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신착자료

신착자료

일반자료

아직 멀었다는 말: 권여선 소설

저자/역자
권여선 지음
펴낸곳
문학동네
발행년도
2020
형태사항
284p.; 20cm
ISBN
978895467063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5655-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655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권여선소설 #한국소설 #이효석문학상 #소설가들이뽑은올해의소설 #평론가들이뽑은올해의소설 #소설의품격과깊이 #새로운전환 #정확함이주는위로 #치유와유머

“소설이 주는 위로란 따뜻함이 아니라
정확함에서 오는 건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다.” _김애란(소설가)

소설의 품격과 깊이, 권여선 4년 만의 신작 소설집
제19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 「모르는 영역」 수록


“한국문학의 질적 성장을 이끈 대표적 작가 가운데 하나”(문학평론가 소영현)라는 평에 걸맞게 발표하는 작품마다 동료 작가와 평단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며 한국문학의 품격과 깊이를 더하는 작가 권여선의 여섯번째 소설집 『아직 멀었다는 말』이 출간되었다. 제47회 동인문학상 수상작이자 ‘소설가들이 뽑은 올해의 소설’ 1위에 선정되며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안녕 주정뱅이』(창비, 2016) 이후 4년 만에 선보이는 이번 소설집에는 “권여선 특유의 예민한 촉수와 리듬, 문체의 미묘한 힘이 압권”이라는 평과 함께 제19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한 「모르는 영역」을 포함해 8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안녕 주정뱅이』로 ‘주류문학’의 한 경지를 이룬 권여선 작가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것이란 무엇일까. 술을 마실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서도 안간힘을 쓰며 인간다움의 위엄을 보여준 그에게 또하나의 주류문학을 기대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번 소설집에서 새로운 변화로의 이행을 감행한다. 소설집이 출간되기 전 진행한 한 대담에서 “술을 먹이지 말아야지 결심을 하고, 술을 안 먹는 인물들을 하이에나처럼 찾아다녔고(…). 뭐 하나를 딱 막아놓으니까 딴 쪽으로 퍼져나간 식입니다”(『문학동네』 2019년 가을호)라고 언급한 것처럼 권여선 작가는 소설을 쓸 때 어쩔 수 없이 이끌리게 되는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자신이 ‘모르는 영역’으로 한 발 한 발 걸어들어간다. 스물한 살의 스포츠용품 판매원인 ‘소희’(「손톱」)에서부터 레즈비언 할머니인 ‘데런’과 ‘디엔’(「희박한 마음」)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익숙한 것을 금지시킴으로써 어느 때보다 다양한 인물들을 향해 뻗어나가는 이번 소설집은 권여선 소설의 전환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우리에게 “한 번도 먹어본 적 없는 생선의 맛처럼 부드러운 놀람”(「전갱이의 맛」)을 선사할 것이다.

“소희는 강변을 달리는 통근버스 차창에 바짝 붙어앉아
아침햇살에 반짝이는 강물을 본다.
슬프면서 좋은 거, 그런 게 왜 있는지 소희는 알지 못한다.”

찌를 듯 무자비하면서도 따스한 햇빛처럼
황량한 폐허 속에서도 무언가를 찾아내는 손길처럼
끝인 듯 시작을 예고하는, 아직은 무엇도 끝나지 않았다는 말


