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추천도서

추천도서

일반자료

사람은 홀로 죽는다: 무연사회를 살아가기 위하여

저자/역자
시마다 히로미 지음 / 이소담 옮김
펴낸곳
미래의창
발행년도
2011
형태사항
239p.; 19cm
원서명
人はひとりで死ぬ: 「無緣社會」を生きるために
ISBN
978895989161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0722-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0722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죽음이 극대화한 무연사회의 고독감
2010년 연초에 NHK 방송에서 내보낸 <무연사회 : ‘무연사’ 3만2천 명의 충격>이라는 스페셜 프로그램을 보고 일본 사회는 그야말로 충격에 빠졌다. 지켜보는 가족도 없이 죽음을 맞고 별다른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는 무연사 사례들을 지켜보며 사람들은 죽음보다 더한 공포를 느꼈다. 연고 없는 죽음 연 3만2천 명, 장례 없는 화장(직장) 풍습의 확산, 스스로 사후를 대비하는 임종 노트 유행, 유품정리업체 등 가족대체 서비스의 등장……. 이런 충격적인 뉴스의 이면에서 우리가 직시해야 할 삶과 죽음에 관한 진실은 무엇인가.
공동체 기반이 흔들린 고령화 사회에서 홀로 살다 홀로 죽어가는 무연사, 또는 고독사는 이제 피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NHK 방송이 아직 젊은 30대들에게 특히나 큰 충격을 주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인터넷이 발달한 환경에서 지독히 개인적인 삶을 살아가고 대부분 비정규 고용 형태에 머물러 있으며 ‘평생 싱글족’을 자연스럽게 선택하는 이들이 노년을 맞을 때, 우리 사회의 고독감은 오늘에 비할 수 없이 극대화될 것이다.

‘무연’과 자유는 같은 말이다
무연사회가 두려운 사람들은 유연사회로 돌아가기를 바랄까? 저자는 일본이 고도경제성장기를 맞았던 1950~60년대에 시골에서 도시로 상경한 사람들의 이동을 ‘유연사회로부터의 대 탈출극’이었다고 묘사한다. 말하자면 ‘무연’은 개인의 자유를 간섭하고 속박했던 촌락사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당시 사람들이 발견해낸 한 줄기 빛이었다.
촌락사회의 룰을 경험한 1세대 도시인들은 학교, 기업, 스포츠, 또는 종교를 통해 비교적 자유로운 유연관계를 이어갔다. 기업이 상주를 맡아 치르는 회사장, 단체 활동을 통해 조직의 힘을 가르치는 학교, 지역을 기반으로 전성기를 구가한 프로야구와 고교야구, 다양한 신흥종교의 출현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하지만 촌락사회 경험이 전혀 없는 다음 세대가 사회의 일원으로 합류하면서 기업도, 도시도 빠르게 공동체적인 성격을 잃어갔다. 전승할 가업이 없는 샐러리맨 사회에서는 가정도 무연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이다. 샐러리맨 사회는 과거와 달리 결혼에 대한 압박도 적어 남녀 할 것 없이 미혼율이 치솟고 있고, 고령화 사회와 불황이 맞물리면서 혼기를 넘기고도 부모의 경제력에 기대어 사는 고령 독신자들도 늘고 있다. 이들은 ‘무연사 예비군’이나 마찬가지다.
아무도 돌보는 않는 죽음은 고독하다. 그렇다고 독신을 그만둘 것인가? 과거 촌락사회의 끈끈한 공동체로 돌아갈 것인가? 과거에 무연과 자유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졌듯이 오늘날에는 독신이 자유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

