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살림지식총서 561
(우리가 알아야 할)도시재생 이야기: Society·culture·environment
- 저자/역자
- 윤주 지음
- 펴낸곳
- 살림
- 발행년도
- 2017
- 형태사항
- 189p.: 19cm
- 총서사항
- 살림지식총서; 561
- 원서명
- Society·culture·environment
- ISBN
- 9788952238054 9788952200969(세트)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539.7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4875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JG0000004875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낙후된 고가철도에서 꽃과 나무와 연인을,
폐공업지대에서 낭만의 숨결이 느껴지는 음악과 미술과 문화를 만나다.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 화두다. 세계적으로 '도시 재생'이라는 말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시대를 열어가며 '기술의 진보' '속도의 향상' '규모의 증강'을 추구하던 세계는, 이제 거꾸로 '로컬' '회복' '재생'으로 그 관심을 돌리고 있다. 환경 문제, 자원 문제 앞에서 성장이 한계에 부딪혀 갈 곳을 잃었던 인류가 갈 길을 찾은 것이다. 낙후된 공간이나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은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성공을 거두며 각광받고 있다. 대체 도시재생이란 무엇이고, 왜 이런 뜨거운 관심과 논의를 불러일으키게 되었을까?
도시는 이제 그동안 많은 문제를 낳은 획일적이고 상업적인 개발 논리에서 벗어나, 사람들의 삶이 중심이 되는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갈 때가 되었다. '도시재생'은 이런 시대의 요구에 따라 도시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재생은 기존 도시재개발이 물리적.양적 추구만을 내세운 것과 달리 질적 추구로 패러다임 변화를 시도한다. 이는 기존의 무조건적인 철거와 재조성 방식 때문에 파괴되었던 자연 환경, 역사와 문화, 고유의 정체성 등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의 진면목을 되살리려는 회복의 방식이다. 이를테면, 낙후된 고가철도가 꽃과 나무가 있는 아름다운 공중정원이 되고, 폐공업지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대신 낭만의 숨결이 느껴지는 음악과 미술과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것이다. 이렇듯 도시재생은 도시의 역사성과 현재성 그리고 그 안에 녹아 든 사람들의 시간과 삶까지, 도시의 유기적인 속성 모두를 하나의 도시 정체성으로 간주함으로써 삶의 길을 찾아가는 것이다.
저자는 지역문화생태연구가이자 활동가로서 낙후된 공간이나 유휴공간을 살리는 일에 동참해 현업에서 열정을 쏟고 있다. 그런 만큼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재생이나 도시재생이 어떤 방향으로 길을 터 나가야 할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계 각국의 성공사례를 함께 살펴보고, 함께 고민하고, 함께 나아가기를 희망한다.
파리 프롬나드 플랑테, 노후한 고가철도에서 공중정원으로 거듭나다.
낭만과 예술의 도시 파리, 센강이 흐르고, 밤에는 에펠탑이 별꽃으로 출렁이고, 거대 문화유산이 살아 숨쉬는 오르세미술관과 루브르박물관이 있는 곳이다. 그런데 이렇게 아름다운 도시 파리에서, 4.5킬로미터나 달하는 뱅센 고가철도와 바스티유역이 20년 동안이나 산업 유물로 방치되었었다고 상상해보라.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치는 흉물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범지역으로까지 전락했다. 그랬던 이곳이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그랑 프로제'라는 문화정책 덕으로 바스티유역은 오페라 극장으로, 뱅센 철도는 프롬나드 플랑테라는 공중정원으로 재생되어 오늘날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
나오시마, 산업폐기물과 유독가스로 시들어가던 곳이 꿈꾸는 예술섬으로
1917년부터 제련소가 있었던 섬 북쪽의 공장에서는 끊임없이 매연과 유독가스가 뿜어져 나왔고, 공장에서 흘러나온 기름 찌꺼기는 근처 바닷물을 오염시켰다. 섬의 수목은 점점 말라 시들어갔다. 게다가 1980년대에 제련소가 문을 닫자,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진 이곳은 젊은이들은 다 떠나고 노인들만 남은 생기 없는 섬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다함께 잘살자'는 철학을 가진 베네세 홀딩스 재단의 이사장인 후쿠타케 소이치로가 건축의 거장 안도 다다오와 함께 이곳에 숲을 가꾸고, 아름다운 생태환경을 조성했다. 이 지역 노인들이 웃음을 잃지 않고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배려를 콘셉트로 잡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해마다 젊은이들을 끌어들이는 활력의 섬으로 재탄생했다. 베네세하우스를 짓고, 지추미술관을 들이고, 이우환 미술관을 짓고, 캠핑장을 짓고, 눈길을 끄는 예술적 조형물들이 곳곳에서 자태를 뽐낸다. 어느새 이곳은 한 해에 국제예술제를 세 번씩이나 치르는 꿈꾸는 예술섬이 되었다.
