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

호적중초와 19세기 후반 제주도 마을의 사회구조

저자/역자
김창민 지음
펴낸곳
역락
발행년도
2020
형태사항
311p.: 24cm
ISBN
979116244501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JG0000005848-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848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종합자료센터 보존서고
책 소개
1988년부터 제주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을 가지게 된 저자 제주도 달밭마을(가명)과 연구의 끈을 이은 지 33년이 되었다. 30년 사이에 달밭마을에는 새로운 도로와 건물이 생겨났다. 새로운 도로는 공간의 구조를 바꾸었으며 새로운 건물의 등장은 마을 경관 변화의 원인이 되었다. 급격한 마을 변화를 보면서 이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제주도 사람의 생각과 행동의 근거를 이루는 본질적인 요소는 무엇인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제주사람들의 외면적인 행동은 많이 변화되었지만 그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사람들의 행동과 생각을 지배하는 원리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사회구조의 관점에서 사회를 이해하고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고자 한 필자는 제주 사회의 가장 중요한 사회조직의 원리로 ‘궨당’에 주목하게 되었다. 궨당은 혈통과 혼인으로 맺어진 친척을 의미하는 말로써 제주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들여다보지 않았던 호적중초에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호적중초는 조선시대 자료로서 당시는 지금보다 마을의 규모가 작아 마을 구성원들 사이의 궨당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호적중초는 조선시대 호적의 일종으로서 마을 단위로 호구를 기록한 문서이다. 호적중초에는 호구별로 마을 주민들이 등재되어 있으며, 호의 상황과 인구의 상황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담고 있다. 즉, 호적중초를 통한 궨당관계의 분석은 역사적 기록물을 통한 제주문화 이해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 또는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호적중초를 통하여 19세기 후반 달밭마을의 사회구조를 궨당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것이다.
목차

1. 서론:역사와 문화의 만남
2. 달밭마을의 민족지적 배경
3. 호적중초의 자료적 성격과 달밭마을의 호적중초
4. 마을의 형성과정
5. 인구 구성과 변화
6. 인구 이동의 양상
7. 가구 구성의 특성과 변화
8. 혼인의 양상과 부부관계
9. 신분구조와 변화
10. 궨당관계와 변화
11. 결론:달밭마을의 사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