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한국십진분류검색

한국십진분류검색

일반자료누벨바그 1

소설 제주

저자/역자
전석순 / 김경희, Sooja, 이은선, 윤이형, 구병모 공저
펴낸곳
아르띠잔
발행년도
2018
형태사항
217p.; 19cm
총서사항
누벨바그; 1
ISBN
979119637380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4901-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901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제주시 구좌읍에서 반짝 열리는 벨롱장, 옥빛 바다가 수려한 협재와 수많은 오름이 있는 송당 그리고 새순이 가득 돋아 있는 사려니 숲과 절물 휴양림, 강정마을과 용머리해안까지 돌고 나면 문득 가방을 싸 제주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는 젊은 작가 6인의 테마소설집 《소설 제주》가 출간되었다. 소설가 전석순 김경희 SOOJA 이은선 윤이형 구병모가 전하는 한여름 반짝이는 바다처럼 제주에서의 찰나의 순간들을 담은 이 소설집은 정신없이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어느 날 문득, 지금 자기가 서 있는 곳이 어디인지 모를 때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하나의 풍경이 되어줄 것이다. 《소설 제주》를 통해 언제 터질지 모를 불안이라는 풍선을 가슴에 품고 사는 도시인들이 이 책을 펼치는 동안만이라도 복닥거리는 지하철 어딘가에서 잠시나마 미소 지을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길 바란다.
《소설 제주》는 테마소설 시리즈 ‘누벨바그’의 첫 번째 앤솔러지로, 세계 여러 도시와 작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지역과 문화, 사람이 어우러지는 장을 만들고자 야심차게 기획한 아르띠잔의 첫 테마소설 시리즈다.

“언제나 그렇듯 휴가는 지구 반대편에 사는 개 이름처럼 낯설게만 느껴졌다.”

여섯 개의 풍경 중 첫 번째 작품인 전석순의 〈벨롱〉은 직장을 잃은 남편이 아토피로 힘들어하는 아이를 데리고 제주로 떠난 후 홀로 도시에 남아 바쁜 삶을 견뎌야만 했던 한 여자가 제주에 도착하면서부터 시작된다. 맑고 청정하기만 했던 제주는 난개발과 수많은 관광객들로 어느새 악취가 풍겨오는 곳이 되어버렸다. 남편과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사이가 되었고, 아이를 서울로 데리고 가기 위해 아이가 체험학습을 위해 갔다는 벨롱장을 찾지만 아이는 거짓말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멀리서 반짝이듯 서 있던 벨롱장은 그저 찰나의 순간처럼 느껴질 뿐이다.

김경희의 <크루즈>는 실체를 알 수 없는 행복을 찾기 위해 제주를 찾는 해정의 이야기다. 제주로 가서 살자는 약속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남편에 의해 지켜지지 않고,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에 시달리는 해정은 불행이라는 통증을 떨쳐내기 위해 제주로 향한다. 행복이라는 판타지는 결국 꿈틀대는 해삼처럼 살아 숨 쉬는 것임을 깨닫게 되는 과정을 섬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주의 풍경을 그림처럼 묘사한 SOOJA의 <송당>은 시간이 날 때마다 제주를 찾는 병원 수술실 간호사 지우를 통해 복닥거리며 살아가는 바쁜 일상 속에서 한걸음 빠져나와 낯선 곳에서 느끼는 평온함이 어떤 것인지 알려준다. 그 평온함은 잔잔하게 퍼진 붉은 빛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이나 바스락거리는 마른 풀 소리, 낯선 이가 건네주는 손에 들기도 어려울 만큼 큰 잔에 가득 담아주는 시원한 커피만으로도 충분하다.

이은선의 <귤목>은 제주의 또 다른 슬픈 기억 ‘세월호’의 아픔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어느 날 아들한테서 손자 놈이 갑자기 유학을 떠났다는 전화가 온다. 마누라 기일이 되었는데도 아들과 며느리한테서는 도무지 연락이 없고, 텔레비전 속에서는 연신 제주로 가던 배가 침몰되었다는 사고 소식만 나온다. 이른 나이에 홀아비가 되어 두 자식을 키워낸 할아버지가 소식이 닿지 않는 쌍둥이 손자를 찾아 젊어서 떠나왔던 고향 제주를 찾는다. 떠난 아이들과 함께했던 기억 때문에 더 가슴 아픈, 남아있는 자의 슬픔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작품이다.

