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인기자료

인기자료

향토자료

제주기행: 어느 인문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올레, 돌하르방, 감귤의 풍경들

저자/역자
주강현 지음
발행년도
2011
형태사항
455p.: 21cm
원서명
돌담의 역사부터 감귤밭의 눈물까지, 제주와 교감하는 첫 번째 인문여행!
ISBN
978890112543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JG0000005108-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108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당신이 아는 제주도는 껍데기에 불과하다!
‘올레’로 일컬어지는 제주 걷기 여행이 트렌드가 되면서 제주의 자연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했다. 또 한때 동남아시아의 휴양지로 떠나던 사람들이 제주로 발길을 돌리면서, 제주를 찾는 관광객 수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중이다.
뿐만 아니다. 제주에 아예 눌러앉는 외지인도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분기 제주특별자치도의 타 시도 전출자수는 3만 5089명, 타 시도에서 전입된 인구는 3만 5566명으로 477명이 순유입(전입인구-전출인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순유입 인구 437명보다 40명이 증가한 수치다.(통계청 자료 인용) 이처럼 제주도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의 관심은 관광지 혹은 휴양지로서의 제주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어디에 가면 무엇을 볼 수 있고, 무엇을 먹어야 한다는 식의 인터넷 정보에 멈춰 있는 것이다.
제주도는 화산섬이다. 또한 탐라시대부터 이어진 오랜 역사의 섬, 산과 바다가 아름다운 생태의 섬이며, 전통 문화가 남아 있는 민속의 섬이자 민란과 평정이 거듭된 반란의 섬이기도 하다. 하지만 제주도를 찾는 이에게 제공되는 팸플릿에서 이와 같은 역사?문화적 실체를 찾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저자는 “제주 문화의 표피가 아니라 원형질에 근접되길 희망하는 이가 있다면, 그러한 접근을 도와주는 길라잡이 혹은 마중물 역할을 감내할 저술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테마파크의 섬을 인문학의 섬으로 바꾸는 경계인의 통섭적 시각
제주도 여행서에는 대개 제주의 경이로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여러 관광지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와 함께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관광지가 어디일까? 소위 ‘~박물관’으로 통칭되는 테마파크들이다. 제주도와 아무런 관련 없는 곰인형 박물관, 성(性) 박물관 등이 인기 관광지가 되어 있고, ‘믿거나 말거나’ 박물관, 주방 기구를 소재로 한 박물관까지 속속 들어서고 있다. 이런 눈요기식 박물관이 관광의 섬 제주에 어울릴 것이라는 타자적 시선은 수많은 상징과 이미지를 제주에 심어놓았다.
눈에 보이는 것뿐이 아니다. 제주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풍경 중 하나가 유채꽃밭에서 기념촬영 하는 신혼부부의 모습일 것이다. 하지만 실상 유채꽃밭은 1950년대 말이 되어서야 퍼지기 시작한, 이른바 ‘신전통’이다. 이것들이 마치 제주도의 진실한 역사인 양 우리 곁에 다가와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저자는 ‘돌챙이의 전통’을 예로 들면서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폴리네시아 원주민 문화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는 하와이 폴리네시안문화센터에는 피지 · 하와이 · 사모아 · 타히티 · 통가 · 뉴질랜드 · 마르케사스 섬이 한자리에 모여 있다. 카누, 훌라춤, 나무 기어오르기로부터 전통 옷 입기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인 강조점은 물질문화와 공연예술에 두고 있다. 이에 반해 폴리네시안의 무형적 이데올로기나 사회 조직, 세계관은 결여되어 있다.
제주민속촌도 이 같은 모형 문화의 복사판이다. 이러한 테마파크들은 공통적으로 야외박물관 형식의 모형 문화, 무대화된 허위 민속 문화, 관광 무대, 전시 지역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대개 20세기에 촉발된 이런 형식의 테마파크는 역사와 문화를 재현하고 사라진 시간을 붙들어 매어 오늘의 현실로 가져다주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그런데 정지된 시간은 붙들어 맬 수 있어도 원주민들의 역동적인 삶의 역사, 삶의 변화는 붙들어 맬 수 없는 것이다.
―70쪽, 2장 〈돌챙이의 손노동이 빚어낸 제주의 멋〉 중에서

