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

밥 먹다가, 울컥: 기어이 차오른 오래된 이야기

저자/역자
박찬일 지음
발행년도
2024
형태사항
260 p. ; 21 cm
ISBN
978890127937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7973-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973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외롭고 삭막한 시대에 건네는 박찬일의 오래된 위로
“목구멍을 타고 그리운 것들이 사라져 간다”

차마 그리워 입에 올리지 못한
서러움에 끝내 삼키지 못한
눈시울을 붉히는 소설 같은 추억들

★ 만화가 강풀 ․ 영화감독 변영주 추천 ★
★《시사IN》 독자들이 오열한 화제의 연재 ★

사라져 가는 것들이 그리워, 잊지 않으려 쓰는 이야기
― 갈수록 냉기가 도는 세상에 목젖까지 차오른 소설 같은 추억들을 꺼내다


어떤 추억은 차마 꺼내기가 두렵다. 유독 마음에 턱하니 걸리는 그리운 사람, 생각만 해도 ‘울컥’해 말을 잇기 어려운 순간들을 당신도 기억 저편에 묻어두지 않았던가. 그와 함께 나누던 밥과 술, 함께 걷던 그날의 온도와 눈앞에 펼쳐지던 풍경 같은 것들 말이다. 모든 것이 점점 더 빠르게 변하는 사이, 그리운 것들은 사라지고 잊힌다. ‘추억의 절반은 맛’이라고 삶과 음식의 관계를 정의했던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이 사라져 가는 추억들을 기억하기 위해 어렵게 꺼낸 이야기들을 엮어 신간 『밥 먹다가, 울컥』으로 독자 곁을 찾아왔다.
대한민국에서 음식과 술, 노포와 추억에 관한 글이라면 박찬일을 빼놓고 생각하기 어렵다. 기자로 시작해 이탈리아로 요리 유학을 다녀온 그는 2000년대 청담동 일대에 로컬 재료를 메뉴에 올리며 파스타 신드롬을 일으킨 주인공이고, 와인과 요리, 제철 음식과 절집 밥상까지 가로지르며 최초로 ‘글 쓰는 요리사’라는 타이틀을 얻은 국내 서점가의 독보적 에세이스트다. 소설가 김중혁이 명명한 것처럼 대단한 ‘국수주의자(짜장에서 냉면까지 국수를 좋아해서 붙은 별칭)’로서 면 요리를 다룬 글과 책도 남겼다. 전국의 노포를 취재하며 남긴 책(『내가 백년식당에서 배운 것들』과 『노포의 장사법』)과 인터뷰로 ‘국립민속박물관 자료 기증자’가 되기도 했다. 그런 그가 더 진하고 깊어진 산문 세계를 보여준 이번 책의 주제는 ‘잊지 않으려 쓰는 이야기, 차마 입에 올리기 어려웠던 그리운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지구 반 바퀴를 날아온 녀석의 고추장에서
미디움 레어 스테이크가 웰던이 되더라도 받아야 할 전화,
광풍과도 같던 시대를 등진 친구가 남긴 마지막 편지까지
― 삶의 짙은 ‘페이소스’가 느껴지는 29편의 에세이, 그 오래된 위로


