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너머의 역사담론

제국과 의로운 민족: 한중 관계 600년사_하버드대 라이샤워 강연

저자/역자
오드 아르네 베스타 지음 / 옥창준 옮김
펴낸곳
너머북스
발행년도
2022
형태사항
227p.: 21cm
원서명
Empire and righteous nation
ISBN
978899460668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6919-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6919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사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국과 의로운 민족』(원제 Empire and Righteous Nation)은 냉전사의 대가로, 전작 『냉전의 지구사』, 『잠 못 이루는 제국』을 통해 제국의 작동 방식을 풀어낸 오드 아르네 베스타 교수(미국 예일대)의 신작이다. 한반도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이며 600년 한중 관계의 핵심과 의미를 밝힌 이 책에서 중국이라는 제국을 제국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한 것은 한국이었다는 요지를 펼쳐낸다.
베스타가 던지는 첫 질문은 수백 년이 넘은 시간 동안 중국에 존재했던 여러 제국들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한국이 어떻게 단 한 번도 중국 제국의 일부가 되지 않았는가이다. 티베트와 몽골, 그리고 중앙아시아의 많은 나라를 비롯해 오늘날 중국의 남서부 지역이 되어버린 많은 나라들이 그 기간이 길든 짧든 중국 제국에 편입되었다. 하지만 한반도는 그렇지 않았다. 한국은 왜 항상 독자적 국가로 유지되었을까? 한국이 제국 바깥에서 뚜렷한 정체성을 지닌 이유가 무엇이었는가? 베스타가 이유로 제시하는 두 가지,‘정체성’과‘지식’은 도대체 무엇일까?
책의 헌정 문구로 “평화와 통일을 이룬 미래의 한반도를 위해”를 넣었을 만큼 베스타는 앞으로 올 한반도의 통일에 관심을 기울인다. 수십 년에 걸친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국제적 성취에도 마치 다모클레스의 칼처럼 한반도에 긴장감이 감도는 것은 긴장 관계 자체가 아니라 전쟁으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정권의 붕괴가 갑작스럽게 일어난다면 16세기 일본의 침략이 그랬듯이 동아시아에서 운명의 순간이 도래할 수 있다. 이때 중국이 자국의 이익보다 지역의 이익을 우선시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권위주의적인 중국이 민주주의 정부하의 한반도 통일을 수용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을까? 베스타는 통일 한반도와의 관계 설정이 역사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중국이 다시 ‘제국’이 될 수 있는 길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기술한다.
역사는 폭발할 위험성을 안고 있는 한반도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현재의 대안이 무엇인지 관한 지침을 제공하지만 확실한 답을 주지는 않는다. 오직 현재와 미래의 정책 입안자들과 지도자들 손에 달려 있다. 하지만 지도자를 선택할 권한이 우리에게 있는 한 한국 사회와 그 지도자들에게 더 세련된 질문을 던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한중 관계 600년 역사, 하버드대 라이샤워 강연

하버드대 라이샤워 강연이 기초가 된 『제국과 의로운 민족』은 ‘제국’, ‘민족’, ‘의로움’을 핵심 개념으로 하여 책의 전반부는 역사상의 분기점이었던 14세기 원-명 교체와 조선의 건국 이후 오랫동안 중국 제국 옆에서 사대를 통한 ‘독립’를 지켜 왔던 조선과 명·청 제국의 깊고 오래된 관계를 간결하게 개관한다. 19세기 서구 열강의 침탈로 그 질서는 결국 허물어졌다. 특히 청 제국은 서구 열강이나 메이지 일본의 군사적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조선을 지지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 책의 후반부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말까지 두 나라가 경험한 극적인 변화를 살핀다. 20세기 내내 제국주의, 민족주의, 혁명, 전쟁이 아시아 전역의 국가와 민족을 휩쓸면서 한-중 관계는 더 큰 변화를 겪는다.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가 일본 침략기와 그 뒤에 이어진 냉전기에 어떻게 변모했는지 그 윤곽을 그린 베스타는 한국전쟁이 이 지역의 국제관계에 미친 참담한 영향을 묘사하고, 오늘날 남북한의 한반도와 중국의 상호작용, 특히 한반도 통일이라는 간단치 않은 문제를 다룬다. 한반도-중국 관계의 특징인 유대와 긴장을 조명하는 『제국과 의로운 민족』은 오늘날의 중요한 지정학적 동학을 이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한반도만의 독특한 민족 정체성, 의로움이 국가, 민족, 공동체를 묶어내는 기치

