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세계문학전집 210

바닷가에서: 압둘라자크 구르나 장편소설

저자/역자
압둘라자크 구르나 지음 / 황유원 옮김
펴낸곳
문학동네
발행년도
2022
형태사항
413p.: 21cm
총서사항
세계문학전집; 210
원서명
By the sea By the sea
ISBN
9788954686501 9788954609012(세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7062-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062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2021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압둘라자크 구르나 문학 세계의 정수

역사의 풍랑에 떠도는 이방인들의 짓밟힌 이야기들을
함께 이어나갈, 환대의 장으로의 초대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영국의 바닷가까지


2021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압둘라자크 구르나는 1948년 동아프리카의 잔지바르섬에서 태어나 1968년 영국으로 이주해 현재까지 살고 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잔지바르가 독립하고 얼마 안 돼 술탄을 축출하고 정권을 탈취하려는 혁명이 일어나 무슬림 주민들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그 길로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배경을 알고 나면 “나는 난민이자 망명 신청자다. 익히 들어서 별것 아니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결코 단순한 말이 아니다”라는 <바닷가에서> 속 서술자의 말을 예사로 들을 수 없다. “오래 살던 곳을 떠나 다른 어딘가로 살러 가는 일”의 어려움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의 펜 끝에서 나온 문장이기 때문이다.
작품에는 번갈아가며 자기 이야기를 들려주는 1인칭 서술자가 두 명 있다. 모두 난민이다. 예순다섯의 나이에 영국행 망명길에 오른 살레 오마르와 그보다 삼십여 년 앞서 십대 때 영국으로 건너온 라티프. 특히 시인 겸 문학교수로 소개되는 라티프는 작가의 이력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인물이다. 이들은 잔지바르 출신으로, 수십 년이 지나 머나먼 영국의 바닷가 마을에서 운명처럼 재회하게 된다. 영국에 가짜 신분으로 입국한 망명 신청자 살레 오마르는 영국행 티켓을 마련해준 업자의 영문 모를 조언에 따라 영어를 못 하는 척한다. 입국심사 때부터 밀입국자 수용소 생활에 이르기까지 그 연기는 순조롭지만, 결국에는 스스로를 구하기 위해 영어를 쓸 수밖에 없는 순간이 오고 만다. 한편 영어를 모르는 동향 노인의 통역가가 될 뻔한 라티프는 노인이 사용한 샤아반이라는 이름을 전해듣고 내심 놀란다. 그건 다름 아닌 아버지의 이름이었고, 그 이름을 사칭한 사람의 정체를 짐작하면서도 그렇게 한 이유를 확인하고자 노인을 찾아간다. 그리하여 고향의 따뜻한 초록빛 바다와는 멀리 떨어진 곳, 창문 너머 한 조각 영국 바다가 보이는 곳에 두 사람은 오랜만에 마주앉게 된다. 때로는 어긋나고 때로는 합쳐지는 이야기를 통해 공통의 과거를 더듬어가는 과정에서 수십 년 전 두 집안이 겪은 풍파의 전모가 드러난다.

“난민은 어디에나 있다. 아프리카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다”

작가 구르나가 어느 강연회에서 했던 말이다. 그의 작품에서도 같은 생각을 엿볼 수 있는데, 주인공 두 사람 이외에도 <바닷가에서> 속 수많은 등장인물들이 본인 혹은 조상 중 누군가가 이주한 경험을 증언한다. 살레 오마르가 개트윅공항에서 마주한 유럽의 문지기 케빈 에덜먼에서부터 난민기구의 활동가 레이철, 라티프가 동독에서 만난 엘레케와 잠깐 대화를 나누었을 뿐인 플리머스 항구의 경찰관까지, 이주하는 삶은 도처에 널려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난민은 별종이 아니다. 또 이주가 생활화된 현대사회에서는 누구나 넓은 의미에서 난민이라고 할 수 있다.
‘난민=아프리카인’이라는 도식을 깬 것과 마찬가지로, 도식화된 관계를 해체하는 장면은 소설 여러 곳에서 관찰된다. 예를 들어 앞서 서술한 고향과 새 이주지 사이의 관계가 그렇다. 상실한 고향, 아프리카가 파라다이스로 묘사되는 것도 아니고 새로 터를 잡고 살게 된 유럽, 영국이 부정적으로만 그려지지도 않는다. 라티프가 영국 길거리에서 마주하는 적대감, ‘블랙어무어’라는 말로 상징되는 그 차별과 혐오를 살레 오마르는 고향에서 겪어 이미 알고 있다. 친구의 구자라트인 가족에게 멸시를 당한 적도 있고, 반대로 케냐에서 놀라운 환대를 경험한 적도 있다. 라티프가 동독의 펜팔 친구 엘레케의 집에서 받은 환대가 이에 비견할 만하다. 이처럼 세상이 이분법적인 구도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은 오마르와 라티프 모두 알고 있는 듯하고, 그렇기에 번갈아 서술자를 자처하는 그들의 이야기 또한 놀랄 만큼 공정하다. 오마르는 자신을 돕는 난민기구 활동가 레이철을 정확하게 관찰한다. 자선적인 태도에 비아냥이 드는 것을 감추지 못하지만 그가 보여주는 호의에는 충분히 감사할 줄 안다. 엘레케 가족을 바라보는 라티프의 시선 또한 냉철하다. 모자母子의 환대에 무조건적인 호의로 응하는 대신 그들이 보여주는 자신감에는 응당의 의문을 표하면서, 어쩌면 일정한 경험에 바탕하지 않고는 확보할 수 없었을 비판적 거리감에 근거해 세상을 바라본다. 소설의 두 주인공은 세상의 중심에 선 자들이 결코 가지지 못한 관점을 내재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그들의 시선에서 써내려간 이야기에 더욱 귀기울일 필요가 생긴다.

