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여기 난민: 난민 경험과 기억
- 저자/역자
- 장창은 / 전영준, 양정필, 박재영, 고성만, 김준표, 김동윤, 강진구, 이기성 저
- 펴낸곳
- 온샘
- 발행년도
- 2022
- 형태사항
- 289p.: 24cm
- ISBN
- 9791192062105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331.3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7319 | - |
- 등록번호
- JG0000007319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총 8편으로 구성된 이 책은 제주 섬에 켜켜이 쌓인 두께를 톺아봄으로써 바로 지금 요구되는 ‘난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며 포용하기’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여기”까지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톺아본다는 것은 우리의 경험과 기억과 마주하기다.
난민의 경험과 기억을 가진 제주 섬 사람과 제주 섬의 경험과 기억을 가진 난민의 만남은 기대만큼 근사하지 않았다. 물론 난민의 경험과 기억이 얕은 이들에 비해 제주 섬 사람의 난민 인식은 좀 더 긍정적이고, 포용적이다. 그러나 전쟁난민, 삼별초, 출륙포작인, 제주 4‧3 난민의 경험은 제주 섬 사람조차 환대 공동체에서 제외된 장소상실의 존재로 배제하는 자기검열의 태도를 낳았다. 우리는 여기 제주 섬에 “쿰다”라는 환대의 힘이 내재되어 있고, 이것이야말로 난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쿰다”는 국가 중심에서 배제되어 통치권 밖에 있었던 제주 섬과 섬 사람의 경험과 기억이 켜켜이 쌓이면서 갖추어 가고 있는 힘이다. 완결된 것이 아니라 지금도 그렇게 쌓여 가고 있는 것이다.
목차
서문: “여기(Hic)”의 두께, 난민 경험과 기억 톺아보기 7
삼국 간 전쟁포로 난민의 동향과 그 의미 ▣ 장창은 15
Ⅰ. 머리말 15
Ⅱ. 『삼국사기』 전쟁포로 기록의 讀法 17
Ⅲ. 전쟁포로의 시기별 발생 규모 21
Ⅳ. 삼국 간 전쟁포로 동향의 의미 30
Ⅴ. 맺음말 39
대몽항쟁기 전쟁난민과 피난처 ▣ 전영준 43
Ⅰ. 머리말 43
Ⅱ. 무신정권의 강화천도와 山城 및 海島入保 전략 44
Ⅲ. 서남해안 漕運路의 주요 해도입보처 53
Ⅳ. 삼별초 난민의 남행지, 제주도와 류큐 60
Ⅴ. 맺음말 65
조선 성종-중종 대 제주도 출륙 포작인 정책과 난민적 성격 고찰▣ 양정필 67
Ⅰ. 머리말 67
Ⅱ. 성종 대 포작인 정책과 그 특징 71
Ⅲ. 중종 대 포작인 활용 정책과 그 한계 84
Ⅳ. 맺음말 94
구한말 독일인 Moellendorff(穆麟德)의 조선 이미지 ▣ 박재영 97
Ⅰ. 머리말 97
Ⅱ. 출생과 중국에서의 활동 99
Ⅲ. 조선에서의 활동 101
Ⅳ. 묄렌도르프(Moellendorff)의 조선 이미지 107
Ⅴ. 맺음말 124
영연방 점령군(BCOF) 사료를 통해 본 제주 사람들의 밀항과 4・3 경험▣ 고성만 127
Ⅰ. 머리말 127
Ⅱ. ‘불법입국자들의 활동 (Activities of Illegal Entrants)’ 분석 130
Ⅲ. 조각 맞추기 137
Ⅳ. KIN Gen-chin 찾기 141
Ⅴ. 맺음말: 행방불명 이후의 행방 146
예멘 난민의 입도와 제주도민의 난민인식 ▣ 전영준・김준표 149
Ⅰ. 머리말: 예멘 난민의 입도 149
Ⅱ. 연구 방법 152
Ⅲ. 제주도민의 난민 인식 156
Ⅳ. 맺음말 172
환대 공동체에서 제외된 장소상실의 존재-제주소설의 4・3 난민 형상화 방식- ▣ 김동윤 175
Ⅰ. 그들은 그저 살기 위해 도망간 것일까 175
Ⅱ. 공모된 침묵과 기억의 자살: 오성찬의 「잃어버린 고향」 177
Ⅲ. 선명한 낙인과 책임의 전가: 현길언의 「귀향」・「먼 훗날」 181
Ⅳ. 기피와 차단이 배태한 광기: 고시홍의 「도마칼」 188
Ⅴ. 여전한 자기검열과 머나먼 환대 공동체 192
Ⅵ. 그들이 공동체로 복귀되는 그날을 기대하며 198
빅데이터로 본 제주 예멘 난민 ▣ 강진구・이기성 201
Ⅰ. 머리말: ‘지금-여기’의 문제가 된 제주 예멘 난민 201
Ⅱ. 빅테이터로 본 예멘 난민 207
Ⅲ. 텍스트마이닝 분석 결과 215
Ⅳ. 맺음말: 난민 문제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기대하며 227
주 석 229
초출일람 265
참고문헌 267
찾아보기 282
필자소개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