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2: 서울편 4-강북과 강남:한양도성 밖 역사의 체취
- 저자/역자
- 유홍준 지음
- 펴낸곳
- 창비
- 발행년도
- 2022
- 형태사항
- 364p.: 23cm
- ISBN
- 9788936479206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981.102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7293 | - |
- 등록번호
- JG0000007293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답사기’ 서울편 드디어 완간!
초대형 베스트셀러이자 한국 인문서를 대표하는 시리즈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서울편 완간 소식을 가지고 돌아왔다. 시리즈 중에서도 큰 사랑을 받았던 서울편 1~2권 출간 이후 중국편 3권을 거쳐 5년 만에 서울편 3~4권으로 찾아온 것이다. 이번에 출간되는 서울편 3권 ‘사대문 안동네: 내 고향 서울 이야기’와 4권 ‘강북과 강남: 한양도성 밖 역사의 체취’는 세계인이 사랑하는 도시 서울의 오래된 동네와 뜻깊은 문화유산을 탐방하고 그곳의 매력적인 이력을 풀어내며 서울편 대장정을 마무리한다.
수도 600년의 오랜 세월 동안 서울은 점차 넓어지고 깊어져왔다. 저자는 지난 1~2권에 이어서 대도시 서울의 어제와 오늘을 섬세하게 통찰하는 한편, 지금까지 서울을 만들어왔고 거기서 삶을 이어나간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번 3~4권을 채웠다. 특히 근현대 격변기를 거치며 오늘의 서울이 형성된 내력을 보여주는 명소들을 꼼꼼하게 둘러보고, 우리가 잘 몰랐던 골목골목의 이야기를 증언하고 되살리는 데 역점을 두었다. 특유의 관록과 입담은 물론, 일평생 ‘서울토박이’로 살아온 저자의 깊은 서울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이번 3~4권까지 총 4권으로 완간되는 ‘답사기 서울편’은 서울의 역사문화를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명실상부 대표적인 안내서로 자리 잡을 것이다.
서울은 넓고 깊다
서울편 4권(시리즈 12권)에서는 조선왕조 때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팽창을 거듭해온 역동적 공간 서울을 향해 시선을 돌린다. 조선왕조의 수도 한양이 왕조의 멸망 후에도 여전히 수도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한양도성 밖으로 팽창할 수 있는 넓은 들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한양도성 밖 서울 탐방는 결국 그 들판으로 이동해 삶을 영위했던 서울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때로는 돋보기로, 때로는 망원경으로 시계를 자유자재로 바꿔가며 지금도 변화하고 있는 수도 서울의 진면목을 대가의 솜씨로 전한다.
성북동은 우리 근현대 문화사에서 핵심적인 현장이다. 저자는 조선시대 성북둔에서 시작된 이 마을 유래를 훑어보며 그 가치를 되새긴다. 천을 표백하던 마전 일로 생업을 삼은 주민들이 이곳에 복숭아나무를 심으면서 해마다 봄이면 꽃이 만발하는 유람지가 되었다. 이런 아름다움을 만끽하기 위해 여러 문인, 예술가들이 이곳을 찾았다. 이태준, 김용준, 김환기, 박태원, 한용운, 조지훈, 윤이상, 김광섭, 전형필 등 우리 문화에 중요한 자취를 남긴 예술가들이 당시 서울이 아니었던 호젓한 성북동에서 머무르고 교류하며 자신들만의 예술을 가꿔나가고 이야기를 남겼다. 지금도 성북동은 대저택과 외국 대사관저 사이에 고택과 미술관, 박물관, 찻집, 사찰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어 문화의 향기를 풍긴다.
역사와 문화를 보는 새로운 눈
한강 이남의 문화유산으로 이번 책에서 등장하는 곳은 강남구의 선정릉과 봉은사, 강서구의 가양동이다. 선정릉은 조선 성종과 성종의 비 정현왕후의 선릉, 중종의 정릉이 모셔진 곳으로 오늘날 강남의 빌딩숲 속에서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보존받고 있다. 임진왜란 때 ‘범릉적’에 의해 훼손당한 아픔이 서린 곳이기도 하다. 봉은사는 예부터 중시되었고 오늘날 강남 도심 속 사찰로 그 가치가 빛나는 절이다. 이 절의 역사에는 숭유억불과 숭유존불을 오갔던 조선시대 불교 정책의 부침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가양동에는 겸재정선미술관과 허준박물관이 있다. 조선시대 화성(畵聖)으로 불린 정선과 의성(醫聖)으로 불린 허준의 흔적이 깊이 남아 있다는 점만으로도 이곳을 답사할 가치가 충분하다.
중랑구 망우동의 망우역사문화공원 답사는 근현대 역사문화 인물들의 넋을 찾아가는 코스다. 저자는 유관순 열사의 합장묘에서 시작해 시인 박인환, 화가 이중섭, 죽산 조봉암, 만해 한용운, 위창 오세창, 소파 방정환, 도산 안창호 등 10여 명의 위인들을 찾아뵙고 그들의 일생을 되새긴다. 하나같이 우리 민족운동과 예술, 학문,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라 감회가 큰 답사처다. 한때 ‘망우리 공동묘지’로 불리며 기피 대상이기만 했던 이곳이 역사문화공원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은 우리의 문화유산 인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사례다.
