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종합자료센터

로그인회원가입

제주시 종합자료센터

자료찾기

  1. 메인
  2. 자료찾기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일반자료문학동네 세계문학

아르카디아: 로런 그로프 장편소설

저자/역자
로런 그로프 지음 / 박찬원 옮김
펴낸곳
문학동네
발행년도
2018
형태사항
450p.; 21cm
원서명
Arcadia
ISBN
978895465022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북카페JG0000004545-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JG0000004545
    상태/반납예정일
    -
    위치/청구기호(출력)
    북카페
책 소개
“이 소설은 한 편의 신화다. 그리고 예언이다.” _강화길(소설가)

미국 젊은 작가들이 뽑은 올해의 소설(2012)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보그> <커커스> NPR 선정 올해의 책


“다채로운 인물들과 야심으로 가득한, 아, 이 얼마나 아름다운 소설인가. (…) 젠체하지 않고 이보다 더 잘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_리처드 루소(소설가)

강렬한 서사와 아름다운 문체로 한국 독자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운명과 분노』의 작가 로런 그로프의 또다른 대표작이 출간된다. 2012년에 발표한 그의 두번째 장편소설 『아르카디아』는 1970년대 히피 문화가 득세하던 시절, 절대적인 자유를 신봉하며 평등하게 일하고 서로 사랑하는 것을 지향하는 대안 공동체 ‘아르카디아’를 중심으로, 이곳에서 태어나 자란 ‘비트’라는 남자의 50여 년간의 삶을 따라가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이 소설은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커커스> NPR 등 주요 매체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면서, 로런 그로프라는 이름을 미국 문학계에 확고히 한 작품이다. 또한 그해 미국의 젊은 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살롱닷컴의 설문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으며 ‘젊은 작가들이 뽑은 올해의 소설’로 선정되기도 했다. “오늘날 글을 쓰는 최고의 작가 중 하나”(캐슬린 올컷), “우리 시대 가장 재능 있는 작가 중 하나”(케이트 월버트)라는 동료 작가들의 평은, 그로프의 문학적 위상을 확인하게 해준다.

‘아르카디아’는 고대 그리스 펠레폰네소스반도의 한 지역으로,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숲의 신, 나무의 요정, 자연의 정령 등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던 목가적 이상향을 말한다. 로런 그로프는 소설 『아르카디아』에서 이상향의 탄생과 추락, 그리고 그 부침과 거듭되는 상실 속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사람들을 그린다. 그로프의 섬세하고 아름다운 문장은 소설 속 배경이 되는 자연 풍광을 놀랍도록 생생하게 눈앞에 펼쳐내고, 세상의 밝은 빛과 짙은 어둠을 깊숙이 끌어안은 한 남자의 맑고 진실한 목소리를 읽는 이의 마음에 선명하게 새긴다.

그러나 “그로프의 아름다운 문장은 『아르카디아』의 최고 미덕 중 하나이지만 결코 유일한 미덕은 아니”라는 <뉴욕 타임스>의 평처럼 눈부시게 쌓이는 문장들을 오래 기억하게 만드는 힘은 결국 소설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다. 그로프는 이 소설을 통해, 꿈꾸는 삶이 무너져도,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도, 끝내 그 폐허 속에서 반짝이는 기억의 조각을 찾아내 마음속에 복원하는 일의, 실패 속에 가라앉은 진심을 건져올리는 일의 숭고함과 아름다움을 말한다. 『아르카디아』는 독자들에게 다시 한번 로런 그로프라는 이름을 각인시킬, 가장 슬픈 유토피아 소설이자 가장 희망적인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작은 소년, 티끌만큼 작은 소년 비트.
무너진 이상향의 파편을 그러모아
마음속에 일으켜세우다.


총 4부로 구성된 『아르카디아』는 신화 속 목가적 낙원의 이름을 딴 대안 공동체 ‘아르카디아’에서 나고 자란 소년 ‘비트’의 일대기다. 소설은 주인공 비트의 삶을 중심으로, 반문화 운동이 활발하던 1960년대 후반부터 소설 출간 당시 근미래였던 2018년까지 50여 년의 세월을 그린다.

1부 ‘태양의 도시’에서 비트는 다섯 살이다. 아르카디아가 결성된 후 처음 태어난 아이라 ‘최초의 아르카디아인’이라는 신화적 별명을 얻게 된 그는 바깥세상에 나가본 적이 없다. 하지만 널따란 풀밭과 깊고 어두운 숲, 600에이커에 이르는 아르카디아 부지도 그에게는 버거울 만큼 크고 넓다. 함께 사는 친구들과 어른들, 비트를 사랑하는 부모님의 품속에서 비트는 안전하고 행복하다. 다만 겨울이 되면 말이 없어지고 우울해지는 어머니 해나가 걱정스러울 뿐이다. 비트는 우연히 찾은 보물인 그림형제 동화책을 보고 백조로 변한 오빠들의 저주를 풀기 위해 육 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던 소녀처럼, 자기가 꾹 참고 말을 삼키면 엄마가 다시 행복해질지도 모른다고 믿는 순수한 소년이다.

