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나라 부탄의 지혜: 97퍼센트가 행복하다고 느끼다
- 저자/역자
- 사이토 도시야 / 오하라 미치요 [공]글 , 홍성민 옮김 , 양승규 사진
- 펴낸곳
- 공명
- 발행년도
- 2012
- 형태사항
- 223p.: 20cm
- 원서명
- Wisdom from Butan, the kingdom of happiness
- ISBN
- 9788997870011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북카페 | JG0000003363 | - |
- 등록번호
- JG0000003363
- 상태/반납예정일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북카페
책 소개
― 국가의 최고 운영 철학은 ‘국민의 행복’, 자국민의 행복을 측정하는 정부 기관을 두고 그 결과를 입법화시키는 용감한 나라, 부탄
세상의 모든 나라는 국민의 행복을 위해 존재한다. 그러나, 국민의 행복을 위한 잣대는 지금껏 GNP(국민총생산)나 GDP(국내총생산)라는 부(副)의 개념이 컸다. 그런데, 최근 1인당 국민소득이 4만 달러가 넘는 일본에서는 1인당 국민소득이 천 달러가 조금 넘는 조그만 나라, 부탄에 대한 열풍이 일고 있다.
올 한 해, 일본에서만 출간된 부탄 관련 서적이 20종이 넘고 TV에서는 직접 부탄을 찾아가 ‘행복의 비밀’을 밝히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줄줄이 제작되고 있다. 그들은 왜 부탄에 주목할까? 돈이 많아도, 그다지 행복하지 않은 자신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불리는 부탄 국민들은 97퍼센트가 ‘행복하다’고 하니 ‘세상에 이런 나라도 있구나!’ 놀랄 수밖에 없다. 부탄 국민들이 행복한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국민의 97퍼센트가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을까? 일본만이 아닌, 경쟁과 부를 향해 하루하루를 전쟁처럼 살아가는 ‘한국인의 행복’을 고려해 보았을 때, 부탄은 ‘지상의 마지막 샹그릴라’로 불리는 그 별명만큼이나 우리에겐 별천지로 느껴진다.
―세계는 지금, 미래 국가의 모델로 부탄을 주목한다
부탄은 세계 유일의 기록을 많이 가지고 있다. 유일하게 자신들의 의지로 근대화를 늦추고 있는 별종 국가이자 세상이 모두 GNP나 GDP를 높이는 것을 최고선으로 떠받들었을 때, 그 누구도 정책으로 입안할 수 없을 거라 여긴 막연한 개념 ‘국민 행복’을 통치기준으로 삼고 GNH(Gross National Happiness, 국민총행복) 개념을 만들어 입법화했다. 1976년, 17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른 직메 싱게 왕축(Jigme Singye Wangchuck) 국왕의 의지로 이루어진 일이다. 이후 부탄은 정부산하기관으로 부탄 국민의 행복을 측정하는 부탄연구센터를 두고 자국민의 행복을 연구하여, 부탄인의 행복을 위한 법들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부탄은 세계유일의 금연국가가 되었으며 산업 국가 중 녹지율이 상승하는 유일한 나라가 되었다. 땅 없는 사람에게 국왕이 땅을 나누어주고, 무상교육, 무상의료를 실현하며 노숙자도, 외톨이도, 고아도 없다. 그래서 그들의 ‘행복 정치’를 배우려는 각국 사찰단과 학자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나라가 되었다.
미국 프리스턴대학교 생명윤리학 교수인 피터 싱어 등 많은 학자들이 “국민의 행복을 재는 부탄의 실험이 세계의 궁극적 목표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하며 그들을 지지하고 영국 BBC방송에서는 “부탄이 ‘행복의 정치학’을 유엔의 의제로 만들다”는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유엔을 위시한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일본 등 많은 국가들이 앞다투어 부탄을 모델로 ‘국민 행복’을 입법화할 수 있는 기구 발족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9년 대통령이 ‘민생 5대 지표’ ‘국민행복지수’ 개발을 약속했지만 사실상 무산되었다. 최근 5년, 대한민국 국민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지수는 바닥권을 기록하고 있다.