‘서울토박이’ 유홍준의 체험적 답사기
저자는 과거의 사건을 탐사하는 ‘고고학(考古學)’의 방법을 오늘날에 적용하는 ‘고현학(考現學)’의 방식으로 이번 책을 썼다고 말한다. 고고학자들이 유물과 유적을 통해 과거를 재구성하듯 오늘날 남겨진 흔적들을 되짚어 서울이 이루어진 과정을 탐구하고 증언했다는 의미다. 그렇기에 이번 답사기는 유력자들이 생산한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을을 만들고 거기서 살아간 도시인들의 이야기와 저자의 개인적 증언까지 풍부하게 담은 ‘체험적 답사기’로 쓰였다. 삶의 터전 서울의 이야기를 동시대의 주인공인 시민들과 직접 동행하며 나누겠다는 결기가 느껴지는 이번 서울편을 통해 저자는 ‘서울을 움직인 힘은 바로 서울을 살아낸 사람들’이라는 메시지를 힘있게 전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 문화가 점차 세계인의 관심사로 부상하는 이 시점에서 완간되는 서울 답사기 네 권의 의미도 각별하다. 한류의 중심 서울의 문화적 역량과 깊이는 이곳에 남겨진 문화유산으로 가늠할 수 있다. 첨단 산업과 문화만을 추구해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시간의 힘이 문화유산으로부터만 나온다. 서울의 문화유산에 그러한 힘이 충만함을 이번 서울 답사기에서 느껴보길 강권한다. 높은 산과 넓은 강, 빌딩숲과 신선한 녹지, 옛 사람의 이야기와 세계인의 문화, 서울은 이 모든 것을 품을 만큼 넓고 깊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성북동1: 성저십리 마전골의 북둔도화
서울 성북동 / 성저십리 / 선잠단 / 성북둔의 설치 / 성북동 주민의 마전과 메주 / 북둔도화의 복사꽃 마을 / 채제공의 성북동 유람기 / 성북동의 별서들 / ‘성락원’에서 ‘서울 성북동 별서’로 / 춘파 황윤명 / 의친왕 이강의 별서로 / 1930년대 ‘성북의 향기’ / 성북동 문인촌의 형성
성북동2: 『문장』과 ‘호고일당’의 동네
성북동 문인촌의 형성 / 이태준의 수연산방 / 이태준의 상고 취미 / 성장소설 「사상의 월야」 / 이태준의 문학세계 / 「만주기행」 / 배정국의 승설암 / 인곡 배정국의 삶 / 호고일당의 분원 답사 / 해방공간의 백양당 출판사 / 근원의 노시산방 / 『근원 김용준 전집』에 부쳐 / 김용준의 그림과 수필 / 『문장』 전26호
성북동3: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노시산방에서 수향산방으로 / 수화 김환기의 백자 사랑 / 김향안, 또는 변동림 여사 / 대사관로와 ‘꿩의 바다’의 대저택들 / 우리옛돌박물관과 한국가구박물관 / 김자야와 백석의 사랑 / 대원각에서 길상사로 / 조지훈의 방우산장 / 조지훈 시, 윤이상 작곡 「고풍의상」 / 최순우 옛집 / 박태원의 고현학 /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
선정릉: ‘범릉적’에게 도굴된 비운의 왕릉
선정릉이라는 왕릉 / 조선시대 왕릉의 유형 / 왕릉 호칭의 제안 /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 왕릉의 축조 과정 / 성종대왕 선릉 홍살문과 진입 공간 / 정자각과 제향 공간 / 선릉의 능침 / 왕릉의 문신석과 무신석 / 정현왕후의 능 / 중종대왕 정릉 / 왜적들의 선정릉 도굴 / 범릉적을 잡아 보내라 / 탐적사와 쇄환사 / 조선통신사의 길
봉은사: 절집의 큰 자산은 노스님과 노목
강남의 절집, 봉은사 / 영암 스님의 봉은사 사수 / 봉은사 일주문 / 천왕문 또는 진여문 / 부도밭의 청호 스님 공덕비 / 견성사에서 봉은사로 / 문정왕후와 보우의 불교 중흥 / 보우 스님의 죽음에 대하여 / 임진왜란 이후 봉은사 / 봉은사 대웅전의 삼존불상 / 선불당 / 상유현의 「추사방현기」 / 절필, 봉은사 <판전> / 법정 스님의 『무소유』
겸재정선미술관과 허준박물관: <경교명승첩>과 『동의보감』의 현장
강서구 가양동의 두 박물관 / 양천현아 터가 강서구에 있는 이유 / 양천현아 / 양천향교 / 겸재정선미술관 / 진경문화체험실 / 겸재 <경교명승첩>의 <양천십경도> / 한강변의 풍경과 압구정 / 궁산의 소악루 / 소악루 주인 소와 이유 / 공암 / 허가바위 / 허준박물관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 / 구암 허준의 의관 시절 / 『동의보감』 편찬 과정 / 박물관 인생
망우리 별곡 1: 공동묘지에서 역사문화공원으로
망우리 공동묘지 / 망우리 공동묘지 조성 과정 / 반 고흐 무덤과 위창 오세창 무덤 / 공동묘지에서 망우리공원으로 / 중랑망우공간 / 이태원 공동묘지 무연분묘와 유관순 / 시인 박인환의 묘 / 이중섭의 무덤 / 국민강령탑과 중랑전망대 / 설산 장덕수와 난석 박은혜의 무덤 / 죽산 조봉암의 무덤 / 아차산 보루
망우리 별곡 2: 역사문화 인물들의 넋을 찾아가는 길
장례 풍습 / 만해 한용운의 무덤 / 호암 문일평의 무덤 / 위창 오세창의 무덤 / 소파 방정환의 무덤 / 방정환과 어린이날 / 국회부의장 이영준 묘 / 아사카와 다쿠미의 무덤 / 민예의 선구자, 아사카와 형제 / 도산 안창호와 유상규의 무덤 / 화가 이인성과 조각가 권진규의 무덤 / 송촌 지석영의 무덤 / 지석영 선생의 집념 / 시인 김상용의 묘 / 삼학병의 묘 / 노고산 천골 취장비 / 다시 중랑망우공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