2부 ‘헬리오폴리스’에서 비트는 열네 살이다. 사춘기를 맞은 비트는 서서히 자신이 사랑하는, 자신이 아는 세상의 전부인 아르카디아의 어두운 면을 보게 된다. 계속되는 가난과 굶주림, 마약, 범죄, 내부의 갈등과 반목. 그들의 이상향은 가출 청소년들과 마약중독자들과 범죄자들의 피난처로 바뀌어간다. 그 어두운 시기에 비트가 발견한 빛은 여왕처럼 아름다운 소녀 헬레. 공동체의 리더 격인 핸디의 딸인 그녀를 비트는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아르카디아는 크고 작은 사건을 거치며 결국 와해되고, 비트는 평생을 함께한 사람들과 이별하게 된다.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이후에 펼쳐지는 3부 ‘축복받은 자의 섬’과 4부 ‘지상 기쁨의 정원’에서 비트는 바깥세상에 적응해 살아가고 있는 중년의 남자다. 대학에서 사진을 가르치는 비트에게 삶의 유일한 기쁨은 딸 그레테다. 헬레와의 사이에서 사랑스러운 딸을 얻었지만, 어느 날 산책을 나간 헬레는 영영 집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비트의 삶에서 아르카디아와의 이별은 잇따른 상실의 시작에 불과했다. 그리고 비트의 개인적인 불운과 상실은 바깥세상의 불행과도 맞닿아 있다. 소설 속 2018년에 세상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염병으로 공포에 떨고 있다. 루게릭병을 앓는 해나와 딸 그레테를 데리고 비트는 어린 시절 떠났던 아르카디아로 돌아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작지만 어쩌면 삶을 지탱해줄 작고 고요한 희망을 발견한다.

인 아르카디아 에고(In Arcadia Ego).
나는, 죽음은, 아르카디아에도 있다.


『아르카디아』는 유토피아의 탄생으로 시작해 디스토피아인 미래로 끝을 맺는, 일견 굉장히 비관적인 이야기다. “평등, 사랑, 노동, 모든 이의 필요에 대해 열린 마음”을 기치로 야심차게 탄생했던 그들의 낙원은 유토피아를 다룬 대부분의 이야기들에서처럼, 무엇보다 우리의 실제 역사에서처럼 비극적인 종말을 맞는다. 소설 속 아르카디아 하우스 현관에 새겨진 ‘인 아르카디아 에고(In Arcadia Ego)’, 즉 ‘나는 아르카디아에도 있다’라는 문구는 프랑스 화가 니콜라스 푸생의 그림 제목으로 유명한데, 여기서 ‘나’는 일반적으로 ‘죽음’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낙원에도 죽음은 있다는 뜻으로 인간의 유한함을, 소설에서는 아르카디아의 최후를 예견하는 것처럼 보인다.

비슷한 상징은 비트의 이름에도 있다. 체구가 너무 작아 ‘비트(bit)’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주인공의 본명은 ‘리들리’인데, 이름을 짓게 된 계기가 의미심장하다. 비트의 어머니 해나가 차 안에서 산통을 겪을 때 병원을 찾기 위해 급히 차를 돌리는데 그때 와이오밍주 리들리로 간다는 것이 그만 엉뚱한 길로 들어선다. 그리고 무사히 태어난 아이에게 아버지는 “우리가 가보지 못한 마을 이름에서 따온” 리들리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유토피아라는 말 자체가 ‘어디에도 없는 곳’이라는 의미인 것처럼, 최초의 아르카디아인에게 붙인 이름이 결국 그들이 도달하지 못한 어느 지역이라는 것은 아르카디아인들의 꿈이 좌절될 것임을 예기한다.

하지만 『아르카디아』는 도달하지 못한 이상향, 그 실패 자체에 집중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소설에서 아르카디아가 무너지는 시점은 2부의 끝, 그러니까 중간 지점이다. 아르카디아의 끝에서 이야기는 다시 시작되고 비트의 삶은 이어진다. 결국 소설이 더욱 관심을 두는 것은 무너져내린 물리적 이상향이 아니라 비트라는 인간의 마음속에 공고히 세워지는 이상향이다. 소설에서도 인용되는 『실낙원』의 문장처럼 “정신에는 자기 고유의 공간이 있다. 그리고 자기 안에서 지옥의 천국도, 천국의 지옥도 만들 수 있다”. 결국 『아르카디아』는 물리적 좌표를 점하지 않는, 존재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곳’인 정신이라는 공간에 유토피아를 건설하고, 계속되는 상실 속에서도 끝내 그곳을 지켜낸 한 남자의 이야기다.