탈식민주의를 넘어, 인간 보편의 이야기로

<바닷가에서>가 식민주의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소설임은 분명하다. 식민 지배자들이 아프리카 사람들에 가한 차별, 식민지 교육의 비합리성이 계속해서 이야기되기 때문이다. 식민 지배하에 영국식 교육을 받은 주인공들이 영국의 문학 전통에는 익숙하면서도 그 교육에서 배제된 다른 모든 것들에 무지함을 자각하는 대목이 그 예시다.

슬프게도 이크발에 대해서는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었는데, 식민 지배하에 있는 우리의 무지를 보여주는 너무나도 전형적인 예가 아닐 수 없다. _본문에서

그렇지만 이 소설이 모든 것을 식민주의 혹은 탈식민주의로 치환하려들지 않는다는 점도 분명하다. 이 작품에서는 특히 상호텍스트성이 두드러지는데, 이야기 행위에 탐닉하는 인물의 욕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듯 <천일야화>가 거듭 언급되고 모험에 관한 텍스트로 <오디세이아>가 환기되는 한편 「필경사 바틀비」 이야기가 중요하게 등장한다. “안 하는 편을 택하고 싶습니다”라는 말에서 함께 바틀비를 떠올리는 오마르와 라티프가 같은 취향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장면이 무엇보다 인상적이다. 미국 작가 허먼 멜빌의 작품이 영국인 레이철은 알아듣지 못하는 둘만의 암호가 되는 것이다. 페르시아 상인 후세인과 고급 가구점을 운영하던 젊은 날의 오마르가 영어라는 공통의 언어를 통해 서로의 접점을 확인하는 것과도 겹쳐지는 장면이다.
켄트대학과의 인터뷰에서 노벨문학상 선정 이유에 관한 생각을 질문 받은 구르나는 자기가 난민의 운명을 그리는 것 이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난민에 관해 쓴 것은 맞고, 시상하는 측이 그 점을 부각시키는 것도 이해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라고 언급한 것이다. 그에게 있어 탈식민주의는 문화 교차성이 두드러진 현대사회를 설명하기에 유용하고, 문화가 교차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비슷한 맥락에서 스위스의 <노이에 취리허 차이퉁>은 다음과 같은 취지의 논평을 내놓은 바 있다. “아프리카에 관해 쓴다고 하면 보통 손쉽게 탈식민주의 문학으로 분류되고 마는데, 작가 구르나를 그렇게 평가하는 것은 부당하다. 구르나의 진가는 ‘정처 없음’이라는 현대사회의 보편적인 경험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읽어야 한다.” 난민이 된 상황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어떤지 전달하고 싶었고 이 문제를 자신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보여주고 싶었다는 구르나의 설명 또한 그의 관심사가 특정한 문제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결국 자기가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말을 이야기의 형태로 구현하는 데에서 문학은 힘을 갖고, 구르나의 문학과 구르나의 등장인물은 이를 능숙하게 잘해내는 전통적인 이야기꾼들인 것이다. 세상을 보는 관점을 새롭게 해줄, 고유한 값을 가진 좋은 이야기를 만나고 싶은 마음만으로도 지금 구르나를 읽을 이유는 충분하다.
목차

유물
라티프
침묵

해설 | 잃어버린 인도양의 시간을 찾아서
압둘라자크 구르나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