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문학과지성 시인선 540
밤의 팔레트: 강혜빈 시집
- 저자/역자
- 강혜빈 지음
- 펴낸곳
- 문학과지성사
- 발행년도
- 2020
- 형태사항
- 194p.; 21cm
- 총서사항
- 문학과지성 시인선; 540
- ISBN
- 9788932036151
- 분류기호
- 한국십진분류법->811.6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5968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JG0000005968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내가 너의 용기가 될게”
내가 나인 것을 증명하지 않아도 될 때까지
곁에서 기꺼이 함께 흔들리는 시
2016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한 강혜빈의 첫 시집 『밤의 팔레트』가 출간되었다. “블루라고 말해야 할 것 같은 어떤 시절의 기분과 세계”(박상수)에서 출발한 이 시집은 시인의 삶 전체를 기록한 세심한 수기이자 또렷한 선언 혹은 무수한 고백이다.
『밤의 팔레트』에는 다른 정체성으로 인해 자신의 존재에 이물감을 품어온 한 사람의 혼란과 우울이 담겨 있다. 아프지만 아픔에서 멈추지 않고 슬프지만 슬픔에서 벗어나 끝내 스스로를 사랑하려 애쓰는 강혜빈의 시들은, 살아남은 자의 기록이 되어 ‘나’를 닮은 누군가에게 “울 권리”와 “힘껏 사랑”함을 전해주려 한다.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커다란 구름을 만들고, 희미한 빛들이 모여 어둠을 밝게 비추듯, 가까이 들여다보면 스펙트럼으로 읽히는 무지갯빛 진심이 당신에게 가닿아 용기가 되길 바란다.
이 세계에 ‘나 혼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와 같은 ‘우리’가 이렇게 많이 존재하고, 그 안에서 소속감과 연결감을 확인할 수 있는 가슴 뛰는 체험. 나는 강혜빈의 첫 시집이 많은 사람을 불러 모아 서로를 연결하고 용기를 나눠 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슬픔과 우울, 자기 정체성의 부인과 인정 사이에서 고투하던 한 인간이 죽음에서 사랑으로 건너오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이력을 시를 통해 기록하고 발산하고 끝까지 ‘파란 피’를 지켜내었다는 것에 감사를 전하고 싶다. 이 ‘파란 피’는 다른 정체성의 표지이면서, 슬픔의 이름이기도 했지만 이제는 시를 쓰고 여전히 이곳의 삶을 살아가는 한 예술가의 유일무이한 상징이다. 박상수(시인, 문학평론가)
블루의 세계
―“있잖아, 보통이란 뭘까”
언제나 솔직한 일기를 썼으나 언제나 빼앗겼다.
선생님은 빨간 펜을 들었고 모르는 친구들이 일기장을 돌려 읽었다.
그런 기분으로 시를 썼다.
―2016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수상 소감에서
내가 나인 게 어떻게 쉬울 수 있죠?
―「무지개가 나타났다」에서
색감이 풍부한 시집 『밤의 팔레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색 ‘블루’는 정체성의 상징이며 화자와 공존하게 된 우울을 의미하는 듯하다. 유년 시절, 남과 다른 제 정체성을 맞닥뜨린 화자는 스스로에 대해 “눈알이 파랗게 바래”고 속으로 울면서 “비밀을 키우는” 토끼가 되어버렸다고 적는다. 빨간 눈의 여느 토끼, 빨간 피가 흐르는 보통 사람인 척 자신을 감춰도 보지만 나에게 ‘파란 피’가 흐른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내가 잘 알고 있다. 사람들은 파란 나에게 자주 “빨간 펜”을 들이댔고 작은 악의를 쉽게 던졌다(“내 컵을 쓰기 전에 혈액형을 알려줄래?”, 「커밍아웃」). “나의 기형은 내가 나인 것”(「그림자 릴레이」)에서 비롯되었으니,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아주 옅은 방식으로 숨을 쉬”(「몇 시의 샴」)었다. 누구도 ‘날짜가 지난 물컹한 토마토’ 같은 “축축한 비밀”을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알려주지 않아서(「커밍아웃」), 혼자 “오랫동안/찢어진 마음에 골몰”(「미니멀리스트」)할 수밖에 없었다. 감추지도 드러내지도 못한 채 “옥상에서 떨어지기 직전”(「시인의 말」)이 되어서야 겨우 “나는 내가 되고 싶어”(「몇 시의 샴」)졌다. 1부와 2부에 걸쳐 세심하게 펼쳐져 있는 자신을 죽이는 방식에서 사랑하는 방식으로의 전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옷장에서 알록달록한 비밀”(「커밍아웃」)이 흘러나온다. 그리고 숨기고 싶었던, 나를 나로 만드는 그 색깔과 물기를 무기로 삼아 시인은 다른 싸움을 시작한다.