이 책은 2022년부터 1년간 주간지 《시사IN》의 동명의 칼럼 〈밥 먹다가, 울컥〉에 연재한 원고들을 다듬고 더해 쓴 글들을 묶은 것이다. 2023년 6월 연재 중단 소식에 독자위원회로부터 중단 사유를 묻는 문의가 빗발쳤을 만큼, 매주 독자들의 마음을 울컥하게 만들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부와 성공에 대한 욕망이, 기술과 혁신에 대한 추앙만이 득세하는 세상에서 작가 박찬일이 꺼내든 사람과 추억, 그리움과 탄식으로 가득한 이 ‘오래된 위로’는 마치 시대를 역주행한 이야기 같다. 어느 독자는 그의 글을 두고 “삶의 ‘페이소스(pathos, 깊은 감정)’가 짙게 느껴지는 글”이라 평했을 만큼, 모두가 잊었던 시절과 추억을 깊고 진하게 자극했다.
“자꾸 무언가를 잊어버리는 나이가 되”어 “한국의 100대 명산과 지하철 2호선 노선도까지 외웠다”는 저자가 잊지 않기 위해 쓰기로 한 것들은 결국 사무치게 그리운 사람들이다. 도무지 말로 할 수 없는 밥과 사람들, 이를테면 그가 어느 식당을 개업하려던 때 무허가 건물의 복잡한 공사 문제를 한방에 해결해주고도 “내가 무허가 인간”이라며 사라진 조선족 찐쩐룽 아저씨라든지(19-25쪽), 이탈리아 유학을 가서 생고생을 하며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있을 때 고추장과 멸치를 보내 사람을 울리더니 불현듯 세상을 떠난 어느 후배(31-33쪽) 같은 이들 말이다.
이제 그는 어렴풋이 안다. 사업 수완이 대단했던 그의 친구가 광풍과도 같던 사업의 흥망을 맞이하곤 친구들에게 빌린 돈 대신 죽기 전 남긴 편지에 담긴 마음(88-90쪽)을, 인지 장애를 겪는 그의 은사(恩師)가 요리사가 가장 바쁠 저녁 시간에 ‘시를 읽어주겠다’며 전화를 걸어오면 “미디움 레어 스테이크가 웰던이 되더라도” 받아야하는 이유(49-55쪽)를 말이다. 결국 고된 인생을 버티게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이었다.

‘총무님’ 명한 한 장에 눈시울이 붉어지던 아주머니,
알고선 먹을 수 없는 해녀들의 성게,
돌솥비빔밥 ‘3층 쟁반’ 나르다 온몸이 ‘아작난’ 배달의 기수들…
― 식당 주방을 지탱하는 사람들, 도무지 밥알이 넘어가지 않는 사연들을 듣다


총 3부로 나누어진 이번 책에서, 1부가 작가의 인생에서 잊을 수 없던 고맙고 그리운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담았다면, 2부는 그의 일터인 식당과 주방에서 만난 서럽고 고달픈 사람들과 그 사연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경상도 어느 해안에서 만난 노년의 해녀들이 바닥에 쪼그려 앉아 성게 잔가시와 내장을 빼내는 뒷작업하는 모습을 보면 “그 보드랍고 고운 성게가 목에서 걸”리고(105-109쪽), 사라진 새댁 대신 가게를 40년 넘게 맡아주고 있다는 군산 ‘홍집’의 사장님의 툭툭 내어주는 제철 진미와 마지막에 받게 되는 말이 안 되는 영수증을 보면 할 말을 잃게 된다(93-99쪽).
특히 작가와 오랜 시간 함께 일해 왔다는 ‘윤씨 아줌마’의 이야기도 쉬이 넘기기 어렵다. 요식업계에서 ‘아라이(洗い)’라고 불리는, “가장 낮은 일인 밥하는 직종에서도 더 낮은 몫인 보조하는 사람들” 중 하나였던 그녀를 부르는 ‘이모, 아줌마, 찬모, 혹은 엄마’ 등 다채로운 호칭들을 보면 누구라도 뜨끔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런 그녀에게 작가는 ‘총무 OOO’라고 명함을 파주었다(154쪽). 눈시울이 붉어지며 ‘태어나서 처음 벼슬해본다’며 울먹이던 그녀는 수많은 체불과 임금 떼이기를 겪다가 지금은 여의도 모 식당에서 ‘정식 찬모’로 일한다. “한번 놀러오라”며 20년째 그에게 명절마다 문자를 보낸다.
서로 누가 ‘기름빵(손이나 팔에 기름이 튀어 벌겋게 상처 난 흔적)’ 크기가 큰지 농담 삼아 겨룰 지경이라는 중국 요리 주방장들의 ‘동그란’ 고생담, 칼을 많이 써 ‘칸딘스키 스타일’로 상처가 남는다는 양식 조리사들의 ‘직선’의 무용담을 읽다보면 역시 말문이 막힌다(144-145쪽). 평생을 동대문 시장에서 머리에 ‘3층 쟁반’을 쌓아 배달하던 여사장님은 산재 처리도 안 되는 온갖 디스크에 관절염으로 척추에서 무릎까지 ‘아작’이 났다(162-165쪽). 돌솥 무게만 1킬로그램이 넘는다는 돌솥비빔밥 대유행의 시대를 견딘 수많은 배달아주머니들의 후과(後果)를 우리는 잘 모른다. 남의 밥을 해먹이기 위해 고생하고 희생하는 이들의 기막힌 사연에 우리는 왜 이토록 무심했을까.

