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일반자료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김누리 교수의 대한민국 교육혁명

저자/역자
김누리 지음
펴낸곳
해냄
발행년도
2024
형태사항
336 p. ; 21 cm
ISBN
979116714079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8051-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8051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교육이 바뀌어야 우리 사회의 내일이 있다
김누리 교수가 전하는 한국 교육의 민낯과 혁명적 해법
뿌리 깊은 불행에서 우리 아이들을 구해낼 책!

“나는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를 여행했다.” 최근 미국의 유명 작가인 마크 맨슨이 한국을 돌아보고 자신의 유튜브에 남긴 이 말이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은 유례없는 속도로 경제 성장을 이뤄냈고, 전 세계가 극찬하는 민주 혁명을 이룬 나라인데 왜 우리는 심각한 우울과 무기력에 빠져 있을까?
베스트셀러『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를 통해 우리 사회가 시대착오적인 지옥이 된 이유를 짚어냈던 중앙대학교 독문과 김누리 교수는 ‘우울한 나라’ 대한민국의 원인에는 극단적인 경쟁, 특히 경쟁 교육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에 경쟁 교육의 민낯을 파헤치고, 그 패러다임을 전환할 해법을 신간『경쟁 교육은 야만이다』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까지 전국의 유치원부터 초‧중‧고, 대학, 각종 기관을 대상으로 수많은 강연과 대담을 진행하며, 교육이 한국인의 삶을 지배하는 근원 문제임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

대한민국을 무너뜨리고 있는 ‘야만의 트라이앵글’

연이은 교사들의 죽음, 수많은 학생들의 자살… 실제 우리 교실은 혼돈과 무기력에 빠져 있다. 특히 ‘학벌’이 새로운 신분, 계급, 특권을 만드는 거의 유일한 기준인 사회 속 교육 시스템은 상위권 대학을 향한 살인적인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 실제로 교실에서 아이들은 12년간 심각한 학습노동에 시달리며 소수의 승자와 다수의 패자로 나뉜 채 열등감과 모멸감 등을 내면화한다.
교실에서부터 시작된 불행의 고리는 사회에 나와서도 이어진다. 이는 우리 사회에 미성숙한 엘리트와 습관적인 자기착취 속에 스스로를 죽음으로 내모는 개인들이 증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교육 문제는 사회 문제이기도 하다.
이처럼 경쟁 교육이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는데 왜 우리는 멈추지 못할까. 경쟁 이데올로기가 한국 사회를 작동시키는 원리를 넘어 한국인의 의식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쟁의 결과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정당화되고, 경쟁의 과정은 공정 이데올로기에 의해 합리화된다. ‘경쟁, 능력주의, 공정’ 이데올로기는 ‘야만의 트라이앵글’을 구성하여, 한국 사회에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수많은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오래 전 철학자 테오도르 아도르노는 ‘경쟁은 근본적으로 인간적인 교육에 반하는 원리’라고 비판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는 아도르노의 사상에서 발췌한 말로, 1970년에 독일에서 교육개혁을 실시할 때 모토가 되었다. 이제 이러한 모토 아래 저자는 우리가 교육혁명을 시작할 때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로드맵을 총 5부 18장으로 구성하고 있다. 1부에서는 열등감과 모멸감을 내면화하는 학교와 자본에 잠식당한 대학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2부에서는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교육 시스템에 스며들어 있는 ‘경쟁, 능력주의, 공정’ 이데올로기를 해부한다. 3부에서는 경쟁과 서열이 없는 독일 교육 사례를 통해 경쟁 교육이 야만인 이

유를 보여준다. 4부에서는 아이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회복하고 잃어버린 교사의 권위를 되찾기 위해 고통받는 당사자인 학생, 교사, 학부모가 교육혁명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일깨운다. 5부에서는 우리 교육이 능력주의에서 존엄주의로, 인적 자원에서 민주시민으로, 경쟁 교육에서 연대 교육으로 전환할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교육혁명의 시작점은 우리 교육의 최종 목적지인 대학의 입학시험을 폐지하는 일임을 강조한다.

교육개혁이 사회개혁을 이끌 수 있다

학창시절 불행을 내면화한 아이들이 과연 어른이 되어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까?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 아이가 과연 성인이 되어 타인의 행복을 위해 일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교육을 넘어 사회의 건강성, 국가의 존립과 맞닿아 있다.
김누리 교수는 그래도 희망은 교육에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학벌계급사회’라는 병리적인 사회문화 현상을 넘어설 수 있다면 민주적이고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서 독일을 꼽는다. 아우슈비츠로 상징되는 역사적 과오 이후, 독일에서 68혁명과 교육개혁을 통해 과거와 다른 ‘신독일인’을 기르고, 상식이 통하는 사회로 탈바꿈한 사례는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한국 교육을 걱정하는 교육자이자 인문학자로서 김누리 교수는 모두가 알지만 외면해 온 문제들을 향해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해 왔다. 특히 저자는 전국에서 수많은 강연을 진행하며 교육 변화에 대한 절실한 목소리는 물론, 인간의 존엄을 되살릴 교육 이론과 방식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이 책에 녹여냈다. 그의 교육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새로운 관점은 오늘날 경쟁 교육이 급속히 강화되는 ‘거대한 퇴행’을 막고, 깊은 무력감에 빠져있는 교육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줄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불행한 우리 아이들을 살리기 위하여 

