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일반자료

그리스와 제주, 비극의 역사와 그 후: 그리스 내전과 제주4·3 그리고 미국

저자/역자
허호준 지음
펴낸곳
선인
발행년도
2014
형태사항
740p.: 23cm
ISBN
9788959337316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JG0000004529-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529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제주4.3은 지역적 차원의 사건이었는가? 제주4.3의 진압 과정에서 왜 수많은 제주도민이 죽임을 당했는가? 제주4.3은 미국의 대소봉쇄전략의 구현 무대였는가?
최근 나온 <그리스와 제주, 비극의 역사와 그 후>(도서출판 선인)는 비슷한 시기 그리스에서 발발한 내전을 끌어들여 이런 물음에 대한 해답을 시도하고 있다. 이 책은 그리스 내전과 4.3의 전개 과정에서 있었던 미국의 개입에 관한 분석을 담고 있다.
4.3은 미국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제주섬에서 일어난 4.3은 지역적.국내적 사건이면서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소의 냉전체제 형성기 국가건설 과정에서 일어난 국제적 의미를 갖는 사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4.3은 그리스 내전(1946~1949)과 맥이 닿아있다. 미국은 4.3이 일어나자 제주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미군 지휘관이 직접 진압작전을 벌였다. 트루먼 독트린의 첫 적용무대는 그리스 내전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두 사건에서 미국의 개입 양상은 유사했다.
그리스는 한국과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지리적, 역사적으로 유사한 경로를 밟아왔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리스는 2000년 전에 머물러 있다. 파르테논 신전과 그리스 신화로만 알고 있는 그리스의 근현대사는 눈물과 비극의 땅이다. 20세기 그리스는 '신들의 나라’가 아닌 '저항의 나라’다.
20세기 전반 양 국가는 제국주의 침탈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해방 후 양 국가에서 정치사회적 갈등의 심화와 확대를 가져왔다. 1940년대 초 독일군의 점령에 맞서 그리스 민중들은 민족해방투쟁을 전개했다. 해방 이전부터 주도권을 놓고 싸웠던 좌.우파간의 충돌은 해방 이후 더욱 격렬했다. 영국군은 점령 시기부터 그리스의 무장투쟁을 지원했고, 해방 이후 그리스 내전이 격화되자 미국이 영국의 역할을 떠맡았다. 그리스 내전을 계기로 발표된 트루먼 독트린은 냉전체제의 형성을 알렸다. 미국은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통해 그리스내전에 깊숙이 개입했다. 최종적으로 그리스의 게릴라세력과 미군의 지원을 받은 우익-왕당파 정부군과의 싸움으로 수많은 민간인들을 포함해 15만여 명이 희생됐다. 내전 이후 친미 반공국가가 수립되고, 군사독재의 길로 나간 것도 우리와 닮은꼴이다.
당시 미국과 소련이 직접적으로 맞닥뜨린 곳은 한반도였다. 한반도의 남쪽 끝, 제주섬에서 일어난 4.3 봉기를 소련의 사주 내지는 개입했다고 인식한 미국으로서는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미군은 4.3이 일어나자 제주도를 '동양의 그리스’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미군 지휘관을 최고사령관으로 파견해 진압을 진두지휘했다. 정부 수립 이후에도 미군은 토벌대의 토벌을 지원하고 고무.조장했다. 그들은 제주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간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이를 제지하기는커녕 오히려 고무했다. 요약컨대 그리스 내전과 제주4.3은 미국의 대소봉쇄전력의 구현 무대였다.
저자는 4.3과 그리스 내전을 취재하고 연구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미국과 일본, 그리스에서 자료를 찾고 경험자들을 만났으며, 현장을 답사했다.
이 책에 나오는 그리스 내전과 이의 화해 과정은 사실상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소개되는 것이다. 트루먼 독트린의 한 원인이기도 한 그리스 내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는 거의 소개된 적이 없다.
이 책의 '제주4.3’에 담고 있는 내용들은 저자가 25년 동안 관련 분야를 취재하고 발굴한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일제 징병.징용자와 4.3경험자들의 증언은 물론 4.3 시기 제주도에 근무했던 미군 고문관들의 행방을 찾아 그들과 메일을 교환하고 그들을 만나 직접 경험담을 들었다. 당시 트루먼 미대통령이 최소한 제주도에서 일어난 학살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4.3무장봉기의 원인과 이른바 '평화협상의 진실’과 그 이면에 감춰진 미군정의 의도에 대해서도 새롭게 분석을 시도했다. 태평양전쟁 시기 미군의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의 작전과 제주도 상공에서의 공중전, 미.소 대표의 유엔에서의 제주도 군사기지화를 놓고 벌어진 설전, 평화협상 즈음 딘 군정장관과 제주도를 위수지역으로 하는 미 제6사단장 올란도 워드 소장의 동시 제주도 작전상황 시찰, 미군 고문관의 회고록,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제주도 토벌작전 자문, 제주도 주둔 주한미공보원의 4.3 사건 분석 등도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자료들이다.
저자는 “제주4.3과 그리스 내전이 세계적 냉전체제의 형성기의 국가건설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들이 희생된 비극적인 사건이다. 트루먼 독트린의 발표와 미국의 봉쇄전략이 양사건의 전개에 영향을 끼쳤다. 이런 의미에서 4.3은 지역적 차원의 사건을 뛰어넘어 세계사적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저자는 제주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겨레신문 사회2부 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목차