저자가 모든 것을 흡수하는 제국의 옆에서 ‘독립’할 수 있었던 이유로 제시했던 두 가지, 한국인의‘정체성’과 ‘지식’을 살펴보자. 『제국과 의로운 민족』에서 베스타는 중국과 대비하여 한국을 ‘의로운 민족’으로 칭한다. 한국인이 특별히 더 의롭다는 의미는 물론 아니다. 600여 년간 한국의 역사에서 그 연결고리가 의로움을 포함한 유교 사상이었다는 것이다. 조선의 유교화 프로젝트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저자는 거의 전 인민이 참여했으며(일부 소외된 계층이 있긴 했지만) 한국인들에게 역사 내내 무척 깊은 각인을 남길 수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동아시아의 많은 유교 국가들과 전혀 달랐던 점임을 밝힌다. 그저 윤리적 수준에서 ‘우리는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것을 넘어서서 의로움이 국가이자 민족이자 공동체를 묶어내는 기치(슬로건)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한반도만의 독특한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였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경험이 중요했다. 이때 조선에서는 중국, 일본과 구분되는 민족적 정체성이 강하게 형성된다. 베스타는 (고)김자현 교수(미국 컬럼비아대)의 유고작 『임진전쟁과 민족의 탄생』의 요지를 인용하며 적어도 19세기와 20세기 초 유럽인들이 ‘네이션’이라 부른 것과 비슷한 민족(국가)가 16세기 말에 조선에 들어섰다고 한다. 민족이란 기치는 예컨대 1590년대 일본의 침략과 17세기 만주족의 침략에 맞서 일어났던 의병이라 불린 군대로, 20세기 초반 일본에 저항하는 움직임에서도 나타났으며, 20세기 후반, 한국에서 일어난 여러 정치적 대변동 속에서도 소환되었다고 본다.
이 정체성이야말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명 제국이 무너지고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실험이 패배 속에 사라졌지만 조선은 살아남을 수 있었던 능력이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유럽에서 ‘민족’은 배제에 관한 것으로 경계를 나누어 누군가를 국가에서 소외시키는 형태였다면 한반도의 경우 누군가를 배제하는 문제보다도 민족의 명확한 속성이 더 중요했다. 주로 문화·언어적으로 정의되었으나 정치적으로 독립을 누렸고 국가라는 제도적인 실체로 작용했던 것이다. 베스타는 어쩌면 한국이 제국이 아니었던 그 이유 때문에 오히려 눈에 띄게 응집력이 있고 강하게 장기 지속할 수 있는 국가와 사회를 창출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한다.

한국인들은 중국이 그들을 알고 있는 것보다 제국을 더 많이 알고 있었다

한반도가 중국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중국 제국 바깥에 남아 있었던 두 번째 이유인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오늘날에도 중요하다. 제국 옆에 사는 건 언제나 어렵고 위험하다. 늘 존중하면서 동시에 조심스레 다뤄야 했다. 한국의 엘리트들은 중국이 스스로 아는 것보다 제국을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는 전문가였다. 제국의 수도에 매년 몇 차례의 사신 방문을 통해 이익을 챙기는 솜씨가 좋았고, 그곳에서 논의 중인 사안, 첩보 등을 알아내 조정에 보고했다. 따라서 조선의 위정자들은 중국에서 새로운 제안이 올 때마다 대응방안을 세울 수 있었다. 명이든 이후의 청 제국이든 중국은 조선을 모범적인 동맹국으로 봤다. 즉 중국을 누가 집권하든지 협력해 줄 상대로 간주했다. 조선은 그렇게 별개의 나라가 될 권리를 얻었다. 티베트, 신강, 몽골, 대만처럼 제국의 일부가 되어 중국처럼 살라는 지시를 받을 필요가 없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조선은 청을 제국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존재였다. 베스타는 명·청 제국과 조선의 관계에서 조선 통치자와 엘리트들의 이 지식과 수사의 능력이 역사적 언설에서 잘 언급되지 않고 과소평가하는 것이 매우 이상하다 했다. 조선이 제국 옆에서 성공적인 국가로서 아주 오랜 기간 건재할 수 있었던 이유였는 데도 말이다.
베스타는 ‘한반도는 중국에게 무엇인가?’를 물으며 한국인의 태도와 경험이 중국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중국에 비교하면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주변인 한국의 역사와 미래에 세계인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라는 것이다. 이는 ‘한국에게 중국은 무엇인가?’란 질문에만 매몰되어 있는 우리에게 낯선 유형의 질문이지만, 우리가 함께 고민해봐야 할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항상 폭발성을 지닌 쟁점으로 변화할 위험성에 노출,
통일 한반도와의 관계 설정은 중국이 다시 ‘제국’이 될 수 있는 길


