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5409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JG0000005409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박정근은 2010년을 전후에 제주로 들어온 제 3세대 입도조를 불안계급으로 이해한다. 박정근 작가 자신 역시 불안한 환경을 가진 제주에서 작업을 이어가며, 이 작업들을 관통하는 코드를 자연스럽게 찾아냈다.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시대, 불안계급을 유인한 자연과 문화를 제주가 가지고 있었다.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입도한 이들은 불안계급에 속한 이방인이었다. 그리고 그들을 찍어나간 작가 박정근의 자화상을 다시 그들 3세대 입도조를 통해 찍어가고 있었다. 벌써 10여년 전부터 박정근이 제주에서 찍어나간 해녀에서부터 입도조, 4.3의 유가족 등, 일련의 작업들은 관찰자로서든 증언자로서든 모두 제주라는 환경에 속한 작가의 위치를 끊임없이 확인하는 과정이고, 그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묘사하는 입도조 시리즈는 그 점에서 가장 유의미한 작업이라 말할 수 있다.
2010년을 전후로 제주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었다. 도시의 생활공식을 따르지 않으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가겠다는 이들이 제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제주에서의 한갓진 바닷가나 중산간에 집을 마련해, 카페며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육지와 제주를 오가는 삶의 방식을 마련해 살아가는 이들이 눈에 드러나게 많아졌다. 제주에 이주해 산다는 것이 도시의 삶에서 실패한 이들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라 성공적이고 진취적인 기획임을 입증해 주는 이들이 늘어가기 시작했다. 더불어 스스로 삶을 꾸려갈 수 있는 문화예술관련 종사자들이 제주로 들어왔다. 왜인지 제주가 그들을 불렀고, 소환된 이들은 이제 새로운 입도조가 되려 한다.
경제학자 가이 스탠딩은 안정적 급여생활자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제안하여 이들 내에 Anxiety(불안), Alienation(소외), Anomy(사회적 무질서), Anger(분노)인 4A가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안정적 경제기반을 확보하지 못한 채 주변부를 부유하다 제주로 흘러든 청년세대는 화려한 색감의 재기 넘치는 소품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4A가 내재된 불안한 표정을 감출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말한다. “제주의 자연이건, 사람이건, 혹은 조형물이건, 본디 제주 토박이라는 것이 있었던가. 사진 속 제주 입도조들은 이제 막 입도하여 제주 땅에 아직 뿌리를 박지 못한 채 이물감을 내뿜고 있다. 타이어가 점점이 박힌 중산간 소규모 테마파크에 있는 조악한 자유의 여신상, 그리고 해안가 신당에 있는 제주 사람들에게는 쓰레기에 불과한 현란하게 화려한 조화더미처럼. 시간이 경과하면서 청년세대 입도조도, 자유의 여신상도, 그리고 조화도, 야자수나 감귤이 원래 제주의 것으로 인식되는 것 마냥 제주 풍경에 붙박이로 스며들 것이다.”
2010년을 전후로 제주엔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었다. 도시의 생활공식을 따르지 않으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가겠다는 이들이 제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제주에서의 한갓진 바닷가나 중산간에 집을 마련해, 카페며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육지와 제주를 오가는 삶의 방식을 마련해 살아가는 이들이 눈에 드러나게 많아졌다. 제주에 이주해 산다는 것이 도시의 삶에서 실패한 이들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라 성공적이고 진취적인 기획임을 입증해 주는 이들이 늘어가기 시작했다. 더불어 스스로 삶을 꾸려갈 수 있는 문화예술관련 종사자들이 제주로 들어왔다. 왜인지 제주가 그들을 불렀고, 소환된 이들은 이제 새로운 입도조가 되려 한다.
경제학자 가이 스탠딩은 안정적 급여생활자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제안하여 이들 내에 Anxiety(불안), Alienation(소외), Anomy(사회적 무질서), Anger(분노)인 4A가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안정적 경제기반을 확보하지 못한 채 주변부를 부유하다 제주로 흘러든 청년세대는 화려한 색감의 재기 넘치는 소품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4A가 내재된 불안한 표정을 감출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말한다. “제주의 자연이건, 사람이건, 혹은 조형물이건, 본디 제주 토박이라는 것이 있었던가. 사진 속 제주 입도조들은 이제 막 입도하여 제주 땅에 아직 뿌리를 박지 못한 채 이물감을 내뿜고 있다. 타이어가 점점이 박힌 중산간 소규모 테마파크에 있는 조악한 자유의 여신상, 그리고 해안가 신당에 있는 제주 사람들에게는 쓰레기에 불과한 현란하게 화려한 조화더미처럼. 시간이 경과하면서 청년세대 입도조도, 자유의 여신상도, 그리고 조화도, 야자수나 감귤이 원래 제주의 것으로 인식되는 것 마냥 제주 풍경에 붙박이로 스며들 것이다.”
목차
1. 入島祖_박정근
2. 사람없는 섬의 사람들: 귀도조가 쓰는 입도조 이야기_이나연
3. 누가 제주사람인가?_한진오
4. 정치생태학 관점에서 바라본 제주 자연과 入島祖 3세대_남수연
5. 거친 삶을 마주하는 정직한 연민의 시선, 박정근의 사진미학_남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