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

저자/역자
정주리 / 박영준, 서정곤, 최경봉 지음
펴낸곳
고즈윈
발행년도
2010
형태사항
264p.: 22cm
원서명
우리말이 살아온 모습을 찾아서
ISBN
978899131966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121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121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단군 신화와 삼국시대, 고려·조선 왕조를 거쳐 현대의 영어 열풍에 이르기까지 우리말글은 당대의 역사를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이다. 대학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등 우리말 관련서를 낸 네 명의 국어학자가 모여 스무 가지 주제로 우리말에 얽힌 역사 이야기, 역사에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를 풀어낸다.

언어와 인간의 관계(1장), 시간에 따른 우리말의 변화 과정(2장), 우리말을 가르치고 배운 역사 이야기(3장), 전문어·유행어·이름 등의 변천 양상(4장), 식민지시대·해방·남북 분단·언어 제국주의 등의 현실을 보여주는 우리말의 모습(5장) 등을 주제로 우리말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들려주며, 우리말에 대한 우리의 태도에 경각심을 울리기도 한다.

단군 신화에 등장하는 '곰'과 '고맙습니다'의 관계는? 신라의 김유신과 백제의 계백은 서로 말이 잘 통했을까? 서양의 콜레라를 우리는 왜 '호열자'라고 불렀을까? 등등의 의문을 풀어보면서 책은 우리말에 반영된 원시신앙 토테미즘, 조상들이 우리말 학습을 위해 만든 교재와 연구서, 근대 신문에 나타난 영어 열풍, 무심코 사용하는 언어 속에 나타나는 우리의 무의식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
목차

1장 삶 속에 살아 숨 쉬는 말
1. 언어 속의 문화, 문화 속의 언어_언어와 문화의 관계
2. ‘고맙습니다’는 ‘곰’에서 나왔는가_언어와 토테미즘
3. 말에는 신비한 기운이 있다네!_언어의 주술성
4. 접근금지 X_언어와 금기

2장 변하고 사라지는 말
5. 김유신과 계백은 말이 통했을까?_지역과 시간에 따른 언어 변화
6. 명칭이 어떻게 변하니?_언어 변화의 양상
7. 들온 말이 있으면, 나간 말이 있다_언어 접촉과 언어 변화
8.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_바람처럼 사라진 말

3장 말을 배우고 가르치고
9. 옛날에도 국어책이 있었을까?_선조들의 우리말 학습 교재
10. 옛날에는 외국어 공부를 어떻게 했을까?_외국어 교육과 역관
11. 마음을 담고 사랑을 담고_옛글에 나타난 한글
12. 우리말을 연구한 주시경의 선배들_근대 이전의 우리말 연구

4장 문화를 비추는 말
13. 우리말 속의 우리 생각 들여다보기_언어와 사고
14. ‘괴질’과 ‘콜레라’_전문어와 말다듬기
15. 어??리??_식민지 시대의 영어 열풍
16. ‘맛둥’에서 ‘김C’까지_이름에 반영된 사회상

5장 역사의 산 증인, 말
17. 말도 변하고 맛도 변하고_식민지 시대의 글과 삶
18. 한글 파동은 끝났는가_언어 정책과 언중
19. ‘뽀뽀뽀’와 ‘우리아빠 제일 좋아’_분단시대의 언어
20. 언어 간에 일어나는 치열한 권력 다툼_언어 권력과 언중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