윤이형의 〈가두리〉는 쌍둥이 남매로 태어나 여성이라는 감옥에 갇혀 살았던 ‘나’가 제주에서 인간들의 폭력에 의해 불법 포획된 돌고래 ‘복순’이를 통해 진정한 자유를 알게 된다는 내용이다. 남자들의 선의 속에서 길들여지는 삶이 아닌 힘들더라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짓는 삶이야말로 진정한 나로 사는 것임을 깨닫는 과정을 차분한 어조로 서술한다.

몽고 침략 이후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구병모의 〈물마루〉는 몽고로부터 들어온 말을 키우는 테우리(말을 키우는 사람) 소녀 자이아와 물질을 업으로 하는 잠녀(해녀) 나불의 이야기다. 나불은 병든 어멍(엄마) 대신 물질을 해서 공물을 바쳐야 하고, 원제국의 후손인 자이아는 동생처럼 돌본 말 발란을 뭍에서 온 고려군에게 빼앗기지 않으려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에서 도망치려 한다. 자문까지 구해 제주어를 구사해 쓴 작품으로 제주의 아름다움을 보태었다.

“여기까지 오느라고 수고했어!”

여행은 우리에게 낯설고 불편하지만 설렘을 선사한다. 낯선 이들에게서 오히려 편안함을 느끼고, 새로운 삶을 꿈꿀 수 있는 용기를 주기도 한다. 어쩌면 너무나 익숙해져서 “이제는 타성화 되어버린” (<송당>) 도시에서의 삶은 “숨 쉴 구멍조차 없이 차단된 곳”(<크루즈>)이 되어 “살아온 시간이 다 거짓말처럼 느껴”져 “어느 순간 간절한 구조요청”(<벨롱>)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소설 제주》는 잠시 쉬었다 가도 좋다는 위로가 된다. 너무 빠르게 흘러가 버리는 일상에서 잠시 내가 어떻게 살고 있는지 되돌아보고 “행복이라는 것의 정체”(<크루즈>)를 언뜻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 제주》의 풍경은 때로는 ‘상실’과 ‘결핍’으로 삶의 민낯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래서 “뉘 집 자손들인지 모르지만 안타깝고 애석해” “눈앞이 아득해”질 수밖에 없는 ‘세월호’의 안타까움과(<귤목>), “세계로 향하는 감각이 모두 닫힌” 채 포획되어버린 제주 남방큰돌고래 ‘복순이’나(<가두리>), “무사히 돌아오는 일 자체가 싸움 비슷이 여겨지기도 하는” 뭍에서 온 사람들의 횡포를 감당해야 하는 섬사람들과(<물마루>) 마주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이곳 제주에서 휴식하기를 원한다. 서울에서 비행기로 겨우 1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는 “바다 건너의 그곳”(<프롤로그>)은 어쩌면 우리 삶에 있어 잠시 반짝이는 “찰나의 순간”(<벨롱>)이거나 “한순간 ‘펑’ 하고 모든 걸 잊게 만드는”(<송당>) 선물일지 모른다. 그리고 《소설 제주》가 그 잠시의 휴식이 되어주리라 믿는다.

도시인들에게 《소설 제주》가 작고 심심한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복닥거리는 지하철 어딘가에서 이 책을 펼치며 잠시나마 미소를 지을 당신을 생각하니 벌써 가슴이 설렙니다. 이게 사는 건가 싶을 때 당신이 제주로 가게 된다면 이 책 한 권이 가볍게 손에 들려지기를 바랍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소설 제주》는 활발하게 활동 중인 작가 5인과 등단한 적은 없지만 한 번도 작품 활동을 멈추지 않았던 작가 SOOJA(필명)의 작품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기쁨을 작가에게는 독자를 만날 수 있는 지면을 열어놓았다. 누벨바그 시리즈는 앞으로도 독자들에게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목차
벨롱/▼d전석순 --.▼t크루즈/▼d김경희 --.▼t송당/▼dSOOJA --.▼t귤목/▼d이은선 --.▼t가두리/▼d윤이형 --.▼t물마루/▼d구병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