아이의 싸움
―“언니, 이 도시는 추한 표정을 숨기고 있어”
건강해지기 위해 굳어가는 것들은 아무래도 지겹습니다
―「등헤엄」에서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순간적인 상태가 아닌 지속적인 삶으로서 이 다름을 껴안으며 살아가는 것. 내가 나라는 (너무나 당연한)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이 싸움의 상대는 강혜빈의 시에서 “덩어리”로 불리는 주류-다수다. “자기가 싼 말을 치우지 않고” “그냥 서로가 서로를 복사”하며 “그냥 서로가 서로를 오려주는 손가락”으로(「꽃을 든 사람의 표정이 무엇인가 잘못되었다」) “악의 없는 악”(「흰 나무는 흰 나무다」)을 쏘아대는 존재들. 이미 딱딱하게 굳어버려 다른 사람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는 자들. “누구나 어릴 적이 있었고/다 옛날 일”(「벤다이어그램」)이라고 말하며 쉽게 ‘누구나’ ‘다’에 함몰되기를 자처하는 무표정한 어른의 얼굴. 강혜빈 시의 화자가 아이 같다는 인상을 자주 받게 되는 이유는 시인이 이 ‘덩어리’가 되는 일을 경계하며 덩어리에 저항하고 있어서가 아닐까. 주류-다수에 맞서기 위해서는 동료가 필요하다. “같아 보이지만 서로 다르고, 다르지만 하나의 무지개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우리”(박상수) 말이다. 아이는 천진하기 때문에 강하다. 유연하기 때문에 뒤섞여 ‘우리’가 될 수 있다. 흔히 부정적으로 쓰이는 “물컹”하고 “축축”하다는 표현은, 강혜빈의 시에서 섞일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재해석된다. ‘물컹한 표정의 토마토’가 지닌 ‘축축한 비밀’은 그렇게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
우리들은 조금도 겹쳐지지 않습니다. 무지개의 꿍꿍이를 눈치챘나요? 촉촉한 물방울들이 문 틈새로 탈출합니다 언제 어디서 다른 색깔의 울음이 발견될지 모릅니다
―「괄호 속에 몸을 집어넣고 옅어지는 발가락을 만지는 중입니다」에서
사랑의 미래
―“눈부신 여름 안에서/다만 조용한 사랑이 지속되었다”
잘 봐//그것이 우리가 사랑하는 방식
―「몇 시의 샴」에서
한 걸음 더 내딛어본다. “인사를 건네려고 펼친 손가락이 욕이 되는 곳에서//나 같은 사람이 둥글게 모여 있는 곳으로”(「거울의 시니피에」) 가기 위해서. 똑같아 보이지만 모두 다른 물방울이 닿으면 햇빛의 백색광에 숨어 있던 빛들이 제 색을 띠듯이, ‘나’와 닮은 얼굴들에 표정을 더해주기 위해 강혜빈은 차이를 짚어내 개성을 부여한다. 이 시집의 해설을 맡은 박상수는 그것을 “구분하면서 뒤섞기”라고 일컫는다. 비슷해 보이는 것들이 세세히 구별되거나 전혀 반대의 것들이 뒤섞이는 이런 방식은 주류(덩어리)가 “자신에게 강제한 부정적 규정을 용도 변경해내려는 의지”에서 시작된 저항 방법일 것이다. 시인은 애달프고 절절하게 삶과 죽음, 사랑을 말하면서 ‘우리’를 위해 싸운다.
3부에서는 그 지난한 싸움의 끝에 도달하려는 곳이 드러나 있다. “한 사람은 한 사람의 곁에서/잠들고 싶답니다 그뿐이랍니다”. 사랑에 허락을 구할 필요가 없고(“우리는/사랑합니다 사랑해도,/괜찮지요 사랑해도/괜찮아요?”, 「무지개 판화」) “내가 나를 증명하지 않아도 될 때”(「미니멀리스트」)까지 강혜빈은 “당연한 것에 질문을 던지는 일. 사람을 생각하는 일. 곁을 바라보는 일”(수상 소감)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내가 나인 것을 증명하지 않아도 될 때까지
곁에서 기꺼이 함께 흔들리는 시
2016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한 강혜빈의 첫 시집 『밤의 팔레트』가 출간되었다. “블루라고 말해야 할 것 같은 어떤 시절의 기분과 세계”(박상수)에서 출발한 이 시집은 시인의 삶 전체를 기록한 세심한 수기이자 또렷한 선언 혹은 무수한 고백이다.