런던 테이트 모던 미술관, 밀레니엄 브리지로 런던의 역사성과 현재를 잇다.
영국 산업혁명의 중심지였던 템스 강변의 수많은 공장들 중 하나인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Bankside Power Station)'는 1960년대 런던 시내에 전기를 공급해 산업의 중추 역할을 했던 곳이다. 영원히 해가 지지 않을 것 같던 영국도 1980년대에 들어서자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경기쇠퇴기를 맞았다. 산업 유물로 애물단지 신세가 된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도 20여 년이나 방치되던 끝에, 다행히 미술관 부지를 물색 중이던 테이트 재단이 눈여겨보았다. 이미 밀뱅크 교도소를 미술관으로 탈바꿈시키는데 성공한 이력이 있는 테이트 재단에서, 화력발전소의 역사성과 현재적 삶의 역동성을 잘 조화시켜 테이트 모던 미술관을 성공적으로 완공했다. 덕분에 지역민들의 문화?예술?경제를 발전시키고, 밀레니엄 브리지와 손 맞잡고 런던 전체의 문화?역사의 공간까지 이어주는 시너지효과를 톡톡히 발산하고 있다.
토론토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 시간의 중첩이 만들어내는 조율
과거의 구더햄 앤드 워츠 양조장은, 현재의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 역사지구로 탈바꿈해 역사/문화 자산을 재생해 상업적으로 성공한 곳이다. 산업유산이 지닌 가치와 역사성을 지키면서 예술과 상업, 문화가 자연스레 스며들게 했을 뿐 아니라 예술인과 방문객, 인근 지역 주민들까지 공조하고 참여하는 개방적 재생을 통해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의 장소성은 과거와 연결된 현재성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그와 같은 장소성에 어우러지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을 연계해, 다시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속에 가까이 자리하게 했다. 사람들의 삶이 떠난 '멈춘 공간'이 아닌, 시대의 변화와 함께하는 '생명력 있는 공간'이 된 셈이다. 과거의 산업유산은 현재의 문화와 예술, 사람과 조화를 이룬다. 앞으로도 이러한 조화는 이곳의 변모와 발전에 지속적인 버팀목이 될 것이다.
뉴욕을 품은 하이라인 파크
'죽은 공간을 다시 살리자'라는 구호 아래 프리랜서 기고가 조슈아 데이비드, 창업 컨설턴트 로버트 해먼드를 중심으로 결정된 '하이라인 친구들'은 뉴욕의 폐고가철도를 아름다운 공간으로 재생하기 위해 생계를 마다하지 않고 달렸다. 한 방울의 물이 모여 바다를 이루듯이 그들은 수많은 장애물을 넘고 넘어 후원자를 모으고, 법률가의 자문을 받으며, 건축가, 조경가, 뉴욕을 사랑하는 수많은 시민들을 한마음 한뜻으로 단결시켰다. 각종 정치적/경제적 이권 다툼의 장애물에 시달리기도 했지만, 정치가, 사업가, 유명 연예인, 언론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조와 지지 아래 무엇보다 시민들의 탄탄한 응원을 받으며 결국 하이라인 파크를 조성했다. 15년이라는 긴긴 싸움과 노력과 열정 끝에……, 그렇게 도시는 재생되는 것이다.
