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일반자료

일반자료

일반자료

1219 끝이 시작이다

저자/역자
문재인 지음
펴낸곳
바다
발행년도
2013
형태사항
368p.: 23cm
ISBN
978895561690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4106-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106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많은 분이 힘들어 합니다. 요즘 정치를 보면서 절망감과 무력감을 느낄 만도 합니다. 힘을 가진 측이 마음대로 세상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쪽은 칼자루를 쥐고 있고, 한쪽은 칼날을 쥔 채 옴짝달싹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끝나지 않는 것이 세상입니다. 무도한 힘은 결국 심판받기 마련입니다. (…)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분명,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2012년 12월 19일로부터 1년,《문재인의 운명》이 출간된 지 2년 6개월. 대선 이후 침잠의 시간을 보낸 문재인이 《1219 끝이 시작이다》로 말문을 열었다.
대선 후보가 일 년 만에 자기반성과 성찰을 담은 책을 낸 일은 이례적이다. 반성은 통렬하고, 성찰은 깊다. 2017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담았다. 현 정부에 대한 비판도 거침없다.

퇴행 또 퇴행

책에서 문재인은 대선 이후 개인적으로 힘겨웠던 심경, 자신보다 더 힘들어 했던 국민들에 대한 미안함 그리고 대선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정국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때로는 냉정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토로하고 있다.
“공안정치를 이끄는 무서운 대통령”을 지켜봐야 하는 현실 앞에서, “관권 선거”를 넘어 “사실 규명을 방해하면서 진실을 은폐하는” 집권 세력을 마주하면서,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의 소회는 그래서 더 남다르고 절실하다.
저자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진심으로 바랐지만 민주주의, 국민 통합, 경제민주화, 복지 공약, 역사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이명박 정부의 퇴행보다 더 절망적인 퇴행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국정원 불법 대선공작과 사실 규명을 막기 위해 공공연하게 저지르고 있는 사법 방해 행위들에 대해서는 “과거 독재정권들도 하지 못했던 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어떻게 하든지 진실을 덮으려고 하는 박근혜 정부의 대응이 오히려 정통성에 대한 공격을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바야흐로 지난 정권의 잘못이 현 정권의 더 큰 잘못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개탄한다.

“지난 대선이 공정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국정원 대선 개입을 규탄해 온 대다수 국민들의 목적은 ‘선거 다시 하자’는 데 있지 않았”다. "현실적으로도 선거를 무효화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다. “국민들이 요구한 것은 대통령과 정부 여당의 진정성 있는 태도”였다. “제(문재인)가 취해 온 입장”도 같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그러지 않”고 “오히려 거꾸로” 가고 있다. “대선 불복을 키우는 것은 촛불이 아니라, 대통령과 여당의 태도임을 직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71-72쪽, <부정,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에서)

처음 말하는 대선에 관한 소회


《1219 끝이 시작이다》는 이처럼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치인 문재인의 정치 비판서이면서, 동시에 ‘이기기 위한 대선’을 준비하기 위한 후보 자신의 반성적 ‘대선 평가서’이기도 하다. 저자 자신과 민주당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주어질 과제와 도전을 준비하는 새로운 시작의 책이기도 하다. “끝이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가 자신에게 ‘운명’이 되어 버린 책 《문재인의 운명》을 시작으로, 범야권 통합운동과 국회의원 선거를 거쳐 대선에 이르기까지, 그 숨 가쁘고 험난했던 시절을 복기하는 것은 이를 위해 꼭 필요한 준비 과정이다.
스스로 “결단력이 부족했다고 느끼는 대목”이 많았다며 고뇌와 아쉬움을 표하는 대목,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최종 협상 시한에 대한 판단이 양측이 달랐던 점, 후보 당사자들이 협상을 직접 진행하면서 생기는 ‘단일화의 그늘’ 등에 대한 생각은, 책에서 처음으로 밝히는 저자의 솔직한 육성이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현실정치 논리에 밀려 떠나보내야 했던 민주당 지도부에 대한 미안함, 실무 참모들이 ‘친노’라는 이유만으로 사퇴해야만 했을 때의 안타까움, 헌신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동지들에 대한 미안함 등 후보 자신이 아니면 말하기 어려운 감정들을 솔직하게 밝히고 있다.

‘평소의 준비 부족’이 패인

저자가 이 책을 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후보 자신에 의한’ 대선 평가이다. 대선 이후 수많은 평가가 있어 왔지만, 정작 “대국자” 자신의 평가서는 없었다는 점이다. 비록 대국자 자신의 평가가 “일반적이지 않고, 주관적일지라도” 후보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승부의 호흡”이 있기 때문이다.
모름지기 대선 평가서는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과 그렇지 못한 요인”을 고루 살펴야 하는데, 그간의 대선 평가서는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대선 후보였던 저자의 평가다. 그런 점에서 미국 공화당의 대선 평가보고서는 좋은 예의 하나이기도 하다.
지난 대선 패배의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평소의 준비 부족, 실력 부족”이다. 그것은 후보 자신을 향한 자기비판이기도 하고, 민주당에 대한 가감 없는 평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 NLL과 대화록 사건으로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사악한 종북” 프레임, 정보기관과 군이 동원된 관건 선거가 위력을 발휘한 것 역시 주요 패인이다. 저자는 이를 “대선에서 가장 강력하게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종북’ 프레임”이지만, 이 같은 종북 프레임이 “다시는 이 땅의 선거에서 발붙일 수 없게 평소부터 단호히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 여전히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과 “세대별로 품지 못한 전략”, 보수와 진보로 나뉜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의 문제들도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들이다.