지금껏 제주도를 이해하는 방식이 타자적 시선에 의해 사라진 시간을 붙드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경계인의 시선으로 변화 · 발전하며 삶과 동떨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 같은 경계인의 시선을 저자는 ‘탐라적 관점’이라 부른다. 이는 제주도를 육지에 딸린 변방이 섬이 아니라 드넓은 바다로 진출한 역동적인 섬으로 치환하여 보는 관점이다. 이 탐라적 관점에 기반해 동아시아 역사를 베이징―서울―도쿄로 연결하지 않고 타이완―제주―오키나와로 연결해 본다면 전혀 새로운 시각의 역사가 탄생한다는 것이 저자의 ‘해양중심적 사관’이다.
더불어, 역사 · 자연 · 신화 · 생태 · 민속 · 관광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통섭적 시각으로 제주도를 바라볼 것을 주문한다. 여행 자체가 여러 학문을 아우르는 통섭적 행위이며 특히 섬, 그중에서도 제주도는 자연이 역사를 만들고 역사가 신화를 이루어내는 통섭의 극치에 있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제주도에 ‘문화유산답사’가 통하지 않는 까닭은
제주도에는 이렇다 할 유적지가 많지 않다. 서울이나 경주처럼 왕실의 수도가 아니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지형적 특성으로 접근 자체가 어려웠던 탓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제주도 사람들의 생활 자체가 문화유산이며 제주도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겪어보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는 특성들이 곳곳에 존재한다. 때문에 눈에 보이는 유물을 찾아다니는 방식은 제주도에서는 통하지 않는다고 저자는 말한다.
겨울이 되면, 아니 여름에도 마음만 먹으면 구할 수 있는 제주도의 대표 과일 귤을 제주도의 문화유산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감귤나무에 숨겨진 역사적 배경을 모르는 탓이다.
감귤은 탐라시대에도 재배되던 유서 깊은 과일이다. 육지에서 흔히 볼 수 없다는 특성 때문에 사과, 배, 감, 대추와 같은 일상적 과일과는 다른 아우라를 연출해냈고, 그것은 곧바로 착취로 연결되었다. 탐라국은 백제나 신라에 감귤을 공물로 바쳤다.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감귤 진상은 계속되었고, 1894년에 이르러서야 감귤 진상이 해제되었다. 민가에서 재배하는 감귤나무에 열매가 맺히면 관리들이 찾아가 열매마다 꼬리표를 달아놓고 하나라도 없어지면 엄하게 처벌했다. 자연재해로 손상을 입었을지라도 그 소유자에게 책임을 물었으니, 백성들은 ‘감귤나무는 통을 주는 나무’라 하여 일부러 죽이는 경우까지 생겨났다. 즉, 감귤은 역사적으로 세도가들의 욕망을 부추기는 과일이었으며, 그로 인해 제주도 사람들에게 엄청난 고통을 가한 저주의 과일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저자는 제주도의 자연과 제주민의 생활에 숨겨진 역사 · 문화적 배경에 주목하며 그 자체가 살아 있는 문화유산임을 역설한다. 여기에는 우리에게 필요하고 부족한 제주도 전반에 걸친 ‘교양’을 되찾고자 하는 저자의 소망이 투영되어 있다. 올레길을 걷고 난 후 제주의 또 다른 모습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관광을 넘어 제주도의 진면목을 만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마중물이 되어줄 진정한 제주 여행의 길잡이다.
목차

1. 바람의 섬 물마루 너머 바람 타는 섬
2. 돌의 섬 돌챙이의 손노동이 빚어낸 제주의 멋
3. 여자의 섬 정말 남자보다 여자가 많을까
4. 잠녀의 섬 해녀 한 명이 사라지면 박물관 하나가 사라진다
5. 귤의 섬 원한의 과일에서 꿈의 과일로
6. 곶자왈의 섬 곶과 자왈이 만나 숲을 이루다
7. 테우리의 섬 조랑말은 아무나 키우는 게 아니다
8. 화산의 섬 하로산또를 모독하지 마라
9. 삼촌의 섬 이 당 저 당 궨당이 최고?
10. 우영팟의 섬 장수를 원하는 이들, 제주도로 가라
11. 신들의 섬 에게 해에는 올림포스, 제주도에는 본향당
12. 표류의 섬 조선시대에 베트남에 간 사연은
13. 해금과 유배의 섬 바다에 뜬 감옥을 만들지니
14. 탐라와 몽골의 섬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15. 장두의 섬 탐라의 독립을 허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