“나는 결국 평생을 살아도 옛날만 사는 것 같다”
처절하게 가난과 사투를 벌였던 박찬일의 유년 시절
함께 버티고 자라던 친구들, 그리고 아버지…
― 나를 만든 사람들과의 추억을 기억하기 위해 쉬지 않고 쓴 글이 건네는 위안


저자가 언젠가 적어두었다는 버킷리스트에는 “아버지랑 동네 목욕탕에 가서 목욕하고 병 우유 마시기”가 있단다. 이제는 이룰 수 없는 소원이다. 두부요리의 달인이었던 아버지, 긴 시간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폐병을 얻어 늘 ‘큼큼’하는 소리를 내던 아버지는 이제 지구에 없고, 더운 우유를 하나 사주고는 신문을 보며 담배를 피우던 아버지의 모습이 그의 기억 속에 산다. 그가 “나는 결국 평생을 살아도 옛날만 사는 것 같다. 그래서 어른이 못 되었다”(8-9쪽)고 고백하며 잊지 않으려 쓴 글들은 그래서 더 애잔하고 먹먹하다.
‘가난을 겨뤘다’고 말할 만큼 모두가 가난하고 어렵게 성장한 시절이었다. 그 시절을 함께 했던 친구들과의 에피소드를 읽다보면, 모두가 저마다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 골목길을 활보하던 순간을 떠올릴 것이다. 이제는 영화관 ‘개구멍’을 함께 드나들던 녀석도, 동네 건달로부터 자신을 구해주던 영웅 같던 친구도 각자의 시간을 걷는다. 누군가는 교도소를 다녀왔고, 또 포장마차를 끌거나, 공공근로 산불감시원이 되기도 했으며, 혹은 사라졌다. 줄곧 전학을 다녔고 학교에 가기 싫어하던 저자는 요리사가 되었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는 기자 직함을 벗어던진 후 20년 넘도록 많은 글을 썼고 지금도 쓰고 있다. ‘잊지 않기 위해 쓴다’는 그가 이 책을 마무리하며 남긴 말은 “마음 속 깊은 곳의 죄송함을 다 털어 썼다”였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 역시 각자 인생의 어느 한 지점을 어루만지며 마음의 회한을 털어내기를, 그를 통해 위안 받기를 바란다.
목차

먼저 읽은 이들의 말
펴내며 _ 잊지 않으려 쓴다

1 | 그렇게 사라져 간다
누구보다 만두에 진심인 사람이 있었다
지구를 반 바퀴 돌아 녀석의 마음이 왔다
짜장면을 안주로 들면 그가 생각난다
40년 만에 갚은 술값
미디엄 레어가 웰던이 되더라도
어느 악기에는 내 이름이 새겨져 있다
너나없이 쓸쓸한 식욕으로 함바집을 찾았다
형은 미움이 없는 사람 같았다
뷔페의 시대가 가고, 친구도 갔다

2 | 차마 삼키기 어려운 것들
어차피 아무도 안 믿을 이야기
성게 함부로 못 먹겠다, 숨비 소리 들려서
요리사를 위한 요리, 스파게티 알라‘ 기레빠시’
무언가를 입에 대지 못하게 되는 일
사라지는 대폿집 겨우 찾아 아껴 먹는다
그 고생을 해서 일급 제빵사가 되었지만
그대 팔에 불기름 뒤집어쓸지언정
이모는 노동자가 아니라서 그랬을까
배달의 민족은 온몸이 아프다
소금 안주에 마시는 인생 마지막 술

3 | 추억의 술, 눈물의 밥
굶으며 혀가 자랐다
문간방 여섯 식구 밥솥의 운명
카레 냄새가 나던 일요일에는
종로 우미관 개구멍의 추억
찐개는 맞고 나서 만터우를 먹었다
그날 우리는 두부 두루치기를 먹었다 1
그날 우리는 두부 두루치기를 먹었다 2
우리는 그렇게 가난을 겨뤘다
노을이란 이름이 슬퍼서
매운 돼지곱창에 찬 소주만 마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