『밤의 팔레트』에는 다른 정체성으로 인해 자신의 존재에 이물감을 품어온 한 사람의 혼란과 우울이 담겨 있다. 아프지만 아픔에서 멈추지 않고 슬프지만 슬픔에서 벗어나 끝내 스스로를 사랑하려 애쓰는 강혜빈의 시들은, 살아남은 자의 기록이 되어 ‘나’를 닮은 누군가에게 “울 권리”와 “힘껏 사랑”함을 전해주려 한다.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커다란 구름을 만들고, 희미한 빛들이 모여 어둠을 밝게 비추듯, 가까이 들여다보면 스펙트럼으로 읽히는 무지갯빛 진심이 당신에게 가닿아 용기가 되길 바란다.
이 세계에 ‘나 혼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와 같은 ‘우리’가 이렇게 많이 존재하고, 그 안에서 소속감과 연결감을 확인할 수 있는 가슴 뛰는 체험. 나는 강혜빈의 첫 시집이 많은 사람을 불러 모아 서로를 연결하고 용기를 나눠 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슬픔과 우울, 자기 정체성의 부인과 인정 사이에서 고투하던 한 인간이 죽음에서 사랑으로 건너오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이력을 시를 통해 기록하고 발산하고 끝까지 ‘파란 피’를 지켜내었다는 것에 감사를 전하고 싶다. 이 ‘파란 피’는 다른 정체성의 표지이면서, 슬픔의 이름이기도 했지만 이제는 시를 쓰고 여전히 이곳의 삶을 살아가는 한 예술가의 유일무이한 상징이다. 박상수(시인, 문학평론가)
블루의 세계
―“있잖아, 보통이란 뭘까”
언제나 솔직한 일기를 썼으나 언제나 빼앗겼다.
선생님은 빨간 펜을 들었고 모르는 친구들이 일기장을 돌려 읽었다.
그런 기분으로 시를 썼다.
―2016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수상 소감에서
내가 나인 게 어떻게 쉬울 수 있죠?
―「무지개가 나타났다」에서
색감이 풍부한 시집 『밤의 팔레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색 ‘블루’는 정체성의 상징이며 화자와 공존하게 된 우울을 의미하는 듯하다. 유년 시절, 남과 다른 제 정체성을 맞닥뜨린 화자는 스스로에 대해 “눈알이 파랗게 바래”고 속으로 울면서 “비밀을 키우는” 토끼가 되어버렸다고 적는다. 빨간 눈의 여느 토끼, 빨간 피가 흐르는 보통 사람인 척 자신을 감춰도 보지만 나에게 ‘파란 피’가 흐른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내가 잘 알고 있다. 사람들은 파란 나에게 자주 “빨간 펜”을 들이댔고 작은 악의를 쉽게 던졌다(“내 컵을 쓰기 전에 혈액형을 알려줄래?”, 「커밍아웃」). “나의 기형은 내가 나인 것”(「그림자 릴레이」)에서 비롯되었으니,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아주 옅은 방식으로 숨을 쉬”(「몇 시의 샴」)었다. 누구도 ‘날짜가 지난 물컹한 토마토’ 같은 “축축한 비밀”을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알려주지 않아서(「커밍아웃」), 혼자 “오랫동안/찢어진 마음에 골몰”(「미니멀리스트」)할 수밖에 없었다. 감추지도 드러내지도 못한 채 “옥상에서 떨어지기 직전”(「시인의 말」)이 되어서야 겨우 “나는 내가 되고 싶어”(「몇 시의 샴」)졌다. 1부와 2부에 걸쳐 세심하게 펼쳐져 있는 자신을 죽이는 방식에서 사랑하는 방식으로의 전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옷장에서 알록달록한 비밀”(「커밍아웃」)이 흘러나온다. 그리고 숨기고 싶었던, 나를 나로 만드는 그 색깔과 물기를 무기로 삼아 시인은 다른 싸움을 시작한다.
