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

제주 생태관광

저자/역자
박정환 지음
발행년도
2020
형태사항
202p.; 23cm
ISBN
979118920317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589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89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관광자원의 탕진과 지속 가능한 성장 발전

모든 자원의 운명은 인간이 그것을 탕진(蕩盡)하느냐, 지속 가능한 상태로 보존(保存)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의 결과를 나타낸다. 관광자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런 점에서 생태관광은 지속 가능성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일상의 여행은 차, 밥, 잠으로 이루어진다. 여행에서 ‘맛집’에 대한 경험은 그 지역의 물과 공기, 역사와 전통을 내 영혼과 정신세계로 끌어들이려는 인간의 본능을 발견하는 행위이며, 그렇기 때문에 특별한 ‘맛집’은 시각으로만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미각 중심의 공감각(共感覺)으로 기억된다. 생태관광의 여정은 일상의 여행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마음의 서정시와 자연의 서사시를 동시에 감상하는 일이다. 생태관광의 감성에 의해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가 특별한 스토리로 다시 태어나기도 한다.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바탕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장밋빛 미래의 그림도 그려낼 수 있다. 생태관광의 여행자는 자연생태의 무한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여행은 음이온의 농도가 좋은 곳으로 찾아가는 일이기 때문에 건강에 좋다고 한다. 건강에 유익한 음이온의 공간은 숲, 계곡, 폭포, 해변 등, 지구상의 모든 생명이 순환되고 탄생되는 친수(親水) 공간이다. 따라서 생태관광은 일상의 여행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여정으로 지속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된다고 하겠다.

생태관광을 위한 제주의 다양한 자산들

제주문화예술재단은 2007년 12월 자연생태 분야 23개, 역사 분야 24개, 사회 및 생활 분야 28개, 신앙·언어·예술 분야 24개 등 99개의 제주 생태관광 상징물 후보를 선정한 바 있다. 제주 생태관광의 자산은 여전히 이 범주를 벗어나지 않을 터이고, 다만 어떤 정책 또는 전략으로 이러한 자산들을 지속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생태관광의 자원으로 활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 과제라고 하겠다. 23개의 자연생태 분야 상징물은 한라산, 오름, 용암동굴, 돌담, 곶자왈, 제주마(馬), 제주한란, 마라도, 바람, 성산일출봉, 왕벚꽃나무, 내창, 용두암, 용천수와 봉천수, 아흔아홉골, 영주십경, 해안일주도로, 검은 도새기, 제주 개, 검은쉐[흑우(黑牛)], 제주 토종닭, 산방산, 폭낭(팽나무) 등이다. 24개의 역사 분야 상징물은 삼성혈, 고산리 신석기 유적, 제주목 관아, 관덕정, 항파두리 항몽 유적지, 환해장성, 원당사지 5층 석탑, 제주 4.3, 유배의 땅, 하멜의 표류, 김만덕, 봉수와 연대, 오현단, 제주도식 고인돌, 호적중초, 삼양동 선사유적, 잣성, 진지동굴, 출륙금지령, 법화사지, 고득종, 읍성과 진성, 탐라, 사람발자국화석 등이다. 28개의 서회 및 생활 분야 상징물은 해녀, 원(垣), 테우, 이어도, 갈옷, 허벅, 정낭(정주목), 제주초가, 테우리, 귤, 말총공예, 빙떡, 자리회, 소금빌레, 수눌음, 돗통시, 정당벌립, 오메기술·고소리술, ???방애, 애기구덕, 모둠벌초, 입도조, 궨당과 삼춘, ???국, 개맡(포구), 종지윷, 고팡물림, 번쉐와 멤쉐 등이다. 24개의 신앙·언어·예술 분야 상징물은 신구간, 제주굿, 방사탑, 칠머리당 영등굿, 제주어, 걸궁, 탐라순력도, 내왓당무신도, 추사와 세한도, 제주민요, 설문대할망, 돌하르방, 동자석, 동서자복, 당, 포제, 심방, 입춘굿, 영감놀이, 자청비, 본풀이, 한라산신, 삼승할망, 넋들임 등이다.

생태환경과 인문학의 행복한 만남

책은 한계를 넘어 새로운 상상력을 키움으로써 마음의 폭과 생각의 깊이가 더해진 삶을 재발견하고, 잠재된 인간의 능력을 키워가는 에너지라고 생각한다. 생태환경의 모든 창은 자연의 숲을 만나면 공간 인문학, 사물을 만나면 곡선 인문학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는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감동을 줄 수 있는 감성과 영혼의 틀을 창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욕심을 부려보았다. 저자의 열렬한 바람은 단지 책을 출간하는 일뿐만 아니라 독자와의 행복한 교감이 이루어지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끝까지 책을 읽고 고개를 끄덕거리며 지인들에게 소개하는 책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생태관광의 개념과 범주
생태관광이란 무엇인가?
관광의 종류
농촌관광과 노스탤지어(산업)관광
메디컬 투어리즘
레저스포츠 관광
생태관광의 사례와 범주
생태관광과 제주도 살이

제2장 제주의 생태관광 자원
문화종의 다양성과 문화상징
제주의 상징물 99개 재조명
자연생태 분야 23
역사 분야 24
사회 및 생활 분야 28
신앙·언어·예술 분야 24
제주 생태관광 자원
자연분야 상징물
한라산/ 돌담/ 오름
역사분야 상징물
제주 4.3
사회생활분야 상징물
해녀/ 갈옷/ 초가집/ 감귤
신앙·언어·예술 분야 상징물
제주 굿/ 제주어
섬 속의 섬
제주의 숲

제3장 제주 생태관광의 활성화
농촌마을 수입원 만들기 “예”
마을단위 토속음식 개발
농사·낚시·해녀·곤충 체험/ 관람장 조성
생태환경 해설사 분야별 육성
참여관광과 소득증대

제4장 생태관광 성공요소 분석
그린투어 생태관광 자원 분석
생태관광과 스토리텔링
생태관광 문제점 원탁토론
제주지역 숙박과 쇼핑산업 취약
세대별 관광수요 예측 및 분석
복지관광 상품과 아이디어 개발

제5장 생태관광 발전전략
생태관광산업의 경제파급 효과
생태관광 상품개발은 주민참여
농·산·어촌과 도농 교류의 체계화
도농 교류 프로그램 해설자 육성
농촌관광 투자전략
관광도입 시설의 농업적 요소
농촌관광을 통한 수입원
운영주체
농촌관광의 추진 절차
사업화 전략

제6장 도농 교류의 사회적 가치 실현
도농 교류의 가치
농촌자원의 공공재 가치실현
생태관광의 매력과 자원의 재활용
생태관광활동 공간 확대
식물공장 체험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