주의를 기울일 것.
장대한 몸짓이 아닌 지나는 숨결에,
활짝 피어났다 희미해지며 지나가는 이 순간에……


그 이야기의 중심에는 마치 블랙홀처럼 작지만 커다란 질량으로 독자를 끌어당기는 섬세하고 사려 깊은 관찰자 비트가 있다. 소설을 읽다보면 마음을 빼앗길 수밖에 없는 이 아프고 사랑스러운 캐릭터는 독자들이 이야기에 마음을 열고 깊이 몰입할 수 있게 해주는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요소다. 어린 비트는 따뜻하고 맑은 소년이다. 그는 세상을 주의깊게 들여다보고 때로 다섯 살 아이에게는 너무 버거운 것들까지 깊숙이 받아들인 다음 내면에서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재구성한다. 소설이 일인칭시점이 아닌 삼인칭시점으로 서술되어 있음에도, 그로프는 놀라울 만큼 세밀한 필치로 어린아이의 감정과 생각을 독자에게 전해준다.

비트라는 캐릭터가 이토록 생동감 있게 그려진 것은 작가의 개인적이고 각별한 애정의 결과이기도 하다. 소설 앞에 실린 헌사에서도 알 수 있듯, 비트는 로런 그로프의 첫아이인 베킷을 모델로 하고 있다. 작가는 베킷을 임신한 상태에서 아이가 태어날 세상을 염려하며 이 이야기를 구상했고 아이를 낳아 키우며 관찰하고 느낀 것을 소설로 썼다. 작가의 표현대로 『아르카디아』는 그녀의 “아들과 함께 자란” 작품이다.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만이, 홀로, 이 세상을 증언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상상”하는 비트는 작품 속의 가장 믿음직한 목격자다. 그러나 그것은 비트가 오직 사실만을 증언하기 때문이 아니라 폐허 속에서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희망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비트에게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그가 지붕에 비치는 새벽빛에서, 가지 사이를 스치는 바람에서 낙원을 발견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비트가 사진작가가 된 것 역시 우연이 아니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프레임 속에 담긴 순간을 영원히 보존하려는 행위다. 순간은 지나가도 사진은 남는다. 비트는 “장대한 몸짓이 아닌 지나는 숨결”에서, 원대한 이상이 아닌 삶의 작은 순간들 속에서 낙원을, 아르카디아를 찾는 사람이다.

기억의 공간에 쌓인 이야기들,
다시 우리의 이야기를 상상하기


“그러나 그는 기억한다. 아르카디아가 들려준 그 기억은 그들 공동의 것이 되었고, 듣고 또 들은 그 기억은 마침내 그의 안에서 이야기로 자라나 비트 자신의 기억이 되고 그와 하나가 된다.” _본문 10쪽

비트가 순간을 영원히 보존하는 또다른 방법은 바로 기억이다. 그러나 『아르카디아』에서 말하는 기억은 개인적인 체험이 아니다. 여기서 기억은 ‘이야기’의 다른 말이며, 함께 공유되고 자라나는 것이다. 소설의 프롤로그는 비트가 태어나기 전, 아직 해나의 뱃속에 있었던 시절의 어느 풍경을 보여준다. 그러나 비트는 그날을 ‘기억’한다고 말한다. 소설 속에서 기억은 이야기의 형태로 전해지고 공유됨으로써 그 이야기와 관계를 맺는 이들의 일부가 된다. 비트는 “우리가 자신에 대해 믿어왔던 이야기를 잃으면 우리는 이야기 이상의 것을 잃는다는 것을, 우리 자신을 잃는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평생 동안 쌓인 아름다운 이야기로 가득한 기억의 공간은, 가장 절망스러운 순간 다시 찾아갈 수 있는 최후의 낙원이 된다. 그리고 폐허가 된 과거와 음울한 미래 앞에서 미소 짓는 이 비관적인 이상주의자의 낙원은, 작가가 그리듯 펼쳐낸 문장들을 통해 나무로 자라고 꽃으로 피어나고 눈이 되어 내리면서 읽는 이의 마음속에 거대한 세계로 자리잡는다.

[관련 기사 바로 가기]
#경향신문: 무너진 이상향의 파편에서 찾는 희망
#문화일보: 상실의 시간에서 다시 꿈꾸는 유토피아
#서울일보: 삶의 작은 순간 속에도 낙원은 있다
목차

태양의 도시 ...013
헬리오폴리스 ...131
축복받은 자의 섬 ...257
지상 기쁨의 정원 ...335
감사의 말 ...443
옮긴이의 말 _행복한 세상을 꿈꾸었던 사람들의 이야기 ...445