베스타는 현재 한반도 위기를 불러온 남북한의 분단과 북핵 문제, 나아가 한반도의 통일까지 커다란 문제에서 중국의 관여 없는 해결책은 있을 수 없다고 분명히 말한다. 20세기 초중반을 포함하여 중국이 역사적으로 분열이 일어나 약화된 몇몇 기간을 제외하면 늘 그래 왔다는 것이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이 긍정적 역할을 하도록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중국이 한반도와 관계 맺어온 역사적 배경을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지한다.
그런데 문제는 양국이 과거 공유했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리에 기초한 관계가 20세기를 경과하면서 현재의 강렬한 ‘만족주의’로 변환했다는 데 있다. 한반도와 중국에서 모두 민족주의적 시각이 강해지면서 저자가 다룬 시기의 이른바 ‘복합 주권’과 ‘복합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졌다는 사실이다. 한국에서 중국과 관련된 문제는‘사대주의’의 그림자를 벗어나기 쉽지 않으며, 역사와 문화를 공유했던 경험은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항상 폭발성을 지닌 쟁점으로 변화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과거 중국 제국들을 명 민족, 청 민족이라 누구도 떠올리지 못하듯이 현재의 중화민족주의론에 대해서도 베스타는 매우 비판적이다.
한반도의 위기가 전면적으로 노출될 때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어떻게 개입할까? 베스타가 예측하는 가장 현실성 있는 시나리오는 북한 정권이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게 붕괴하는 경우이다. 북한의 붕괴는 외부적 압박으로 일어날 수도 있지만, 북한의 내부적인 국가 기능 실패로 일어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 『제국과 의로운 민족』은 중국의 현재적 또는 장기적인 한반도 정책에서의 핵심 딜레마를 최신 정보와 함께 소개한다. 역사가 길잡이의 역할을 한다면 지금 한반도에서 바랄 수 있는 최선은 우선 군비 통제, 남북 간 긴장 완화, 마지막으로 북한 정권이 무너지기 시작할 때 북한을 포기하겠다는 중국의 정책이라 썼다. 왜냐 하면 중국이 만약 통일된 한반도를 포용력 있게 받아들일 수 있다면, 이는 중국이 국제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넉넉함과 성숙함을 갖추는 일이 될 것이다. 통일 한반도와의 관계 설정은 중국이 다시 ‘제국’이 될 수 있는 길과도 깊이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언제나 세계 최강국 옆에 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해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라 했다. 특히 중국이 국제관계 속에서 부상했고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가는 오늘날 한국에게 힘든 과제다. 단순히 국제정치학에서 말하는 국가 대 국가의 관계가 될 수는 없다고 한다. 정치, 경제, 군사전략 심지어 문화적 측면에서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역사로부터 많은 걸 배워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베스타는 한반도의 분단이 영원할 가능성은 매우 낮게 본다. 인위적으로 분단된 나라, 특히 한국처럼 민족 정체성이 강한 나라가 오랜 기간 분단되어 있는 것은 역사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사례라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자주 있는 일이지만 어떤 일이 갑자기 벌어지기 전에는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언젠가는 가까운 미래에 한국은 통일이 될 것이라 본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제1장
중국과 조선: 중국-한반도 관계의 형성, 1392~1866

제2장
동아시아의 국제화: 중국, 한반도 그리고 세계, 1866~1992

제3장
오늘날 중국과 한반도

맺으며 중국-한반도 관계사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