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제주와 제주문화
- 저자/역자
- 김학수 / 이남옥, 이창일, 김소희, 정치영, 정은주, 박용만, 정수환, 이욱, 김호, 강문종, 이민주, 한도현 지음
- 펴낸곳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발행년도
- 2023
- 형태사항
- 466 p.: 23 cm
- ISBN
- 9791158667566 9788971057728(세트)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911.9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836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JG000000836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목차
제1부 지식문화와 인간
조선시대 제주학풍의 형성과 전개_김학수
Ⅰ. 머리말
Ⅱ. 15~16세기 주자학적 지식문화의 갈래
Ⅲ. 17세기 주자학풍의 강화
Ⅳ. 17세기 이후 기호·영남학풍의 이원적 수용과 전개
Ⅴ. 맺음말
제주목사 이형상의 풍속 교화와 폐정 개혁_이남옥
Ⅰ. 머리말
Ⅱ. 이형상의 누습 인식과 풍습 교화
Ⅲ. 이형상의 폐정 인식과 개혁 정책
Ⅳ. 맺음말
제주 도학자 변경붕의 철학사상_이창일
Ⅰ. 머리말
Ⅱ. 기호학파의 표준 입장
Ⅲ. 실존적 문제의 성리학적 해석
Ⅳ. 미완의 유서와 박물학적 관심
Ⅴ. 맺음말
제주 인쇄문화의 전개와 가치_김소희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Ⅲ. 조선 후기 제주 간행물의 특징
Ⅳ. 제주 인쇄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제2부 지리환경과 공간
제주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_정치영
Ⅰ. 머리말
Ⅱ. 제주의 자연환경
Ⅲ. 제주의 인문환경
Ⅳ. 맺음말
지도와 기록화로 본 조선 후기 제주 문화와 공간_정은주
Ⅰ. 머리말
Ⅱ. 제주지도의 변천
Ⅲ. 제주 공마 목장의 운영
Ⅳ. 제주 지방관의 순력과 명승유람
Ⅴ. 맺음말
신광수의 「탐라록」과 조선 후기 지식인의 제주 인식_박용만
Ⅰ. 머리말
Ⅱ. 지방관과 유배 지식인의 서로 다른 제주 인식
Ⅲ. 「탐라록서」에 나타난 당대 문인들의 인식
Ⅳ. 「탐라록」 수록 한시에 흐르는 시적 정서
Ⅴ. 맺음말
제3부 경제활동과 보건환경
제주 토지 소유와 매매의 한 양상_정수환
Ⅰ. 머리말
Ⅱ. 진주강씨의 사회적 위상과 토지 확보
Ⅲ. 명문을 통해 본 제주 토지 매매의 특징
Ⅳ. 맺음말
국가 의례와 제주 흑우 공급_이욱
Ⅰ. 머리말
Ⅱ. 희생제와 흑우 소용
Ⅲ. 흑우 진공 수효의 증가
Ⅳ. 흑우 목양과 수송
Ⅴ. 우역의 성행과 대응
Ⅵ. 흑우의 제향 공급
Ⅶ. 맺음말
제주 의료환경의 주변적 성격_김호
Ⅰ. 머리말
Ⅱ. 제주 약재 공급과 약국 운영
Ⅲ. 제주목사의 의료환경 조성
Ⅳ. 주변성에서 오는 제주의 열악한 보건환경
Ⅴ. 맺음말
제4부 생활문화의 다채성
제주 신화에 담긴 생활문화와 그 의미_강문종
Ⅰ. 머리말
Ⅱ. 신들의 옷과 집
Ⅲ. 신들의 음식
Ⅳ. 신들의 가정 불화
Ⅴ. 신들에게 중요한 나이 15세
Ⅵ. 신들의 사랑과 불륜
Ⅶ. 맺음말
갓 문화를 통해 본 제주 복식의 다름과 습합_이민주
Ⅰ. 머리말
Ⅱ. 제주 풍속과 복식
Ⅲ. 제주의 모자
Ⅳ. 갓 문화로의 습합
Ⅴ. 맺음말
조선 향약의 현대적 실천, 가시리의 마을만들기_한도현
Ⅰ. 제주도 마을의 원리로서 향약
Ⅱ. 제주 가시리의 향약과 마을만들기
Ⅲ. 커머닝의 실천과 현실 유토피아의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