소설집의 제목인 ‘아직 멀었다는 말’은 「손톱」 속의 “문득 소희는 새처럼 목을 빼고 어디까지 왔나 확인하듯 창밖의 거리를 내려다본다. 할머니가 아흐 어하 소리를 내며 하품을 한다. 그건 아직 멀었다 소희야, 하는 말 같다”라는 문장에서 가져온 것이다. 소희는 일하는 매장에서 박스를 들어올리다 박스 아래에 튀어나와 있던 굵은 고정쇠가 손톱을 뚫고 나와 손톱 절반이 뒤로 꺾이고 살이 찢기지만, 대출금과 옥탑방 월세 등을 생각하면 아득해지는 탓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한다. “친구도 못 만나고 친구도 못 만들”며, 갚아야 할 빚과 모아야 할 돈을 백원 단위까지 끊임없이 계산하는 스물한 살의 소희. 그런 소희에게 유일한 사치는 아침 통근버스를 탈 때 쏟아져들어오는 햇빛이다. ‘찌르는 듯 따스하고 무심하면서도 공평한’ 햇빛처럼 소희의 하루하루는 거칠 것 없이 무자비하지만 그러나 끝내 온기가 전해져온다. 그건 “대화가 안 된다 매가리가 없다 무나아안하다 생각이 없다”는 말 대신 손톱이 다친 소희에게 “조심해야지” 하고 말해주는 할머니의 존재 덕분일 것이다. 함부로 희망을 말하거나 섣부르게 위로를 전하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조심해야 한다고, 아직 멀었다고 말함으로써 그만큼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 때문에 ‘아직 멀었다는 말’은 끝을 단정짓지 않음으로써 우리에게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듯하다.
「너머」의 N도 소희와 사정이 비슷하다. 기간제교사로 두 달간 고등학교에서 일하게 된 N은 “복잡해 보이는 사태도 정규와 비정규를 가르는 경계만 알면 대부분 참으로 간단히도 이해가 되”는 그 세계에서 은근히 비정규를 무시하는 교사들의 속내를 예민하게 간파하고 “치사하고 악질적인 쪼개기 계약과 계약 연장 꼼수”에 넌더리가 나 계약기간이 끝나면 학교를 깨끗이 그만둘 생각을 한다. 하지만 N은 요양병원에 어머니를 모시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손톱」의 소희가 일반 짬뽕보다 오백원 더 비싸다는 이유로 매운 짬뽕을 포기하는 것처럼, 「너머」의 N은 계약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받게 되는 한 달 치 월급과 “그 돈으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가늠하다 끝내 흐느끼면서 생각한다. “버릴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세상천지 N에게는 어머니밖에 없고 어머니에게는 N밖에 없다고” 말이다.
이처럼 이번 소설집은 촘촘한 묘사와 생생한 캐릭터로 한국사회의 문제 지점을 에두르지 않고 짚어나가는 권여선만의 특기가 여전한 가운데, 한편으로는 『안녕 주정뱅이』 이후 권여선 소설의 새로운 결을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또한 주목할 만하다. 「희박한 마음」의 레즈비언 할머니인 데런은 연인 디엔이 떠난 뒤 혼자 살며 디엔과의 일을 꼼꼼히 짚어나간다. 디엔과 같이 살던 몇 년 전, 한밤중에 어디선가 섬뜩한 의문의 소리가 들려온 적이 있었다. 숨이 막히는 듯한 컥 소리와 끼이이이 하는 비명 같던 그 소리는 실은 옆집 수도계량기에서 나는 소리였다. 디엔이 떠나고 없는 지금도 여전히 소름끼치는 그 소리는 반복된다. 혼자 사는 여자를 두렵게 하는 그 소리는, 대학 시절 데런과 디엔이 함께 벤치에 앉아 담배를 피울 때 갑자기 나타나 담배를 끄라며 소리지르던 한 복학생 남자의 위협과도 닮아 있다. 그러면서도 데런은 복학생 남자가 디엔을 후려쳤을 때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지켜보기만 했던 그 순간으로 끊임없이 돌아가는데, 이 소설은 그간의 한국문학에서 드물었던 레즈비언 할머니의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도 특기할 만하지만, 레즈비언 커플을 향한 외부의 압력을 묘사하는 것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그들 사이에 해소되지 않고 남아 있는 어떤 감정을 집요하게 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아니야. 그건 우리가 모르는 영역이다.”

삼 년 만에 재회한 커플의 하루를 담은 「전갱이의 맛」과 가족묘를 둘러싼 가족들의 왁자지껄한 소동극인 「송추의 가을」 등 이전과 비교해 조금 더 유머러스하고 산뜻한 작품이 소설집의 곳곳에 자리한 가운데, 소설집이 「모르는 영역」으로 시작되어 “요즘 모르겠다는 말을 많이 한다”는 ‘작가의 말’로 마무리되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모르는 영역」에서 ‘명덕’은 사진에 찍힌 무언가를 보며 유에프오가 아니라 낮달이 맞지 않느냐는 딸의 물음에 이렇게 말한다. “모르지 그건. (…) 그건 우리가 모르는 영역이다.”
등단 이후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많은 작품을 써내고도 권여선은 아직 무언가를 잘 모르겠다고, “해 입장에서 밤에 뜨는 달은 영영 모르는” 것처럼 어떤 것은 영영 알 수 없다고 말하는 듯하다. 그런데 모르겠다는 그 말은, 무언가를 딱 잘라 판단하지 않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모름의 힘으로 권여선은 인물을 둘러싼 사건을 면밀하게 살피고, 인물의 감정을 고스란히 느끼기 위해 아주 깊은 바닥까지 내려가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덕분에 우리가 사건을, 인물을, 소설을 이해할 수 있는 폭 또한 넓어지는 게 아닐까. 명덕이 잘 모르겠다고 답을 하는 순간 사사건건 부딪치는 딸에게서 (엄마가 아빠 같은 사람을 왜 만났는지) “이해가 된다”는 말을 듣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목차
모르는 영역--손톱--희박한 마음--너머--친구--송추의 가을--재--전갱이의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