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신착자료

신착자료

일반자료

공기 파는 사회에 반대한다: 상품이 된 공기, 공포가 된 공기, 미세먼지 프레임으로 읽는 각자도생 한국사회

저자/역자
장재연 지음
펴낸곳
동아시아
발행년도
2019
형태사항
324p.: 20cm
ISBN
978896262280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5363-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5363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 누가 ‘공기’를 상품으로 만드는가?
: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이야말로 한국사회의 맨얼굴이다!
● 환경운동 30년, 미세먼지 연구 권위자 장재연 교수가 말하는 2019년 한국사회의 미세먼지 ‘천동설’
: 미세먼지 프레임으로 각자도생의 한국사회를 읽다!


“2019, The World is Confusion in the Dust”
지난 달 가수 UV가 발표한 노래 <미세초>는 2019년 세계가 먼지의 혼란 속에 있다고 말한다. 하이트진로가 올해 출시한 맥주 브랜드 ‘테라’의 콘셉트는 청정라거. “초미세먼지 시대에 청정에 대해 고민”했다면서, 맥주의 원료인 맥아도 전 세계 공기질 부문 1위인 호주의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공수한다고 광고한다. 유행가의 가사는 물론이요, 우리 생활 깊숙이 미세먼지가 들어왔다. ‘미세먼지’를 피하기 위한 상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출시한 ‘프레시팝’은 샴푸로 미세먼지 다이어트를 하라고 권하고, 유투브에는 각양각색의 ‘미세먼지 세안법’과 클렌징 제품 등의 화장품 광고가 넘쳐난다. ‘깨끗한 공기를 들고 다녀요’ ‘공기를 선물도 해요’라며, 휴대용 미니 공기청정기(LG 퓨리케어)까지 등장했다. 바야흐로 ‘공기 파는 사회’가 도래한 것이다.
이러한 미세먼지 관련 상품과 문화현상은 미세먼지에 대한 우리의 극명한 공포를 보여준다.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IV)’ 보고서에 따르면 각종 위험에 대한 불안수준 중 가장 높은 항목으로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이 뽑혔다.
『공기 파는 사회에 반대한다』의 저자인 장재연 교수(아주대 의대,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1988년 서울시 미세먼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한 이후,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문제를 꾸준히 연구함과 동시에 30년 넘게 환경운동을 이어왔다. 저자는 정부부처, 언론, 학계, 기업 등이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되었거나 기여했다고 지적하며 잘못된 정보에 대한 믿음과 확산을 미세먼지 ‘천동설’에 비유한다. 기업은 ‘공포마케팅’을 통해 각자가 스스로를 보호하라고 권하고, 학계는 오염원을 줄이기 위한 연구 대신 성능 좋은 마스크, 공기청정기 계발과 오염의 측정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말이다.
이 책에서는 미세먼지에 관해 잘못 알려진 인식을 구체적 데이터와 검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한편, ‘미세먼지’를 둘러싼 일련의 상황을 사회현상으로 바라보고 과학의 외피를 쓴 거짓 정보와 가짜 뉴스들이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는지 짚어본다. 동시에 미세먼지를 개인의 책임이 아닌 함께 해결하기 위해 지금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과학으로 밝히는 미세먼지를 둘러싼 모든 것
: 마스크는 안전할까? 한국의 대기오염은 어느 정도일까?


공기에 대한 공포는 최근 몇 년간 미세먼지 오염이 급격히 악화되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여기에 저자는 데이터를 제시하며 질문한다. 서울시의 지난 10여 년간 미세먼지(PM10) 고농도 오염 발생 빈도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고농도오염이라 할 수 있는 100㎍/㎥ 이상인 날의 빈도가 뚜렷하게 줄어들었음을 볼 수 있다. 훨씬 더 오염도가 높은 150㎍/㎥ 이상인 날이나 250㎍/㎥ 이상인 날 역시 감소했다. 2012년 이후 미세먼지 연평균 오염도가 일시적으로 다시 증가하자 고농도 오염 발생 빈도 역시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그 후에는 다시 감소하고 있다.
세계보건기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미세먼지(PM2.5)로 인한 조기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8명으로 전 세계에서 27번째로 낮다. 보건학계에서 널리 사용하는 질병부담 지표인 DALY(Disability Adjusted Life Year)를 살펴봐도, 인구 10만 명당 394년으로 질병부담이 세계에서 29번째로 낮았다. DALY는 조기사망, 질병, 장애 등으로 인해 건강한 삶이 손실된 연수를 말한다. 저자는 한국의 대기질이 전 세계 최상위에 속한다면서, 지나친 공포와 상품의 공포마케팅을 경계한다. 미세먼지에 관해 잘못 유통되고 있는 정보를 정확하게 짚어내면서 ‘미세먼지 천동설’에 대항한다.
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날은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권고에 대해서도 미국흉부학회, 미국FDA, 싱가포르정부 등이 발표한 마스크 사용 권고사항을 인용하는 식으로, 잘못 알려진 상식을 정확히 짚어준다.