제1장_ 그리스와 제주도는 왜 비극의 근.현대사를 품었나

제1절 그리스 내전과 제주4.3
제2절 트루먼 독트린과 냉전
1. 미국의 봉쇄정책 구상과 냉전 형성
2. 트루먼 독트린과 그리스
3. 냉전의 확산과 한국
제3절 국가 건설과 민간인 학살
1.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집단 행동
2.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유형, 원인
3. 대게릴라전과 주민

제2장_ 그리스 내전

제1절 근대 그리스 국가의 역사적 배경
1. 근대 그리스 국가건설
2. ‘민족분열’과 ‘소아시아 재앙’
3. 우익강화정책의 구축과 그리스공산당
제2절 점령 시기 정치폭력의 기원과 구조
1. 외세의 침략과 영향
2. 저항운동의 통일전선 구축과 민족해방전선
3. 우파 저항단체와 친독협력정부
제3절 저항과 대응, 그리고 영국의 개입
1. 점령 시기 영국의 그리스 정책과 저항활동
2. 저항단체간 타협과 충돌, 균열
3. 점령과 학살의 영향
제4절 해방 전후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1. 국가건설과정
2. 데켐브리아나(12월 사건)와 영국의 역할
3. 백색테러와 총선거
제5절 그리스 내전과 군사적 동원
1. 제1국면(1946.3~1947.5): 내전의 발발과 폭력의 제도화
2. 제2국면(1947.5~1947.12): 민주군대의 공세와 미국의 개입
3. 제3국면(1947.12~1948.10): 미국의 지원과 대게릴라전
4. 제4국면(1948.10~1949.10): 내전의 종결과 영향

제3장_ 제주4.3

제1절 태평양전쟁과 제주도, 그리고 미국
1. 근현대 시기 제주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열강
2. ‘결 7호작전’과 미군의 제주도 공습
3. 미군의 제주도 주둔 일본군 무장해제
제2절 제주도의 자치기구 건설운동과 사회경제적 영향
1. 제주도 자치기구 건설운동
2. 초기 미군정과 제주도
3. 제주도의 사회경제적 상황
제3절 ‘3.1사건’, 정치폭력의 기원과 구조
1. 3.1사건.3.10총파업과 제주사회의 변동
2. 미군정과 극우강화정책
3. 백색테러와 정치폭력의 구조
제4절 제주도 5.10선거와 미군정
1. 미군정과 5.10선거
2. 제주도 5.10선거
제5절 제주4.3과 군사적 동원
1. 제1국면(1948.4~1948.5): 4.3 무장봉기 발발과 미군정의 전략
2. 제2국면(1948.5~1948.10): 미군정 주도의 진압작전
3. 제3국면(1948.10~1949.5): 초토화와 학살
4. 제4국면(1949.5~1954.9): 최후의 군사적 동원과 미국

제4장_ 그리스 내전과 제주4.3의 비교: 일치점과 차이점

제1절 냉전체제와 미국의 역할
1. 일치점
2. 차이점
제2절 국가 건설과 정치 폭력
1. 일치점
2. 차이점
제3절 군사적 동원과정과 민간인 학살
1. 일치점
2. 차이점

제5장_ 그리스 내전에서 제주4.3을 보다

1. 신타그마 광장에서 ‘동양의 그리스’ 제주4.3의 비극 떠올리다
2. 그리스 산간마을에서 제주의 비극을 떠올리다
3. 마크로니소스 섬과 4.3 ‘수형인들’
4. 신화의 나라 저항의 나라
5. 저항과 비극의 서사, 스코페프티리오
6. 기억하라, 죽음으로부터의 구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