아이의 싸움
―“언니, 이 도시는 추한 표정을 숨기고 있어”
건강해지기 위해 굳어가는 것들은 아무래도 지겹습니다
―「등헤엄」에서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순간적인 상태가 아닌 지속적인 삶으로서 이 다름을 껴안으며 살아가는 것. 내가 나라는 (너무나 당연한)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이 싸움의 상대는 강혜빈의 시에서 “덩어리”로 불리는 주류-다수다. “자기가 싼 말을 치우지 않고” “그냥 서로가 서로를 복사”하며 “그냥 서로가 서로를 오려주는 손가락”으로(「꽃을 든 사람의 표정이 무엇인가 잘못되었다」) “악의 없는 악”(「흰 나무는 흰 나무다」)을 쏘아대는 존재들. 이미 딱딱하게 굳어버려 다른 사람의 말을 들으려 하지 않는 자들. “누구나 어릴 적이 있었고/다 옛날 일”(「벤다이어그램」)이라고 말하며 쉽게 ‘누구나’ ‘다’에 함몰되기를 자처하는 무표정한 어른의 얼굴. 강혜빈 시의 화자가 아이 같다는 인상을 자주 받게 되는 이유는 시인이 이 ‘덩어리’가 되는 일을 경계하며 덩어리에 저항하고 있어서가 아닐까. 주류-다수에 맞서기 위해서는 동료가 필요하다. “같아 보이지만 서로 다르고, 다르지만 하나의 무지개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우리”(박상수) 말이다. 아이는 천진하기 때문에 강하다. 유연하기 때문에 뒤섞여 ‘우리’가 될 수 있다. 흔히 부정적으로 쓰이는 “물컹”하고 “축축”하다는 표현은, 강혜빈의 시에서 섞일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재해석된다. ‘물컹한 표정의 토마토’가 지닌 ‘축축한 비밀’은 그렇게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
우리들은 조금도 겹쳐지지 않습니다. 무지개의 꿍꿍이를 눈치챘나요? 촉촉한 물방울들이 문 틈새로 탈출합니다 언제 어디서 다른 색깔의 울음이 발견될지 모릅니다
―「괄호 속에 몸을 집어넣고 옅어지는 발가락을 만지는 중입니다」에서
사랑의 미래
―“눈부신 여름 안에서/다만 조용한 사랑이 지속되었다”
잘 봐//그것이 우리가 사랑하는 방식
―「몇 시의 샴」에서
한 걸음 더 내딛어본다. “인사를 건네려고 펼친 손가락이 욕이 되는 곳에서//나 같은 사람이 둥글게 모여 있는 곳으로”(「거울의 시니피에」) 가기 위해서. 똑같아 보이지만 모두 다른 물방울이 닿으면 햇빛의 백색광에 숨어 있던 빛들이 제 색을 띠듯이, ‘나’와 닮은 얼굴들에 표정을 더해주기 위해 강혜빈은 차이를 짚어내 개성을 부여한다. 이 시집의 해설을 맡은 박상수는 그것을 “구분하면서 뒤섞기”라고 일컫는다. 비슷해 보이는 것들이 세세히 구별되거나 전혀 반대의 것들이 뒤섞이는 이런 방식은 주류(덩어리)가 “자신에게 강제한 부정적 규정을 용도 변경해내려는 의지”에서 시작된 저항 방법일 것이다. 시인은 애달프고 절절하게 삶과 죽음, 사랑을 말하면서 ‘우리’를 위해 싸운다.
3부에서는 그 지난한 싸움의 끝에 도달하려는 곳이 드러나 있다. “한 사람은 한 사람의 곁에서/잠들고 싶답니다 그뿐이랍니다”. 사랑에 허락을 구할 필요가 없고(“우리는/사랑합니다 사랑해도,/괜찮지요 사랑해도/괜찮아요?”, 「무지개 판화」) “내가 나를 증명하지 않아도 될 때”(「미니멀리스트」)까지 강혜빈은 “당연한 것에 질문을 던지는 일. 사람을 생각하는 일. 곁을 바라보는 일”(수상 소감)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목차
시인의 말
1부
드라이아이스
커밍아웃
너는 네, 대신 비, 라고 대답한다
이름 없음
필름 속에 빛이 흐르게 두는 건 누구의 짓일까
언더그라운드
감정의 꼬리
여기 너 말고 누가 더 있니
미니멀리스트
라넌큘러스
꽃을 든 사람의 표정이 무엇인가 잘못되었다
흰 나무는 흰 나무다
dimanche
마녀는 있지
일곱 베일의 숲
네온 웨하스
Bonne nuit
108개의 치치
2부
열두 살이 모르는 입꼬리
뱀의 날씨
ghost
괄호 속에 몸을 집어넣고 옅어지는 발가락을 만지는 중입니다
그림자 릴레이
팬지의 섬
하얀 잠
바깥의 사과
가려운 일요일
물고기아파트
엄마와 캉캉을
가만히 얼음칸
나, 마사코는 생각합니다
언덕 위의 목폴라 소녀들
등헤엄
돌아오려면 어디서부터 잘못된 이야기
벤다이어그램
셀로판의 기분
밤의 팔레트
3부
거울의 시니피에
몇 시의 샴
무지개 판화
타원에 가까운
워터라이팅
언니의 잠
오모homo를 발음하면 옹on이 되는
홀로그램
요절한 여름에게
빙하의 다음
핑퐁 도어
닮은 사람
결과적인 검정
매그놀리아
여름 서정
무지개가 나타났다
해설
웃음소리는 먼 미래까지 전해진다 - 박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