떨쳐 내지 못한 ‘우리 안의 근본주의’


특히 패배 원인 중 하나로 새롭게 지적하고 있는 것은 “우리 안의 근본주의”이다. 민주 진영이 민주, 인권, 평화, 연대, 환경, 생명, 사람 등 좋은 가치와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좀 더 유연하고 좀 더 실질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게 한 ‘근본주의’가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이다.

“민주 진영은 담론에서, 그동안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에 관심을 덜 가졌던 게 사실입니다. 그로 인해 국가공동체의 공동선을 위해 더 많은 헌신과 희생을 치러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나 ‘애국’이라는 가치를, 실상과 다르게 보수 세력의 전유물처럼 내줬습니다.” -245쪽에서

저자는 민주 진영은 앞으로 국가, 애국, 안보, 성장의 담론을 더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로 보나 역사적 성과로 보나 민주 진영이 “뭐 하나 꿇릴 게 없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렇게 객관적 패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결코 자신의 책임을 작게 생각해서가 아니다.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지지를 확장시켜 준 요인이었고 무엇이 한계였는지, 상식의 눈”으로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책의 제목처럼, 희망을 가진 사람에게,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끝은 단순히 끝이 아니라 “끝이 시작”일 수 있을 것이다.
‘성장과 안보에서도 유능한 진보’ ‘더 정의롭고 따뜻한 성장’ ‘근본주의적 사고를 넘는 유연함’ ‘시민이 참여하는 정당 민주제’ ‘평화에 대한 새롭고도 확고한 인식‘ ’새 정치에 대한 혁신과 실천’ 등이 그 과제일 것이다.
패배가 주는 가르침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강함과 유연함을 두루 갖추고, 정치와 정당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다시 “시민 속으로” 들어간다면, 그 끝은 분명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일 것이다.

“저와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 법입니다. 저와 민주당이 다시 희망과 믿음을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필요한 것은 희망입니다. 그래도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입니다. 끝이 다시 시작입니다” -문재인
목차

서문 다시 희망을 세우며 006

1부 폐허에서 피어나는 희망 - 지금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레미제라블 013ㅣ이길 수도 있었던 선거 016ㅣ더 멀어진 국민 통합 020
잘못 끼운 첫 단추 024ㅣ부디 성공을 기원했건만 028
다시 정국 한가운데로 036ㅣ증오와 적의(敵意)의 끝은 040
또다시 퇴행과 역류… 045ㅣ그날 이후 049ㅣ나보다 아팠을 사람들 054
한없이 가라앉았던 시간 057ㅣ패배 못지않은 고통 061ㅣ제 탓입니다 064
놓아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 067ㅣ‘부정(否定)’ ‘불복’의 마음들을 보며 071
“일어나세요…” 074ㅣ평생 떠안게 된 빚 079

2부 피, 땀, 눈물이 지나간 자리 - 《운명》에서 대선까지의 기억과 기록

운명이 되어 버린 책, 《운명》 083ㅣ하나, 하나, 하나 088
야권 통합의 거름이 된 분들 094ㅣ‘광야’의 그 사람 098
인연과 인연의 교차 103ㅣ또 떠나보내다 108ㅣ바람이 다르다 112
가장 원시적인 선거운동 115ㅣ‘보이지 않는 손’ 120ㅣ기대와 실망 사이 123
총선 후폭풍, 그 우울한 초상 126ㅣ국화 한 송이, 그의 무덤 앞에 131
결심 136ㅣ불비불명(不飛不鳴) 141ㅣ상반된 두 개의 드라마 143
승자도 아프고 패자도 아프고 147ㅣ안타까운 선택 152
용광로에 불을 지피며 154ㅣ그래, 시민이 있다 157
달랐던 길, 같아야 할 길 162ㅣ‘후보는 무장 해제하라’ 165
‘노무현 대 박정희’ 169ㅣ오직 국민에게만 빚지겠습니다. 176
“깨끗하게 이겨야, 이기는 겁니다” 181ㅣ가족들이 겪은 고통 186
긴박했던 그날 밤 191ㅣ실기(失期)에 대한 아쉬움 194ㅣ단일화의 그늘 199
아름답게 손잡는 방법 202ㅣ참 기괴한 TV토론 206
이해찬·정세균, 두 분의 헌신 208ㅣ선거판에 뛰어든 권력기관 212
대통령의 정직성 그리고 정통성 215ㅣ선거에서 만난 ‘이 땅의 사람들’ 219

그들에게 길을 묻다 225

3부 아픔은 견디는 것이다 - 무엇이 부족했는가

이기기 위한 대선 평가 229ㅣ미국 공화당의 다른 성찰 233
사악한 주술(呪術), ‘종북’ 238ㅣ뭐 하나 꿀릴 게 없었건만 245
강고한 지역주의의 벽 252ㅣ세대별로 품지 못한 패착 257
‘내 친구 세대’의 절망 262ㅣ기울어진 운동장 267
상상도 못한 범죄 행태 273ㅣ분열의 프레임 ‘친노-비노’ 279
우리 안의 근본주의 285ㅣ권력의지와 ‘선한 의지’ 291
후보의 결단력이라는 것 294

4부 끝이 시작이다 -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패배가 주는 가르침 301ㅣ진보-보수를 뛰어넘어 305
유연함과 강함의 조화 310ㅣ북한을 대하는 새로운 발상 313
대륙경제로 가는 비전 319ㅣNLL 지키기 322
평화를 여는 더 좋은 방법 329ㅣ새 정치와 정당 혁신의 길 331
다시 시민 속으로 336ㅣ지역주의 정치 구도를 넘으려면 342
대의성을 높이는 선거제 개혁 345ㅣ힘을 모을 수 있는 경선의 지혜 349
온전히 하나가 되기 위해 353ㅣ왜 민주당인가 358 ㅣ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