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비자나무 숲: 권여선 소설집

저자/역자
권여선 지음
발행년도
2013
형태사항
293p.; 20cm
ISBN
978893202390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1967-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1967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영원히 잊지 못하리라’던
그 일은 대체 어떤 일이었을까?

망망한 망각의 힘에 밀려 살아온 운명에 대한 애정 어린 성찰, 권여선의 네번째 소설집 『비자나무 숲』

시간의 연속 사이에서 - “나는 도대체 어디로 가려고 했던 것일까”

지난해 출간한 장편소설 『레가토』(창비, 2012)로 제45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하며 “항쟁세대의 고해성사라고 부를 만한 권여선 소설의 절정이자 한국 문학에서 기억의 윤리학이 성숙하고 있다는 증거”라는 평을 받아안은 권여선이 네번째 소설집 『비자나무 숲』(문학과지성사, 2013)을 선보인다. 2010년에서 2012년에 걸쳐 발표된 중단편을 모은 이 책은 ‘시간과 기억’에 대한 작가의 천착은 여전하지만 앞선 작품 『레가토』가 ‘학생운동’의 절정인 한 시기의 기억을 불러낸 것이라면, 이번 소설집은 짧고 긴 인생들 사이에서 쌓고 지워가는 기억과 망각의 깊이를 통해 삶의 심연을 가늠하게 한다. 절대 잊지 못하리라던 기억을 깨우는 잔상들을 하나씩 좇아 힘겹게 불러내지만 그 또한 실제 ‘사건’과는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젊은 날 한 시기를 동거하며 매일같이 함께 생활한 친구와 그 속에 품은 자신의 치기와 과오들을 까맣게 잊고 살아 왔음을 떠올릴 때, 우리가 인생이라는 망각의 힘에 이끌려 얼마나 많은 사람을 잊고 얼마나 많은 시간을 잃어버렸는지를 생각하면 섬뜩하다. 또 우리의 인식 뒤로 숨은 그 많은 망각들은 얼마나 허무한 인생인가. 하지만 이것은 목적한 대로 살 수 없다는, 인생이 하는 일에 인간이 참여할 수 없다는 절망인 동시에 해방이고 자유이기도 하다. 이 작품집을 통해 우리는 실로 무수한 비자림에 가려진 인생들을 성찰하고 삶이 품은 기억과 시간의 흔적을 받아들인 권여선의 해방과 자유를 발견하게 된다.

기원을 찾아가는 영험한 감각, 여기서 포인트는 시간이 아니라 장소다. ‘아님’으로만 드러나는 장소. 권여선의 소설에서 실로 무수한 비자림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녀의 소설은 비밀을 폭로하는 소설이 아니라, 비밀이 거기에 있음을(다시 말해서 삶에 내재해 있음을) 알려주는 소설이다. 저 만곡의 끝이 흐릿하게 실종되었다. 요컨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지 않는 채로 보여주기, 그것이 바로 비자 숲의 기하학이다. _양윤의(문학평론가)

삶을 도드라지게 하는 사랑의 기하학 - “나를 꼭짓점으로 하는 좁고 길쭉한 삼각형”
권여선의 작품에는 주인공이 따로 없다. 아니 그보다는 모든 인물이 자기 역할과 메시지를 갖는다. 그래서 모든 인물들은 개인으로서보다는 거리와 각도가 제도된 관계의 좌표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별한 기술은 서술자가 서술 대상을 통해 역으로 대상화되거나 길게 말하고 설명하지 않고도 깊은 ‘잔상’을 남기는 방식으로 여운을 준다. 작품 「팔도기획」에서 서술자 ‘나’는 사람들이 자리한 지점들을 연결하며 전혀 다른 방식의 삶의 태도를 가진 사람들 사이를 넘나든다. 사회적으로 환영받는 융통성과 ‘눈치’ 대신 요령 없고 괴팍한 한 사람이 일깨우는 ‘인간의 고독’은 맹물보다 옅은 소금물이 더 싱겁게 느껴지는 아이러니처럼 인간 이해를 새롭게 한다. 이런 진실을 고백하는 일은 “글에 향기를 불어넣고” “영혼의 진동”을 실제로 맛보게 하면서 이 오래된 말들이 얼마나 인간에게 가까운 것인가를 느끼게 한다. 또 「은반지」에서는 가느다란 ‘은반지’로 이어진 두 인물 사이의 오해와 증오를 통해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대변한다. 금욕적이고 베푸는 태도로 살아온 오 여사처럼 아무리 잘 살아왔다고 자부해도 인생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상처를 주고받는 ‘관계의 조건’을 갖는다. 늘그막에 자신을 증오하는 한 사람을 대면하는 처절한 감정은 인생의 한 단면을 극대화해 보여준다. 「길모퉁이」는 ‘코너’에 자리한 미용실의 도상을 통해 왼쪽으로 돌면 ‘탄 머리 재생’ 오른쪽으로 돌면 ‘신부화장 예약’으로 향하는, 일순간 들어선 한 길이 되돌릴 수 없는 방향으로 인생을 몰고 가는 형상을 “세상은 어제와 같고 시간은 흐르고 있고 나만 혼자 이렇게 달라져 있다”라는 노래 가사에 실려 보낸다. 문학평론가 양윤의는 이러한 권여선의 치밀한 소설적 제도를 두고 “권여선이 가르쳐준 사랑의 기하학은 사랑의 완전연소 즉 제로지점을 향해 질주하는 소멸의 드라마다. 그러나 끝내 거기에 이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러한 삶의 황폐 속에서도 “권여선이 기하학적 요소를 다룰 때 그것이 명제화의 논리나 확실성의 기호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셈하고 연역할 수 있는 자본화된 언어는 여기에 없다. 오히려 명백한 오산(誤算)의 가능성이 삶을 도드라지게 만든다”는 말로 작가의 특징을 설명한다. 고도로 치밀한 계산으로 인생의 심연을 끌어올리면서도 어떤 자본화된 언어, 세련된 명제 대신 오직 삶으로 도드라지게 하는 방식. “권여선은 누구보다 그것을 잘 아는 작가이다.”

비자나무 숲의 비밀 - “도우가 웃고 어머니가 웃고 나도 웃었다”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은 작품집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축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애인의 죽음, 형의 죽음, 아들의 죽음을 가운데 두고 있는 세 인물의 만남을 다룬다. 서로의 존재 자체가 아픔의 상기이고, 상처의 복기인 이들의 만남은 시작 전부터 ‘대체 왜?’라는 의문을 품게 한다. 그러나 이들은 어느 한 가족의 만남처럼 투닥거리며 식사를 나누고 바람을 쐬러 비자 숲으로 향하며 형을 추억하는 한 일화를 말하면서, 한여름 뙤약볕 아래를 달리는 차 안에서 모두가 웃음을 터뜨린다. 불러 애도할 이름이 소멸된 것이 존재의 소멸보다 애석하다고 말하던 주인공은 그 순간 발작을 하듯 웃음을 터뜨린다. 이는 긴 시간 속에서 상처도 추억도 그러안는 인간의 너른 품과 살아 있는 한 웃을 수 있다는 인생의 또 다른 단면과 마주하게 하며, 그들이 향해 달리는 “점점이 깃털처럼 흩어진 구름 사이로 햇살이 분말처럼 반짝”이는 그러나 아직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비자 숲(삶의 굴곡)으로 들어가기를 기꺼이 반기게 한다.
목차
팔도기획--은반지--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길모퉁이--소녀의 기도--꽃잎 속 응달--진짜 진짜 좋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