다산쯔 798예술구, 문화혁명으로 무너진 역사와 문화를 새로이 생성하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간,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중국은 마오쩌둥(毛澤東)이 주도하는 '문화대혁명'을 겪었다. 그러는 동안 중국의 귀중한 역사와 문화유산은 무참히 파괴되었다. 그나마 근대화가 퇴색해진 '베이징 화베이 무선전신연합 기자재공장'지대, 798*797*718*707*706 등 '7'자 돌림인 여러 개의 국영 공장에서 역사와 문화의 불씨를 살려간 것은 다행한 일이다. 여기서 잉태한 다산쯔 798예술구가 바로 이곳이다. 여러 예술가들이 이곳에 자리를 잡고 쑤이젠궈, 황루이, 쉬융, 장샤오강, 위에민쥔, 팡리쥔, 등이 예술과 문화를 결합하여 민중들에게 희망과 활력을 주는 장을 펼쳐갔다. 그런데 다산쯔 798예술구가 점점 활성화되면서 예술이 자본과 결탁하여 차츰 그 순수성과 빛을 잃어간다고 중국 현대미술의 선구자인 리셴팅은 안타까워한다. 도시재생의 과정에서 자본가들이 민중들의 터전에 발을 들여 부를 축적하는 도구로 예술과 문화의 순수성을 흔드는 일은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폐공업지대에서 낭만의 숨결이 느껴지는 음악과 미술과 문화를 만나다.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 화두다. 세계적으로 '도시 재생'이라는 말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시대를 열어가며 '기술의 진보' '속도의 향상' '규모의 증강'을 추구하던 세계는, 이제 거꾸로 '로컬' '회복' '재생'으로 그 관심을 돌리고 있다. 환경 문제, 자원 문제 앞에서 성장이 한계에 부딪혀 갈 곳을 잃었던 인류가 갈 길을 찾은 것이다. 낙후된 공간이나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은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성공을 거두며 각광받고 있다. 대체 도시재생이란 무엇이고, 왜 이런 뜨거운 관심과 논의를 불러일으키게 되었을까?
도시는 이제 그동안 많은 문제를 낳은 획일적이고 상업적인 개발 논리에서 벗어나, 사람들의 삶이 중심이 되는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갈 때가 되었다. '도시재생'은 이런 시대의 요구에 따라 도시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재생은 기존 도시재개발이 물리적.양적 추구만을 내세운 것과 달리 질적 추구로 패러다임 변화를 시도한다. 이는 기존의 무조건적인 철거와 재조성 방식 때문에 파괴되었던 자연 환경, 역사와 문화, 고유의 정체성 등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의 진면목을 되살리려는 회복의 방식이다. 이를테면, 낙후된 고가철도가 꽃과 나무가 있는 아름다운 공중정원이 되고, 폐공업지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대신 낭만의 숨결이 느껴지는 음악과 미술과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것이다. 이렇듯 도시재생은 도시의 역사성과 현재성 그리고 그 안에 녹아 든 사람들의 시간과 삶까지, 도시의 유기적인 속성 모두를 하나의 도시 정체성으로 간주함으로써 삶의 길을 찾아가는 것이다.
저자는 지역문화생태연구가이자 활동가로서 낙후된 공간이나 유휴공간을 살리는 일에 동참해 현업에서 열정을 쏟고 있다. 그런 만큼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재생이나 도시재생이 어떤 방향으로 길을 터 나가야 할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계 각국의 성공사례를 함께 살펴보고, 함께 고민하고, 함께 나아가기를 희망한다.
