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

A: 하성란 장편소설

저자/역자
하성란 지음
발행년도
2010
형태사항
282p.; 21cm
ISBN
978895707517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0080-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0080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정밀한 묘사로 정평이 나 있는 작가 하성란의 신작 장편 『A』
1987년 8월 29일 경기도 용인시 남사면에 있는 오대양(주)의 공예품 공장 식당 천장에서 오대양 대표 박순자와 가족 · 종업원 등 신도 32명이 손이 묶이거나 목에 끈이 감긴 채 시체로 발견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이 발생했을 때에는 집단 자살의 원인이나 자세한 경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은 채 수사가 마무리되었다. 그러다가 1991년 오대양 종교집단의 신도 몇 명이 경찰에 자수하면서 사건의 의문점들이 얼마간 밝혀지는 듯 보였으나 결국 여러 가지 논의만 무성했을 뿐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집중된 관심과 기대 속에서 계간 『자음과모음』에 2008년 가을호부터 2010년 봄호까지 연재된 『A』는 이 전대미문의 참사인 ‘오대양 사건’을 모티프 삼아 쓰여진 소설이다. 실제로 『A』는 한 시멘트 공장 기숙사에서 24명(여자 21명, 남자 3명)의 사람들이 한날한시에 (자의에 의한 타살로) 사망한 사건을 중심에 놓고 있다. 또한 ‘오대양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처럼 소설 속에서도 이 사건은 전모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채 의문과 추측만을 남기고 마무리된다. 이 소설은 바로 그 미궁에 빠진 사건의 진짜 이유들이 하나씩 드러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물론 등장인물과 그들의 사연은 모두 작가의 상상에서 탄생된 허구다.
그럼에도 그 이야기들이 모두 진짜처럼 느껴지는 건, 하성란 작가 특유의 치밀한 구성과 섬세한 묘사 때문일 것이다. 등장인물도 많은 데다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얽히고설킨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터라 자칫 복잡해질 수도 있는 이야기이지만, 작가는 단 한 치의 오류나 불필요한 설명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탄탄한 플롯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고, 그 덕에 소설은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속도감과 긴장감을 철저히 유지한다.

멈출 수 없는 미로 같은 이야기, 가슴 서늘한 진실을 보여주다!
서울에서는 공예 공장을, 한 시골 마을에서는 시멘트 공장을 운영하며 단기간에 급성장한 ‘신신양회’. 시멘트 공장에는 오랜 세월 함께 일하고 살아온 여덟 명의 여자가 있다. 신신양회를 만든 장본인이자 사장인 여자와 그녀를 ‘어머니’라고 부르며 자매처럼 지내는 일곱 명의 여자. 밝고 유쾌하며 당당한 그녀들은 미혼인 채로 아이를 낳아 키우며 공장 기숙사에서 공동체 생활을 한다. 하지만 그녀들은 어느 날 또 다른 공장 직원들과 함께 모두 교살된다. 하지만 그들의 시신에는 저항의 흔적이 없다. 이는 그녀들이 죽음을 순순히 받아들였다는 뜻. 바람처럼 자유롭고 공기처럼 가벼워 보였던 그녀들이 왜 그러한 극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을까?
이 참혹한 사건의 진실은, 그들의 자녀들이 사건 이후 3년 뒤 재회하여 다시 예전의 공동체 생활을 꾸리고 신신양회를 재건하면서 하나씩 밝혀지기 시작한다. 정확히는 사건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 중 유일한 생존자인 ‘나’의 기억을 통해, 그리고 신신양회 사건의 진실을 조사하던 신문기자 최영주를 통해서다. 신신양회가 번창하면서 공동체가 점차 변질되어가는 과정을 보며 ‘나’는 예전의 신신양회가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해갔던 때의 일을 떠올린다. 예전의 신신양회가 어떻게 해서 그렇게 단기간에 성공할 수 있었고 어쩌다가 궁지에 몰리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무슨 수단을 동원했는지가 드러난다.
그 진실을 향해 깊숙이 들어갈수록 독자는 그들의 죽음과 그들의 비밀이 단지 그들만의 사연만으로 이루어진 게 아님을 알게 된다. 그것은 물질적 풍요를 향해 끝없이 질주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이야기이며, 그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 우리 중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탐욕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독자는 어느 순간 묻게 된다. 우리는 지금 어떤 시대를 살고 있는가. 우리는 어디를 향해 미친 듯이 달려가고 있는가. 작가는 소설 속 인물들이, 그리고 소설 밖 우리들이 벼랑 끝에 서 있음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주홍 글자 A
‘신신양회의 아이들‘이 재회하여 공동체 생활을 되찾은 뒤 맨 처음 한 일은 건강하고 현명하며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남자들을 골라 (발신인란에 주홍 글자 A를 인쇄해서) 편지를 보내는 것이었다. 대부분은 편지를 뜯어보지도 않은 채 버리지만 간혹 내용을 확인하는 이들도 있다. 편지를 보지 않더라도 그들은 그들이 선택한 남자에게 접근하여 가까워진 뒤 관계를 맺고 임신하고는 사라진다. 그들의 엄마들이 결혼하지 않은 채 아이를 낳아 함께 키우며 마음에 맞는 남자를 만날 때면 자유로이 사랑을 나눈 것처럼, 그들 역시 (약간 다른 형태이긴 하지만) 임신을 하고 가정을 이루는 데 ’남편‘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남편으로서의 남자가 아닌, 사랑을 나눌 수 있는 남자가 필요한 것이다. 제도 밖의 관계. 오로지 여자와 남자로서 만나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관계. 그리고 자신에게 건강하고 현명하고 강한 아이를 낳게 해줄 남자가 필요한 것이다. 그것이 바로 그들이 꿈꾸는 사랑과 가족, 공동체다.
하지만 그들의 꿈은 결국 결실을 맺지 못한다. 하나는 남편 없이 아이를 낳아 함께 키우며 사는 여자들을 이상하게 여기고 적대시하는 편견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끝내 소박하고 평화로운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세력을 확장하려는 그들의 기본적인 욕망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