1부 교육다운 교육을 한 적 없는 나라
1장 잘못된 교육 목표 설정, 학벌계급사회
황국 신민, 산업 전사 그리고 인적 자원|인간을 지배하는 자본의 언어|교실에서부터 시작되는 불행|한국 엘리트가 보여주는 미성숙과 오만

2장 열등감과 모멸감을 내면화하는 교실
아이들의 잠재력을 죽이다|자아를 짓밟는 우열 교육|컴퓨터가 채점하는 대학입학 시험|자본이 원하는 소비자와 노동자

3장 민주주의를 가로막는 학교
교실은 민주주의의 묘판이다|극단적 경쟁이 초래한 폭력문화

4장 대학이 죽었다
한국 교육의 최종 목적지|자본의 노예, 재벌 권력의 하수인|사회 개혁 기능을 상실하다|사립대학의 왕국, 살인적인 등록금

2부 야만의 트라이앵글_ 왜 대한민국은 붕괴하는가
1장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모든 문제의 치명적인 근원|경쟁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한국 사회|경쟁 교육에 대한 고정관념|경쟁 없는 교육이 하향 평준화를 낳는다?|한국 교육이 절망이자 희망인 이유|패자와 승자로 나뉘는 아이들

2장 ‘능력주의는 폭군이다’
노력하면 다 할 수 있다?|‘트럼프’라는 괴물이 등장한 이유|혁명 대신 자살을 선택하게 하는 나라

3장 공정은 정의의 덫이다
오르고 올라도 끝이 없다|자기착취를 권하는 사회|촛불이 묻고 우리가 외면한 것|공정, 양날의 칼|불평등을 정당화하는 논리|성적으로 줄 세우기 위한 도구, 시험



3부한국 교육,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1장 독일 교육, 정답은 아니어도 해법은 될 수 있다
백만 난민의 기적|대학 캠퍼스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독일, 상식이 통하는 교육 사회|학생들이 자유롭게 진로를 선택하다|우리가 독일 교육을 들여다보아야 하는 이유

2장 경쟁과 서열이 없는 학교
모두에게 열려 있는 독일의 대학교|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거의 없다|경쟁 대신 추첨, 점수 대신 대기기간|성적 따라 학과를 선택하는 한국 학생들

3장 비판 교육_ 사유하는 사람을 기른다
죽은 물고기만 강물의 흐름을 따라 흐른다|선다형, 단답형 문제의 무서운 진실|아우슈비츠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불의에 저항하는 초등학생 데모

4장 성교육_책임감 있는 강한 자아 만들기
끊이지 않는 성범죄의 이면|생물학적‧윤리적 차원에 머문 한국의 성교육|성교육은 자아 교육이자 정치 교육|성, 당연히 누려야 할 행복

5장 생태 교육_ 연대와 공생은 필수다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법|가성비를 넘어서는 생태적 상상력|소비 포기 운동|미래 생명에 대한 책임







4부 교육혁명,학생‧교사‧학부모가
주체여야 한다
1장 저항과 해방의 거대한 흐름
교육개혁이 먼저인가, 사회개혁이 먼저인가|독일, 과거의 억압으로부터 해방|교육을 왜곡시킨 한국의 86세대

2장 한국 교육에서 누가 가장 고통받는가
교육개혁이 아니라 교육혁명|고통 공동체에서 희망의 공동체로|교육혁명이 사회개혁을 이끌 수 있다

3장 잃어버린 교사의 권위를 찾아서
교육혁명의 주역은 교사|한국의 교사vs독일의 교사|교사는 어떻게 정치적 금치산자가 되었나|선동가를 판별하는 능력을 기르다|새로운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사

4장 아이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회복하기 위해
한국 교육의 최대 피해자|억압받는 학생들의 자기해방|무상 등록금, 관점을 바꾸면 보이는 것들

5장 대학, 존재 이유를 되묻다
교수, 권력 앞에서 말하는 자|대학생에게 ‘연구 보수’를 지불하라|‘제도 속으로의 행진’|대학의 부활을 위한 조건
















5부 대한민국 교육 패러다임 대전환
1장 교육을 바꾸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사회 없는 사회|교육 원리_ 능력주의에서 존엄주의로|교육 목표_ ‘인적 자원’에서 민주시민으로|교육 방식_ 경쟁 교육에서 연대 교육으로|교육 효과_ 불행감에서 행복감으로

2장 교육혁명, 세 가지를 폐지하자
첫째, 대학 입학시험을 폐지하자|대입 폐지가 계층 이동의 기회를 빼앗는다?|둘째, 대학 서열을 폐지하자|국립대 네트워크화, 사립대 공영화|셋째, 대학 등록금을 폐지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