파리 프롬나드 플랑테, 노후한 고가철도에서 공중정원으로 거듭나다.
낭만과 예술의 도시 파리, 센강이 흐르고, 밤에는 에펠탑이 별꽃으로 출렁이고, 거대 문화유산이 살아 숨쉬는 오르세미술관과 루브르박물관이 있는 곳이다. 그런데 이렇게 아름다운 도시 파리에서, 4.5킬로미터나 달하는 뱅센 고가철도와 바스티유역이 20년 동안이나 산업 유물로 방치되었었다고 상상해보라.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치는 흉물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범지역으로까지 전락했다. 그랬던 이곳이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그랑 프로제'라는 문화정책 덕으로 바스티유역은 오페라 극장으로, 뱅센 철도는 프롬나드 플랑테라는 공중정원으로 재생되어 오늘날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
나오시마, 산업폐기물과 유독가스로 시들어가던 곳이 꿈꾸는 예술섬으로
1917년부터 제련소가 있었던 섬 북쪽의 공장에서는 끊임없이 매연과 유독가스가 뿜어져 나왔고, 공장에서 흘러나온 기름 찌꺼기는 근처 바닷물을 오염시켰다. 섬의 수목은 점점 말라 시들어갔다. 게다가 1980년대에 제련소가 문을 닫자,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진 이곳은 젊은이들은 다 떠나고 노인들만 남은 생기 없는 섬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다함께 잘살자'는 철학을 가진 베네세 홀딩스 재단의 이사장인 후쿠타케 소이치로가 건축의 거장 안도 다다오와 함께 이곳에 숲을 가꾸고, 아름다운 생태환경을 조성했다. 이 지역 노인들이 웃음을 잃지 않고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아갈 수 있는 따뜻한 배려를 콘셉트로 잡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해마다 젊은이들을 끌어들이는 활력의 섬으로 재탄생했다. 베네세하우스를 짓고, 지추미술관을 들이고, 이우환 미술관을 짓고, 캠핑장을 짓고, 눈길을 끄는 예술적 조형물들이 곳곳에서 자태를 뽐낸다. 어느새 이곳은 한 해에 국제예술제를 세 번씩이나 치르는 꿈꾸는 예술섬이 되었다.
런던 테이트 모던 미술관, 밀레니엄 브리지로 런던의 역사성과 현재를 잇다.
영국 산업혁명의 중심지였던 템스 강변의 수많은 공장들 중 하나인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Bankside Power Station)'는 1960년대 런던 시내에 전기를 공급해 산업의 중추 역할을 했던 곳이다. 영원히 해가 지지 않을 것 같던 영국도 1980년대에 들어서자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경기쇠퇴기를 맞았다. 산업 유물로 애물단지 신세가 된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도 20여 년이나 방치되던 끝에, 다행히 미술관 부지를 물색 중이던 테이트 재단이 눈여겨보았다. 이미 밀뱅크 교도소를 미술관으로 탈바꿈시키는데 성공한 이력이 있는 테이트 재단에서, 화력발전소의 역사성과 현재적 삶의 역동성을 잘 조화시켜 테이트 모던 미술관을 성공적으로 완공했다. 덕분에 지역민들의 문화?예술?경제를 발전시키고, 밀레니엄 브리지와 손 맞잡고 런던 전체의 문화?역사의 공간까지 이어주는 시너지효과를 톡톡히 발산하고 있다.
