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일반자료반성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자신과의 약속이다

반성: 되돌아보고 나를 찾다

저자/역자
김용택 / 박완서, 안도현, 이순원 외 지음
펴낸곳
더숲
발행년도
2010
형태사항
255p.; 21cm
원서명
반성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자신과의 약속이다
ISBN
978899441819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JG000000040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040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반성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자신과의 약속이다

김용택, 박완서, 안도현, 이순원 외 우리 시대 대표작가들이 전하는
진솔한 반성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잊고 살았던 삶의 소중한 가치를 깨닫는다.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아집과 독선으로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사회분위기가 팽배해지는 2010년의 끝자락에 『반성-되돌아보고 나를 찾다』라는 책이 출간되었다.
박완서, 김용택, 안도현, 이순원, 구효서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20인 작가들이 진솔한 자기반성의 이야기를 통해 반성의 의미와 삶의 소중한 가치를 돌아보게 하는 책으로, 원로작가에서부터 중견작가, 신인작가에 이르기까지 국내 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어, 세대간의 단절이 문제시되는 이때에 시대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을 담고 있다. 이번 작품집은 작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반성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풀어나가면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 시대에 대한 통찰적인 시각, 그리고 세상에 대한 깊은 관조 등을 담고 있다. 다채로운 삶의 무늬를 통한 따뜻한 성찰의 이야기들은 혼란의 일상을 살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내가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놓치고 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누군가에게 상처주지는 않았는지 등에 대한 깨달음의 시간을 갖고, 자기 상실의 시대에 독자들에게 온전한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가슴 뭉클한 사랑, 관계가 빚어낸 상처와 치유, 그리고 삶에 대한 겸손…
무한질주 같은 삶에서 쉼표와 같은 반성의 이야기들


모든 시작과 끝은 반성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반성이 새로운 시작을 부르고, 반성이 모든 것을 아름답게 마무리한다.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문학가들의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그들의 반성은 작가 자신에게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라는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어내고 그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울림과 감동 그리고 깨달음을 선사한다. 그만큼 작가들에게 있어서 반성과 성찰은 중요한 창작의 과정이자 새로운 세계로의 승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작품들에서는 작가들의 진정 어린 가슴 깊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여러 작가들이 자신의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주고받은 사랑, 그리고 상처와 치유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들의 학교길 산길 이슬을 털어주시던 어머니를 떠올리면서 자신이 살아온 길 고비고비마다에 어머니의 이슬털이가 있었음을 이야기하는 작품 「예술가 아들의 삶」(이순원), 뇌졸중으로 요양원에 계신 엄마의 하루 일과의 전부가 아침 10시 딸에게 전화거는 것이었음을 엄마가 쓰러지신 후에나 알게 됨으로써 사랑하는 상대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작품 「어머니의 문안 전화」(서석화), 절제와 검소함, 철저한 자기억제만으로 평생의 삶을 꾸려온 엄마에 대한 미안함을 다룬 작품 「사소한 계란말이의 기억」(김이은) 외에도 「엄마의 나쁜 딸」(차현숙), 「사소한 계란말이의 기억」(김이은) 이 있다.

아버지에 대한 작품 역시 뒤늦게 알아버린 그들 삶의 무게에 대한 미안함과 후회로 가득하다.(「내 기억 속의 음화」(은미희), 「반성은 자기 돌아봄이다」(장석주)).

때로는 지치게, 때로는 힘들게 하는 자신의 삶의 태도에 대한 작품들도 있다. 남은 음식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변화하는 세상에서 버리지 못한 자신의 신념을 탓하는 글 「좋은 일 하기의 어려움」(박완서),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집착과 울컥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네 삶을 이야기하는 「집착과 울컥으로부터의 도피」(이재무), 하찮은 풀잎을 통해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겸손을 다룬 작품 「이까짓 풀 정도야」(안도현), 세상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창작의 길로 되돌아온 작가의 「욕먹고 나면 더 잘하게 돼」(권태현)이 그것이다.

부모 외에 인생의 여러 관계 속에서 빚어진 반성의 작품들도 있다. 외롭게 죽음을 맞이한 사촌 형에 대한 글 「태환이 형, 진짜 미안해」(김용택), 어린아이를 통해 ‘어른다움’을 배운 작품 「아이」(구효서), 현대인들의 소통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언제 한번 봐」(이승우), 자신의 행동이 과연 누구를 위해서였던가를 되돌아보게 하는 작품 「잔소리하지 않는 엄마」(서하진) 등이 있다.

「세상을 바로 살기 위한 여섯 가지 반성」(고운기), 「너무나 안전했던 대구」(우광훈), 「일곱 가지 새똥 같은 이야기」(김규나), 「오르한 파묵의 바늘」(공애린), 「휴강한 죄」(김종광), 상수리나무(역?)를 찾아서(고형렬) 등은 반성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과 개인적 삶의 다양한 경험 속에서 도출해낸 반성의 가치를 이야기하고 있다.
목차

어머니의 문안 전화 - 서석화
예술가 아들의 삶 - 이순원
좋은 일 하기의 어려움 - 박완서
집착과 울컥으로부터의 도피 - 이재무
태환이 형, 진짜 미안해! - 김용택
언제 한번 봐 - 이승우
아이 - 구효서
반성은 자기 돌아봄이다 - 장석주
이까짓 풀 정도야 - 안도현
잔소리하지 않는 엄마 - 서하진
내 기억 속의 음화 - 은미희
세상을 바로 살기 위한 여섯 가지 반성 - 고운기
엄마의 나쁜 딸 - 차현숙
사소한 계란말이의 기억 - 김이은
너무나 안전했던 대구 - 우광훈
일곱 가지 새똥 같은 이야기 - 김규나
오르한 파묵의 바늘 - 공애린
휴강한 죄 - 김종광
상수리나무 [역?]를 찾아서 - 고형렬
욕먹고 나면 더 잘하게 돼 - 권태현

저자 소개
저자 고운기
한양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 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1999년부터 3년간 게이오대학교 문학부 방문연구원으로 한일 문학 비교 연구를 수행했으며, 2007년에 메이지대학교 문학부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 고 있다.
시집으로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구름의 이동속도》 등이, 지은 책으로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시리즈》 가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고형렬
강원 속초에서 태어났다. 1979년 『현대문학』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 장시 『리틀 보이』 시선집 『바람이 와서 몸이 되다』 등을 간행했다. 피터 보일(Peter Boyle), 호세 코저(Jose Kozer) 등의 시인들과 함께 ‘렌시(Reishi)’에 참여하고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구효서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마디>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늪을 건너는 법》 《동주》 《랩소디 인 베를린》 《나가사키 파파》 《비밀의 문》 《라디오 라디오》 《옆에 앉아서 좀 울어도 돼요?》 《빵 좋아하세요?》 《통영이에요 지금》, 소설집 《웅어의 맛》 《아닌 계절》 《별명의 달인》 《저녁이 아름다운 집》 《시계가 걸렸던 자리》 《아침 깜짝 물결무늬 풍뎅이》, 산문집 《인생은 깊어간다》 《인생은 지나간다》 《소년은 지나간다》가 있다. 이상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