행복한 나라에서 살고 싶다는 열망으로 부탄의 지혜를 엿보다
《행복한 나라 부탄의 지혜》는 세계에서도 가장 열광적으로 부탄을 분석하고, 배우고 싶어하는 일본인들의 열망이 반영된 책이다. 이 책을 출간한 일본 아스펙트 출판사는 직접 부탄에서 그 행복의 비결을 얻고자 특별 취재반을 구성했다. 이 책에는 그들이 직접 발로 뛰어다니며 알아낸 부탄인의 행복에 대한 비결을 담고, 행복지수에 대한 부탄 전문가들을 직접 취재한 인터뷰를 실었다. 여기에
책을 보고 있자면, 이들의 행복은 우연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이들의 행복에는 ‘진정성’이 묻어 있다. 부탄의 새 헌법에는 국민을 위해 GNH를 반영한 가이드라인을 네 가지로 밝히고 있다.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사회경제 발전, 히말라야 자연환경 보호, 유형·무형문화재의 보호와 추진, 그리고 좋은 통치. 그리고 이에 따라 국민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행복도가 낮아지지는 않은지, 어떨 때 행복한지 등의 자국민을 위한 행복측정 기관을 두고 그 결과치를 다시 정치에 반영한다. 국민들은 특별한 돈이 없어도 무상으로 교육과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특별한 사교육 없이 누구나 영어로 대화가 가능하다. 본문의 길거리 인터뷰에서 보듯, 아이들은 학교 가는 것을 즐거움으로 여기고 “모두가 가족 같기 때문에 저절로 보살펴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이런 학교에 왕따나 경쟁으로 인한 우울증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리에는 노숙자가 없고, 나라에는 고아가 없다. 모두가 서로를 존중하고 돌보아주기 때문이다. 또, 우리에겐 너무도 비싼 유기농 채소를 그들은 매일 먹는다. 첫눈이 오는 날은 무조건 휴일이 되는 거짓말 같은 일상이 존재하는 나라, 부탄. 그들이 가난하다고 하나, 그들 대부분은 자신의 땅을 가지고 있으며 땅이 없는 자들에겐 심사를 거쳐 국왕이 땅을 나누어준다. 부탄 사람들은 한결같이 “부탄에 사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우리도 이런 나라에 살고 싶다’, ‘우리도 이런 가치가 모두의 합의 속에 지켜지는 나라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우리도 “대한민국에서 사는 것이 참 좋다”고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
무엇이 행복인지 알고 있는 행복한 사람들이 사는 나라, 부탄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잘 사는 나라에서 먹고사는 걱정 없이 사는 것? 그리고 열심히 자식들 공부시켜서 출세시키는 것? 남들 사는 만큼은 살아야 한다는 강박증에서 벗어나는 것? 우리가 답할 수 있는 이런저런 답변에 빠진 것이 있다. 이 책에서 부탄연구센터 소장인 카르마 우라는 “인간은 궁극적으로 홀로 행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부탄의 행복에 “서로의 신뢰”가 작용한다고 말한다. “부탄 사람들은 만일 내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주위에서 반드시 도와줄 거라는 강한 믿음이 있다. 자신이 그런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생각은 마음의 의지가 된다. 발전에는 한계가 있고 자신의 생활에 ‘좀더, 좀더’ 하고 욕심을 내면 차츰 주위 사람을 의식하지 않게 되고, 자신만의 만족을 추구하게 된다. 우리는 주위와 교류하며 공동체에 머물러야 한다. 원만한 인간관계야말로 행복의 기반이기 때문이다”(본문 60쪽)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인간의 자유가 세상을 개인주의로 만든다면 그것은 사회 전체를 행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사회의 인간은 궁극적으로 홀로 행복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본문 61쪽)
목차
추천사 | 부탄 사람들은 행복을 알고 있다
프롤로그 | 세계가 이상향으로 삼은 미래 국가, 부탄의 비밀
1장-정치편
강대국을 지향하지 않는다
GNP보다 GNH가 중요하다|근대화를 서두르지 않는다|‘국민의 행복’을 정책화한다|사람들은 전통의상, 건물도 전통건축|외국의 원조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미국 같은 초강국과는 관계를 맺지 않는다|인도와는 백 년 넘게 사이좋게 지낸다|부탄 공무원은 절대 뇌물을 받지 않는다|부탄에서는 누구나 국왕을 만날 수 있다|국왕 스스로 민주주의를 추진했다|[Interview in Bhutan Part1] 직메 부탄 총리에게 듣다|행복의 지혜1|부탄에서 만난 사람들
2장-경제편
부자를 꿈꾸지 않는다
거대한 댐을 만들지 않는다|지하자원을 발굴하지 않는다|삼림 비율은 국토의 60퍼센트를 유지한다|특산물은 수력발전이다|관광객 수를 제한한다|외화를 가져오는 사람보다 밭에서 일하는 사람이 더 소중하다|쓸모없는 것으로 관광 사업을 시작하다|채소는 대부분 무농약이다|부탄 국민은 기근으로 굶주린 적이 없다|수력발전을 해도 송전선이 눈에 띄지 않는다|[Interview in Bhutan Part2]부탄연구센터 카르마 우라 소장에게 듣다|행복의 지혜2|부탄에서 만난 사람들2
3장-사회편
자연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부탄 국민 97퍼센트가 행복하다고 느끼다|교육비는 무료다|병원비도 무료다|수도요금도 무료지만 도시에서는 유료화 되고 있다|부탄은 세계 최초의 금연 국가다|외국인은 사원 안까지 들어갈 수 없다|노숙자가 없다|야생동물을 죽이지 않는다|땅이 없는 사람에게 국왕이 땅을 선물하다|불상을 감상하는 사람은 없다|스님은 사회의 존경을 받는다|불교 이외의 종교도 인정한다|화려한 결혼 피로연은 없다|부탄 어린이는 유창한 영어를 구사한다|부탄력으로 행사를 정한다|첫눈이 내리는 날은 휴일이다|국기는 궁술이다|송이버섯은 인기가 없다|금육의 달이 정해져 있다|살생은 하지 않는다|[Interview in Bhutan Part3]쌍게 잠 교육부 차관에게 듣다|행복의 지혜3|부탄에서 만난 사람들3
4장-생활편
행복해지기 위해 서두르지 않는다
여성이 집안을 잇는다|3대, 4대가 같이 산다|의외로 이혼율이 높다|집안의 장례식 때는 21일간 쉰다|부탄의 남편은 아내에게 잡혀 산다|부탄에는 고아가 없다|일부다처는 인정되지만 재력이 없다면 불가능하다|병에 걸리면 병원보다 절을 찾는다|오락은 부탄 영화 감상이다|이름만으로는 성별을 알 수 없다|신혼부부는 오두막에서 밤을 보낸다|장식을 위해서는 꽃을 꺾지 않는다|[Interview in Bhutan Part4]작가 쿤잔 초덴에게 듣다|행복의 지혜4|부탄에서 만난 사람들4|부탄에서 만난 사람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