토론토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 시간의 중첩이 만들어내는 조율
과거의 구더햄 앤드 워츠 양조장은, 현재의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 역사지구로 탈바꿈해 역사/문화 자산을 재생해 상업적으로 성공한 곳이다. 산업유산이 지닌 가치와 역사성을 지키면서 예술과 상업, 문화가 자연스레 스며들게 했을 뿐 아니라 예술인과 방문객, 인근 지역 주민들까지 공조하고 참여하는 개방적 재생을 통해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의 장소성은 과거와 연결된 현재성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그와 같은 장소성에 어우러지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을 연계해, 다시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속에 가까이 자리하게 했다. 사람들의 삶이 떠난 '멈춘 공간'이 아닌, 시대의 변화와 함께하는 '생명력 있는 공간'이 된 셈이다. 과거의 산업유산은 현재의 문화와 예술, 사람과 조화를 이룬다. 앞으로도 이러한 조화는 이곳의 변모와 발전에 지속적인 버팀목이 될 것이다.
뉴욕을 품은 하이라인 파크
'죽은 공간을 다시 살리자'라는 구호 아래 프리랜서 기고가 조슈아 데이비드, 창업 컨설턴트 로버트 해먼드를 중심으로 결정된 '하이라인 친구들'은 뉴욕의 폐고가철도를 아름다운 공간으로 재생하기 위해 생계를 마다하지 않고 달렸다. 한 방울의 물이 모여 바다를 이루듯이 그들은 수많은 장애물을 넘고 넘어 후원자를 모으고, 법률가의 자문을 받으며, 건축가, 조경가, 뉴욕을 사랑하는 수많은 시민들을 한마음 한뜻으로 단결시켰다. 각종 정치적/경제적 이권 다툼의 장애물에 시달리기도 했지만, 정치가, 사업가, 유명 연예인, 언론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조와 지지 아래 무엇보다 시민들의 탄탄한 응원을 받으며 결국 하이라인 파크를 조성했다. 15년이라는 긴긴 싸움과 노력과 열정 끝에……, 그렇게 도시는 재생되는 것이다.
다산쯔 798예술구, 문화혁명으로 무너진 역사와 문화를 새로이 생성하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간,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중국은 마오쩌둥(毛澤東)이 주도하는 '문화대혁명'을 겪었다. 그러는 동안 중국의 귀중한 역사와 문화유산은 무참히 파괴되었다. 그나마 근대화가 퇴색해진 '베이징 화베이 무선전신연합 기자재공장'지대, 798*797*718*707*706 등 '7'자 돌림인 여러 개의 국영 공장에서 역사와 문화의 불씨를 살려간 것은 다행한 일이다. 여기서 잉태한 다산쯔 798예술구가 바로 이곳이다. 여러 예술가들이 이곳에 자리를 잡고 쑤이젠궈, 황루이, 쉬융, 장샤오강, 위에민쥔, 팡리쥔, 등이 예술과 문화를 결합하여 민중들에게 희망과 활력을 주는 장을 펼쳐갔다. 그런데 다산쯔 798예술구가 점점 활성화되면서 예술이 자본과 결탁하여 차츰 그 순수성과 빛을 잃어간다고 중국 현대미술의 선구자인 리셴팅은 안타까워한다. 도시재생의 과정에서 자본가들이 민중들의 터전에 발을 들여 부를 축적하는 도구로 예술과 문화의 순수성을 흔드는 일은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목차
들어가며: 도시재생, 도시를 되살리는 여정 3
왜, 지금 도시재생인가
도시재개발에 대한 회의
도시재생 개념의 탄생과 인식
도시재생의 실천과 방법
낙후된 지역을 되살리는 시간
제1장 ‘도시’라는 공간 13
제2장 파리 프롬나드 플랑테: 도시재생의 새로운 개념 21
제3장 나오시마: 예술로 삶이 바뀐 섬 35
제4장 런던 테이트 모던: 현대미술의 메카가 된 화력발전소 61
제5장 토론토 디스틸러리 디스트릭트: 버려진 양조장의 변신 81
제6장 뉴욕 하이라인 파크 : 집념이 이룬 옛 고가철도의 기적 97
제7장 베이징 798예술구: 문화예술의 중심지가 된 버려진 공장지대 151
나가며: 우리가 주목해야 할 도시재생 이야기 176
참고문헌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