● 미세먼지는 모두 ‘메이드 인 차이나’일까?
: 중국발 미세먼지설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진짜’ 영향


장재연 교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개선을 위한 부단한 노력은 지속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만 지금과는 그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미세먼지의 원인을 대부분 중국에서 찾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근거가 불명확한 자료이며, 오히려 책임을 외부로 돌렸을 때 생겨나는 여러 문제점들을 지적한다.
무엇보다 대기질 예측 모델을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 기여율을 낮게는 30%, 높게는 86%로 제시한 환경부의 주장에 문제를 제기한다. 대기질 예측 모델은 수학 방정식을 이용해서 오염물질의 공간적·시간적 농도 변화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현재 환경부가 미세먼지 기여율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모델은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개발한 CMAQ란 모델로 누구나 쉽게 파일을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프로그램이다. 문제는 입력할 자료를 제대로 확보하는 것인데 연구자가 임의로 입력 변수를 취사선택하거나 변형하면 어떤 결과든 의도한 대로 만들어낼 수 있다.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는 말을 인용하며 저자는 환경부가 입력한 자료의 문제점을 제기한다. 실제로 환경부는 국정감사 제출 자료에서 자신들이 발표하고 있는 모델링 결과는 중국 내 미세먼지 발생원 자료가 없어서 추정치를 넣고 계산한 것이라 밝힌바 있다.
저자는 대기질 모델링에서 가장 중요한 입력 자료는 오염물질 발생원 자료와 기상 자료라면서, 이웃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변 국가들의 공동연구가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좀 더 영리하고 합리적인 환경외교가 필요하다고 말이다. 동시에 정부와 기업이 책임을 회피하는 방식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규제를 비롯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숨긴다고 말한다.

● 공기는 왜 개인의 책임이 되었는가
: 공기가 모두의 것이 되려면


그렇다면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대기오염의 건강 영향은 단기간의 고농도 노출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의 노출에 의해서도 발생한다고 말한다. 장기 기준(연평균 기준)과 단기 기준(일평균 기준)이 각각 정해져 있는데, 둘 중 어느 기준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지는 오염 수준이나 각 국가 혹은 도시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평균 오염 수준이 50㎍/㎥ 미만인 도시는 특정일에 오염도가 많이 높아져도 200㎍/㎥ 정도이고, 이런 수준의 단기간 노출로는 보건학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저자는 말한다.
마스크 보급, 차량 2부제 등 대부분의 미세먼지 대책은 고농도 오염에 대한 단기 대책이라면서, 한국의 미세먼지 오염도는 대부분의 도시가 연평균 50㎍/㎥ 미만으로 고농도 오염에 대한 단기 대책보다는 평상시 오염을 줄이기 위한 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연료 사용량을 줄이거나, 미세먼지 발생량이 적은 연료로 교체하거나, 노후 시설이나 장비를 교체 또는 폐쇄하거나, 집진장치 등을 통해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면서 기존 정책의 문제점이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말한다. 공기는 모두가 당연하게 향유해야 할 삶의 조건이고, 그렇기 때문에 공기오염은 개인 단위가 아니라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이다.
대기오염 측정소의 위치 변경 등 잘못 알려진 상식과 주장에 대해서도 바로 잡으며, 뉴욕과 런던 등 최악의 공해 도시로 불렸던 도시들은 어떻게 깨끗한 도시가 되었는지도 함께 살펴보며 대안을 제시한다. 그래프, 표, 그림 등 구체화된 시각 자료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목차

프롤로그

1부 먼지의 과학
: 공포가 된 공기, 과학으로 자세히 읽기

먼지의 이론과 실제: 공기오염, 지금이 최악일까
먼지의 공포: 한국식 ‘초미세먼지’의 탄생부터 ‘1급 발암물질’ 명명까지
한국의 공기오염은 세계 최하위권인가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자, 질병부담 국가 순위
위험의 기준이란 무엇인가(1): 세계보건기구의 미세먼지 기준은 질병 발생의 기준이 아니다
위험의 기준이란 무엇인가(2): 미국 AQI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부 미세먼지 프레임은 우리에게 어떻게 작동하는가
: 미세먼지, ‘천동설’부터 ‘메이드 인 차이나’까지

미세먼지 ‘천동설’의 진원지를 찾아서
중국발 미세먼지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중국에서 온 미세먼지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유럽의 국가 간 미세먼지 이동 연구 사례
여름철 미세먼지는 중국발이 아니어서 괜찮은가
언제까지 중국 탓만 할 것인가??

3부 비과학은 어떻게 믿음이 되었나
: 잘못된 뉴스의 생산과 확산을 말하다

컴퓨터 그래픽 미세먼지에 농락당한 대한민국
공기를 둘러싼 공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매연 3시간 40분 흡입설’을 만든 논문 오독과 뉴스 보도
잘못된 정보가 과학으로 불리는 순간: 팩트 체크를 놓친 ‘한중 공동연구’ 보도
잘못된 해석이 뉴스가 되었을 때: 중국발 미세먼지 ‘3만 조기 사망설’ 《네이처》 논문 보도
먼지, 더 작아지고 독해졌는가: 미세먼지 오보의 생산과 확대

4부 공기는 왜 개인의 책임이 되었는가
: 공기가 모두의 것이 되려면

마스크는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없다
차량 2부제는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없다
미세먼지 측정망의 문제가 아니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에 찬성한다
최악의 공해 도시, 뉴욕과 런던은 어떻게 깨끗한 도시가 되었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에필로그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