모든 죽음은 본질적으로 무연사다
종교학자인 저자는 다양한 종교에서 죽음을 이해하고 긍정해 온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현대인들이 죽음에 대한 막연한 공포로부터 벗어나도록 돕는다. 기독교에서 죽음은 끝이 아니다. 최후의 심판을 거쳐 천국으로 가는 길, 즉 부활이 기다리고 있다. 힌두교와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는 생을 4주기로 나누고, 그 마지막 단계에 가정, 재산, 그 밖의 소유물을 모두 버리고 무일푼으로 생활하는 ‘유행기’를 두었다. 현대인도 사회에서 큰 공을 세워 널리 명성을 떨친 뒤 유행 길에 오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들을 기다리는 미래는 객사다. 바로 무연사다.
임종을 지키는 사람이 있든 고독하게 홀로 죽든 “모든 죽음은 본질적으로 무연사”라고 말하는 저자는, 무연사회의 이슈로 자주 거론되는 장례 간소화 문제에 관해서도 시대 변화에 따른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묘지를 지키는 문화는 그리 오랜 전통이 아니었다. 과거에 전염병이나 전쟁으로 일찍 세상을 뜨게 된 사람들의 혼을 달래기 위해 기일을 기억해 제사지내는 관습이 생겨났다. 하지만 지금은 대부분 사람들이 80대, 혹은 90대까지 대왕생 하는 시대이니, 장례 문화가 간소해지는 것도 당연하다는 설명이다.
저자의 이 같은 현실 진단은 삶과 죽음의 문제에 결코 ‘쿨’하지 못한 보통사람들에게 조금 비정하게 들리기도 한다. 하지만 삶도 죽음도 인간의 의지로는 선택할 수 없는 일이라는 진실을 오롯이 받아들이면,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과거에 비해 자유롭고 가능성 많은 이 사회를 열심히 끌어안고 두려움 없이 살아갈 것! 이 책을 통해 저자가 던지고 싶은 희망의 메시지가 있다면, 바로 이 점일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무연사회의 충격
무연사회가 온다 | 무연이란 무엇인가 | 고독한 죽음에 대한 공포 | 무연사회를 부정할 수 있을까 | 자유의 상징인 무연 | 정부에 기댈 문제는 아니다 | 무연사회를 통해 엿보는 희망

제2장 개인을 속박하는 유연사회
이상화된 유연사회 | 도시의 지역공동체는 붕괴하고 있는가 | 유연이란 무엇인가 | 유연사회의 제1원칙, 만장일치 | 유연사회의 제2원칙, 무소유 | 유연사회를 유지하는 관혼상제 시스템 | 집에 속박된 개인 | 고립될 수 없는 사회

제3장 무연을 꿈꾼 시대
유연사회로부터의 탈출극 | 촌락의 신앙과 관혼상제로부터 도망치다 | 자유롭고 풍요로운 도시의 매력 | 집의 구조 변화가 동경 키웠다 | 도시로 진학하는 젊은이들 | 무연사회로의 필연적인 전환

제4장 도시 속의 유연화
새로운 연 맺기 | 기업이라는 이름의 촌락공동체 | 관혼상제를 담당하는 기업 | 새로운 연을 부여한 ‘기업 윤리’ | 도시가 마련한 다양한 연 | 가요로 부른 ‘상경 리스크’ | 학교와 스포츠로 이어진 연 | ‘도시화=무연화’는 아니다

제5장 샐러리맨 사회가 낳은 무연화
세대 계승이 불가능한 샐러리맨 사회 | 공동체의 힘이 약해진 기업 | 불황이 무연화를 가속한다 | 가정도 무연화 리스크를 더한다

제6장 무연사로 향해가는 독신자
‘골드 미스’의 탄생 | 소극적인 선택을 한 독신자 | 과거 여성들은 결혼을 바랐을까? | 새로운 결혼 규칙이 필요했다 | 결혼 압박이 줄어든 샐러리맨 사회 | 독신자는 무연사 예비군이다 | 그래도 독신을 선택하다

제7장 무연사회의 삶과 죽음
무연사를 막을 수 있을까 | 간소해진 장례식 | 묘지를 지켜줄 사람이 없다 | 화장 보급이 묘지 늘렸다 | 거창한 장례식과 묘지는 사치 | 산 자에게 의존하지 않는 죽음 방식

제8장 무연사를 기원하는 신앙
기독교에서의 죽음과 부활 | 무연사를 권장한 동양 종교 | 객사를 각오한 부처 | 어떤 형식으로 죽는지는 중요치 않다 | 죽음에 대한 각오를 묻는 선사상 | 무연사를 희망한 일본의 전통 | 모든 죽음은 무연사다

제9장 사람은 홀로 죽는다
무연사 직전까지 간 경험 | 홀로 살았다는 증명 | 최후에는 홀로 죽는다 | 모두가 충만하게 살아가기 위하여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