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신착자료

신착자료

일반자료

조선의 공무원은 어떻게 살았을까?: 과거급제부터 은퇴까지

저자/역자
권기환 지음
발행년도
2022
형태사항
267p.: 21cm
ISBN
978895906631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7032-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7032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500년 조선왕조를 이해하는 새로운 코드, 공무원”

수백 년 전 조선시대 공무원들은 어떻게 나라를 이끌었을까?
― 왕실의 손과 발이 되어 공무를 담당했던
양반들의 짠내 나고 인간미 넘치는 관직 라이프!

‘신의 직장’, ‘철밥통’이라 불리는 공무원의 세계
과연 조선시대 공무원들은 어떻게 일했을까?

★ 사극 속 양반들은 몇 급 공무원일까?
★ 시험 천재 이이는 왜 선배들의 미움을 샀을까?
★ 명재상 황희는 왜 탐관오리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을까?
★ 조선시대 공무원들은 ‘워라밸’이 가능했을까?
★ 조선시대에도 ‘김영란법’, ‘인사청문회’가 있었다는데 사실일까?
★ 조선의 공무원들은 왜 목숨을 내놓고 일해야 했을까?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취업 시장이 꽁꽁 얼어붙으면서 안정적인 직장을 희구하는 이들의 수는 좀처럼 줄어들고 있지 않다. 장기적인 고용 불안으로 인해 취준생이 아닌 대학생이라는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졸업을 유예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높은 선호도와 경쟁률을 자랑하는 직업이 바로 ‘공무원’이다. 물론 공무원이 인기 직종으로 각광받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놀랍게도 조선시대에는 공무원이 지금보다 더 높은 인기와 경쟁률을 자랑했다.
조선의 양반들은 양반가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영원히 양반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4대조 내에 최소 말단직인 종9품직에라도 제수되어야 양반이라는 타이틀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직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거시험을 치러야만 했다. 양반들에게 과거 준비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가문의 존속을 위한 생존 전략의 문제였다.
우리가 ‘양반’이라고 부르는, 사극에서 왕을 보필하며 정책을 토론하던 사람들이 바로 과거시험에 통과해 공무원이 된 이들이다. 많은 사람이 조선의 양반 하면 떠올리는 이이, 이황, 유성룡, 정약용, 김정희 등도 과거시험을 통해 등용되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크게 정기시험과 부정기시험으로 나뉘었는데, 정기시험인 식년시는 3년마다 열렸으며 최종 합격 정원은 33명에 불과했다. 장원급제라고 하면 이 33명 중에서 1등을 가리킨다. 과거제는 공정한 절차에 따라 고급 인재를 선발한다는 점에서 지금의 국가고시와 대학입학시험으로 그 명칭만 바뀌었을 뿐 기본 취지는 그대로 유지되어오고 있다.
오늘날의 고시제도가 수많은 ‘고시 낭인’을 양산했듯이, 조선시대에도 많은 ‘과거 낭인’이 있었다. 양반가 자제들은 보통 5세가 되면 『천자문』을 깨치는 것을 시작으로 평균 30년간 과거 준비에 매달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합격의 영광을 맛볼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500년이라는 조선 역사상 과거에 합격한 사람은 약 1만 5,000명에 불과했음이 이를 방증한다. 그 때문에 응시생들은 어떻게든 과거시험에 합격하고자 옷소매나 콧속에 커닝 페이퍼를 숨겨 시험장에 들어간다든가 하는 부정행위를 저지르거나, 시험관에게 뇌물을 주고 답안지를 조작하곤 했다. 때로는 시험장에서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몸싸움을 잘할 수 있는 이를 고용하기도 했다. 경쟁률이 높아질수록 과거시험장은 온갖 비리로 얼룩졌다. 그러자 나라에서는 공정한 선발을 위해 응시생의 필적을 알아볼 수 없게끔 답안지를 옮겨 써 채점하거나 응시생의 자격 요건을 꼼꼼히 따지는 등 방안을 마련했으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가까스로 시험에 합격하더라도 ‘면신례’라고 불리는 신참 신고식을 치러야만 ‘진짜 관리’로 인정받았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으며, 부모를 욕보이는 등 선배들의 온갖 수모를 50일 동안 이겨내야 했다는 점이다. 이이도 면신을 통과하지 못하고 낙향했을 정도로 고생했으며, 정약용 또한 선배들에게 밉보일까 자신의 행동을 구구절절 해명하는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힘겹게 공무원이 된 이들 중 일부는 초심을 잃고, 민심을 배반하고 비리를 저지르기도 했다. 돈에 눈이 먼 관리들은 가난한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 자신들의 곳간을 채워나갔다. 세종 대의 명재상으로 이름난 황희도 청탁의 대가로 뇌물을 받곤 했는데 그 때문에 ‘황금 대사헌’이라는 멸칭을 얻게 되었다.
지금과 달리 조선의 공무원들은 70세까지 일할 수 있었는데, 그들의 소원은 70세에 명예롭게 퇴직하는 것이었다. 정쟁이 빈번했던 당시에는 4명 중에 1명이 귀양 갔을 만큼 정년을 채우는 것이 무척이나 어려워 나라에서는 정년퇴임을 하는 관료에게 상을 내려줄 정도였다.
『조선의 공무원은 어떻게 살았을까?』는 단순히 조선시대 관료체제를 서술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직 공무원의 예리한 시선으로 공직이라는 세계가 어떻게 운영되어 조선 사회를 떠받치고 있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청백리와 탐관오리를 가르는 결정적 한 방
공직자가 지향해야 할 올바른 자세란 무엇인가?


