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

(안도현) 잡문

저자/역자
안도현 지음
발행년도
2015
형태사항
244p.; 20cm
ISBN
979118676100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3713-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3713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세상의 중심에서 이탈한
모든 별똥별들에게 바친다!

시의 중심에서 일탈한 시인 안도현
시와 산문 사이에서 방황하고 긴장한 흔적들을 모아
《잡문》이라는 문패를 내걸다!


안도현은 가까운 곳을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가까운 데서 꽃이 피고 아이가 자라고, 가까운 데서 새들이 돌아오고 날이 저무니,
멀고 그리운 것들은 다들 가까이 있었구나.
-김훈(소설가)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분다
바람이 좋아서 나는 시를 쓰지 않아도 시인이다!”


“현실을 타개해 나갈 능력이 없는 시, 나 하나도 감동시키지 못하는 시를 오래 붙들고 앉아 있는 것이 괴롭다”며 절필을 선언한 시인 안도현! 시와 산문의 마음 사이에서 방황하고 긴장한 흔적들을 모아 《안도현 잡문》이라는 문패를 내걸었다.

시를 쓰지 않아도, 시를 오래 바라볼 것이다
시인은 시대의 양심이다. 그 양심을 드러내지 않겠다고 선언한다는 것은 시인에게는 고통이다. 지난 대선 당시 발 벗고 나서 지지하던 후보가 낙선하였고, 처음으로 검찰에 기소되어 재판을 받은 후 시를 쓰지 않겠다는 절필을 선언했다. 30년이 넘도록 시인이라는 말을 듣고 살았던 시인의 마음은 어떠했으랴. 시의 중심에서 벗어나 바람소리, 새소리, 사람의 소리를 들으며 시를 버린 그 마음을 위로했다. “세상의 중심에서 이탈한 모든 별똥별들에게 바친다”라며 시를 쓰지 않는 시간 동안 안도현 시인은 새로운 문장으로 시인의 마음을 드러냈다. 그 마음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 스스로 ‘잡문’이라 칭한 이 책이다.
《안도현 잡문》은 3년 동안 트위터에 올린 1만여 개의 글 중에서 골라낸 시인의 마음이다. 시를 쓰지 않고 지내는 떫은 시간에 시를 쓰는 마음으로, 잡스러운 문장으로 어떻게든 세상에 말을 걸어보려고 하는 시인의 마음이 녹아 있다. 하나하나의 글들이 감동이 되고, 244개의 글들이 모여 거대한 시를 이룬다.

“저녁은 안으로 나를 접어 넣어야 하는 시간이다.
나무들이 그렇게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대한 섬세한 발견
“기를 쓰고 시를 읽었는데, 지금은 시나 읽으니 참 좋다. 기를 쓰고 시를 썼는데, 시를 쓰지 않으니까 더 좋다.” 시에서 벗어나 세상의 소리를 더 뜨거운 마음으로 읽어낸 글들은 단 한 줄만으로도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때로는 격정적으로, 때로는 한없이 순수한 마음으로 주변을 살핀다. 그리고 가장 담담한 어조로 말을 건넨다.
“오늘은 천천히 걷다가 양지 바른 곳에 앉아 양말을 벗어봐야지. 내 맨발이 햇볕을 빨아먹다가 마구 키득키득거리겠지. 내가 바라는 나라가 그런 나라인데.” 작은 것들을 살피고, 그 작고 소소한 것들에 감사하며 깊은 삶의 의미를 깨닫는 안도현 시인의 목소리에 우리는 공감하게 될 것이다. 소소하고 아무것도 아닌 것들은 있지만, 소중하지 않은 것들은 없다. 그 작은 것들이 모여 큰 세상을 이루듯이, 안도현 시인의 이 소소한 글들이 모여 큰 울림으로 전해진다. 이 책의 힘은 바로 ‘공감’에 있다. 공감하는 세상, 서로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는 세상 그리고 마음을 열고 서로 소통하자고 은근히 말하는 저자의 목소리에 깊은 감동이 전해진다.

새로운 문장으로 세상을 공감하다
중국의 루쉰은 잡문이라는 형식을 무기 삼아 당대의 현실을 타개해보려고 했다. 잡스러운 문장으로 세상의 부조리에 맞서겠다는 전략이었다. 안도현 저자는 스스로 그러한 호기 넘치는 의도는 없다고 한다. 그저 작가의 머리를 스쳐간 잡념들과 새들을 보고, 산을 보고, 나무들을 보며 하릴 없이 중얼거렸던 그 말들을 전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너는 꽃 피고 새가 울어서 봄이라지만 나는 이유 없이 아프고 가려워서 봄이다”라는 목소리에는 아픔을 견지하고 있는 시인의 마음이 들어앉아 있다. 《안도현 잡문》은 읽는 이의 마음으로 읽어내도 좋다. 시로 읽어도 좋고, 순간 뱉어낸 말들이라고 생각해도 좋고, 산문이라고 생각하며 읽어도 좋다. 문장 하나하나를 읽어가다 보면 지루한 일상을 깨뜨리는 문장에서 위안을 얻고, 진정한 잡문의 힘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 순간의 생각을 막힘없이 써내려간 글을 읽으며 안도현 시인이 바라본 그 순간과 그 풍경을 함께 느끼고 바라보고 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 무엇인가 쓰는 일

1~244의 잡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