 조국 | 부러운 다양성 | 우리들 보통 사람의 미국 | 외국 같다

3부 서울내기 시골뜨기
화로를 인 여인 | 배추 꽁바기 | 잉꼬 | 이름 붙은 날 | 강변에서 | 서울내기 시골뜨기 1 | 서울내기 시골뜨기 2 | 서울내기 시골뜨기 3 | 잊어버린 것투성이 | 가을 기운 | 겨울 제비 | 어떤 주제 파악 | 창 | 라일락의 계절 | 북으로 간 여배우 | 할머니 | 소녀의 편지 | 조카딸에게 보내는 편지 | 발자국 소리에도 곡조가 있는데

4부 이멜다의 구두
어떤 고행 | 어떤 몸서리 | 이멜다의 구두 | 눈 온 다음날 | 진한 음식과 말 | 쓸쓸한 일 | 씨름이 좋아 | 어둠의 길 | 싫고 슬픈 일 | 육필 | 공주 인형 | 털 코트 | 자선과 어린이 | 신바람 | 도중하차 | 문학작품의 영상화와 주인공 이미지 | 교양과 오락 | ‘마아’와 ‘얄리얄리 얄랑성’ |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