조선왕조에서 민주주의국가로 정체(政體)가 달라졌을 뿐 예나 지금이나 국가의 정책 결정은 그 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왔다. 『효경』에서는 “천자에게 직언하는 신하 일곱이 있으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더라도 천하를 잃지 않는다. 제후에게 직언하는 신하가 다섯 있으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더라도 나라를 잃지 않는다. 대부에게 직언하는 가신 셋이 있으면 비록 자신이 무도하더라도 집안을 잃지 않는다”고 하는가 하면, 『춘추좌전』에서는 “나라의 쇠퇴는 공직자의 부적절한 행위 때문이며 공직자가 덕을 잃는 것은 [윗사람의] 총애와 뇌물을 탐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했다. 즉 옛사람들은 한 나라의 흥망성쇠가 공직자들의 손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조선의 왕들은 덕치주의와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왕도정치를 구현하려 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직자가 청렴해야 한다고 여겼다. 그리고 처벌만으로는 관리들의 비리를 척결할 수 없다고 판단해, 청백리 선발 제도를 두어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방지하고자 했다. 물론 관리들의 비행을 바로잡지 못할 때도 있었지만, 조선 사회가 나아가고자 했던 방향만큼은 여실히 보여준다. 율곡 이이가 자기가 아닌 남을 위한 자리가 벼슬아치라고 한 것도, 정약용이 공직자의 교본으로 평가받는 『목민심서』에서 “청렴은 수령의 본무요, 모든 선의 근원이며 덕의 바탕이다”라고 한 것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의 산물일 것이다.
연일 권력에 편승해 비리를 일삼는 정치인들과 고위공무원들의 기사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는 이때에 이 책은 멸사봉공의 정신까지는 아니더라도 공직자로서 최소한으로 지켜야 할 신념과 본분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목차

머리말

1장 ― 양반, 그들은 누구인가?

조선에서 양반으로 살아가기
양반의 탄생
【양반과 사대부, 무엇이 다를까?】

2장 ― 과거급제를 위해 책벌레로 살아가다

식을 줄 모르는 학습 열기
기초교육의 산실, 서당
서울과 지방의 중등교육기관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소문난 공부법
【과거계의 일타 강사】

3장 ― 공무원을 어떻게 뽑았을까?

과거제의 역사
능력보다 가문이 더 중요한 세상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은 사람들】
등골이 휘는 과거 준비
과거시험의 관문을 통과하라!
조선의 별별 시험들
목숨이 왔다 갔다 한 답안지 작성
선접꾼과 거벽과 사수, 조선의 커닝 시스템
어사화를 쓰고 금의환향하다!
【과거시험의 귀재들】

4장 ― 조선의 통치 시스템

정1품부터 종9품까지, 조선의 관직
조선의 핵심 행정기관
모두가 선망하는 자리, 청요직
【눈에는 눈 이에는 이, 관료들의 기 싸움】
조선의 고위공무원, 당상관
백성을 수탈하면서 시작하는 지방관 생활
【가성비가 뛰어난 제도, 암행어사】

5장 ― 조선 공무원 탐구 생활

이이와 정약용도 피하지 못한 신고식, 면신례
조선의 관료를 위한 업무 매뉴얼
살아남기 위한 꾸준한 자기개발
황희에게 오점을 남긴 조선시대 ‘김영란법’
귀양살이까지 이어진 빈부격차
70세, 은퇴하기 딱 좋은 나이
【유배지에서 꽃피운 문학】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